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부실기업(不實企業)의 예측 – 적자부도 본문

회계

부실기업(不實企業)의 예측 – 적자부도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09. 7. 13. 10:20
320x100

적자가 누적적으로 쌓여서 자금흐름이 경색되어 부도로 이르게 되는 경우

 

 

원인

 

1. 무리(無理)한 기업확장

 

  • 1997 ~ 2001년경 한국기업들이 해당
  • 타 업종에 진출 또는 본업대한 기업확장에 무리한 방법을 동원해서 기업이 부도 한 경우를 의미

 

2.  신제품(新製品) 개발

 

  • 신제품이 개발이 되었으나 너무 고가(高價)이거나 제품 수명주기(PLC: Product Life Cycle)이 적은 경우 또는 시장성이 너무나 없어서 결어(結語)되어 기업이 부도나는 경우를 의미
  • 고가의 가격이나 시장성(市場性)경어는 시설투자비용, 회수불능이 되어 자금압박 요인이 됨
  • () 제품수명주기(製品受命周期)일 경우 신제품 출시(出市)가 늦거나 없으면 제품재고가 누적(累積)되고 경비가 증대 됨
     

     

    신제품의한 부도와 무리한 기업확장

 

3.  같은 업종(業種) 내 경쟁력(競爭力)상실: 경기호황 때에는 징후(徵候)가 없지만 시장이 한 기업이 독점되거나 불황 때에 회수불능이 되거나 타 업종 전환에 실패 할 경우 부도로 연결

 

업종 전환 실패의한 부도와 판매부진 의한 부도

 

    

 4. 연쇄도산(連鎖倒産)

 

  • 1997 ~ 2001년 아시아 외환위기가 해당이 되며
  • 전방기업이 어렵거나 부도가 발생될 경우 파급효과가 자신의 회사에 미쳐서 동시에 부도가 나는 경우
  • 계열사 보증으로 인해 자금 압박 받아 부도 나는 경우도 해

 

전방기업 부실 또는 계열사 지급보증의한 부도

 


 

 

5.  경영자의 능력 부족 또는 태만(怠慢)

 

  • 경기흐름에 대응부족 또는 주먹구구식 경영하는 경우 또는 태만하는 경우
  • 파악을 하려면 다수의 부서(府署)가 수없이 생사(生死)가 반복(反復)되는 경우 주변 경쟁기업 기업들의 평가 또는 해당 기업의 직원(職員)의 이직(離職)율을 분석하여 파악이 가능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실기업 예측 – 타의적인 부도  (0) 2009.07.13
부실기업의 예측 – 흑자부도  (0) 2009.07.13
부실기업 분석: 개요  (0) 2009.07.11
수직분석  (0) 2009.07.06
수평분석(재무 평가)  (0) 2009.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