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5. 총자산대비 매출채권 비중 본문
320x100
l 이 비율은 이 블로그 필자가 만든 비율이지만 문제가 있음
매출채권이 총자산을 대비하여 적정수준인지 파악하는 방법
10%를 초과하면 불량으로 판단하고 1~5% 이내를 양호하지만 부실채권 될 가능성을 우려 1% 이하는 안정된 수치이라고 보면 됨
10%를 초과한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총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만약, 여러가지 이유로 매출채권이 대손충당금으로 채우게 된다면 재무구조가 악화 되는 것을 예고하는 비율이라고 생각하면 됨
호황기이나 불황 직전에는 매출채권이 비중이 커지고 현금화 되는 속도 또한 높아지므로 비율 또한 높(낮)아진다.
단, 매출채권에서 대손충당금을 빼주어야 한다.
전 업종에서 비중 분석이 가능함
공식
총 자산대비 매출채권 비중 = (총 매출채권 – 대손충당금) / 자산 총계 * 100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7. 재고자산 평균회전기간 (0) | 2008.12.01 |
---|---|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6. 재고자산 회전율 (0) | 2008.12.01 |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4. 매출채권 평균회수율 (0) | 2008.12.01 |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3. 매출채권 회전율 (0) | 2008.11.28 |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검토 – 2. 재고자산 수준 파악 (0) | 2008.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