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전환사채 – 정의 본문
320x100
- 전환사채 소유자의 선택에 의해 일정조건하에 보통주로 추가 전환되는 권리(즉, 전환권이 부여된 사채)
- 투자자는 주가가 상승곡선일 때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고, 하락추세 또는 만족 못하거나 법적이나 어려가지 요인으로 불가능할 때 원금과 이자를 만기 때 수령가능
- 투자자는 투자할 회사의 신용도와 전환될 계약 주가와 회사의 주가동향 파악이 필수
회사입장에서는 유리한 점
1. 전환주식 ≥ 직접발행주식
2. 적은 주식으로 발행하여 경영권보호에 유리
3. 낮은 비용(금리)로 자본조달
4. 주식전환 행사 때 사채상환 부담은 없음
회사입장에서 불리한 점
1. 사채와 전환권을 나누어서 발행할 수 없음
2. 자본금 증가가 수반
3. 주주의 우선인수권이나 등기의무 등의 추가 비용이나 규정을 따라야 함
투자자에게 유리한 점
1. 주가가 상승곡선을 타면서 전환하면 고수익 가능
2. 불리한 입장 시 만기까지 들고 가면 이자와 원금 수령 가능
투자자에게 불리한 점
1. 사채인데 동시에 주식이라고 하지만 회사가 부도나면 원금회수 불가
2. 회사가 불법(음성)적인 목적으로 발행, 투자한다면 투자자 역시 법적인 책임 면하기 어려움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 : 전환사채 인식법 (0) | 2011.05.23 |
---|---|
전환사채 – 발행의 종류 (0) | 2011.05.16 |
전환증권 – 뜻과 여러 가지 사항들 (0) | 2011.05.16 |
준회사정리 2 (0) | 2011.05.09 |
준 회사정리1 (0) | 201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