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엔트로피 인코딩: 턴 길이 코딩 본문
320x100
- 영어: Run Length Encoding(RLE)
- 같은 말로는 "런 렝스 부호화"
- 1966년 7월에 솔로몬 울프 골롬(Solomon Wolf Golomb, 1932 ~ 2016)이 전기전자공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에 낸 논문에서 유래하여 1967년에 TV에서 사용되었다.
- 동일 바이트가 일정 개수 이상 발생하면 해당 문자를 플러그 바이트 개수 형태로 변환 표현
- 컴퓨터 이용한 영상, 만화 같이 색상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많은 영상에 사용
- 실제 영상 즉, 화상 경우 같은 색상의 영역이 없으므로 압축은 쓸모가 없지만 다른 인코딩을 사용
예: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Run-length encod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Form of lossless data compression Run-length encoding (RLE) is a form of lossless data compression in which runs of data (sequences in which the same data value occurs in many consecutive data elements) are stored as a
en.wikipedia.org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트로피 인코딩: 산술적 코딩 (0) | 2015.09.21 |
---|---|
엔트로피 인코딩: 허프만 코딩 (0) | 2015.09.21 |
엔트로피 인코딩: 개요 (0) | 2015.09.21 |
파일압축: 색상표 압축 방식 (0) | 2015.09.21 |
파일압축기법 종류 (0) | 201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