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인버스(금융) 본문
320x100
- 영어: Inverse
- 주가가 하락할 때 가치가 상승하는 상품
- 1990년대 미국 월가에서 공매도 편의를 위해서 펀드 형태으로 등장한 것이 최초이며 대한민국에서는 2003년에 등장한다.(비공식적으로는 2002년 말 F-KOSPI200 추종 사모 펀드가 최초)
- 기초지수가 일별 -1% 하락 시 해당 인버스는 +1% 상승 추구
- 기초지수의 일별수익률만을 매일 -1배수만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누적수익률에 대해서는 -1배수로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 기초지수의 일정기간 누적수익률이 마이너스(-) 이거나 0%(제로)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동기간 인버스의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
- 위에 언급된 원인은 금융 수수료, 세금, 운용 수익에대한 차감, 각종 비용이 차감 또는 포함되기 때문에 수익률이 적거나 마이너스 수익률이 발생한다.
- 대부분이 펀드이나 상장지수펀드 형태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