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전환사채 – 정의 본문

회계

전환사채 – 정의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11. 5. 16. 10:19
320x100
  • 전환사채 소유자의 선택에 의해 일정조건하에 보통주로 추가 전환되는 권리(, 전환권이 부여된 사채)
  • 투자자는 주가가 상승곡선일 때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고, 하락추세 또는 만족 못하거나 법적이나 어려가지 요인으로 불가능할 때 원금과 이자를 만기 때 수령가능
  • 투자자는 투자할 회사의 신용도와 전환될 계약 주가와 회사의 주가동향 파악이 필수

회사입장에서는 유리한 점

 

1.     전환주식 ≥ 직접발행주식

2.     적은 주식으로 발행하여 경영권보호에 유리

3.     낮은 비용(금리)로 자본조달

4.     주식전환 행사 때 사채상환 부담은 없음

 

회사입장에서 불리한 점

 

1.     사채와 전환권을 나누어서 발행할 수 없음

2.     자본금 증가가 수반

3.     주주의 우선인수권이나 등기의무 등의 추가 비용이나 규정을 따라야 함

 

투자자에게 유리한 점

 

1.     주가가 상승곡선을 타면서 전환하면 고수익 가능

2.     불리한 입장 시 만기까지 들고 가면 이자와 원금 수령 가능

 

투자자에게 불리한 점

 

1.     사채인데 동시에 주식이라고 하지만 회사가 부도나면 원금회수 불가

2.     회사가 불법(음성)적인 목적으로 발행, 투자한다면 투자자 역시 법적인 책임 면하기 어려움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 : 전환사채 인식법  (0) 2011.05.23
전환사채 – 발행의 종류  (0) 2011.05.16
전환증권 – 뜻과 여러 가지 사항들  (0) 2011.05.16
준회사정리 2  (0) 2011.05.09
준 회사정리1  (0) 2011.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