소소한 것들의 창고
생산량비례법 본문
320x100
- 영어: Unit of Production Method
- 19세기 서유럽에서 세금 절약 목적으로 제조업부터 시작되어 전 분야에서 시행된 방법
-
유형자산은 사용량(생산량)에 비례하여 가치가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는 방식
- 시간당 또는 생산 단위당 감가상각비를 계산 후 당해 연도의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을 곱하여 계산
등식
(취득원가-잔존가액)/ 예상 수명 사용량
또는
같은 등식이므로 같은 값이 나올 것이다.
연간 감가상각비 = 단위당 감가상각비 * 연간 사용량
예) 모 회사가 굴리는 기계를 ¥350,000(100¥ = ₩ 850)에 구입
조건
- 4,000번 사용이 가능
- 잔존가치는 ¥ 100,000(100¥ = ₩870)
- 100원 = ¥12.345
- 다만 환차손익은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구입 환산가액 : 350,000/100*850 = 2,975,000
잔존 가치 환산가액 : 100,000/100*870 = 870,000
단위당 감가상각비 : 2,975,000 – 870,000 / 4,000 = 2974782.5
이번 연도 감가상각비 : 2974782.5 * 600 = 2,844,500
(실제 답) 엔화) 환산가 : 2,844,500 /100*12.34 = 351,011.3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자산 감가상각 발생원인 (0) | 2007.12.28 |
---|---|
연 중에 취득한 유형자산 감가상각의 개요 (0) | 2007.12.22 |
연수합계법 (0) | 2007.12.22 |
정률법 적용 사례 (0) | 2007.12.22 |
정률법 개요 (0) | 2007.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