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이사야서에서 등장하는 동식물(2) 본문
종려나무: 9장 13절에서 등장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대추나무이라고 알려져 있다.
종려나무
온대 성 야자수 를 말한다. 한자로는 棕 櫚 이다. 원산지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략 중국 대륙 남동부, 일
namu.wiki
대추야자
대추야자
대추야자 (date palm)는 종려과 대추야자속에 속하는 나무 및 그 열매 를 가리킨다. 원산지는 중동
namu.wiki
골풀: 9장 13절에서 언급
골풀
골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인초(藺草)’ 또는 ‘등심초(燈心草)’라고도 한다. 조선 초기는 ‘고을심(古乙心)’이라 표기하였으나, 후기의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에는 ‘골속’
100.daum.net
방백나무(=편백나무): 37절 24절에서 언급
편백나무
일본의 대표적 수목 가운데 하나. 목질이 좋고 향이 뛰어나 실용성이 높다. 가구 제작은 물론 건물의 내부 벽체, 인테리어용으로 널리 쓰인다. 편백에 함유된 피톤치드가 아토피 치료에
100.daum.net
부엉이: 13절 21절에서 언급
부엉이
올빼미과 조류 중 귀깃[耳羽]이 있는 종의 총칭. 올빼미과 조류는 지구상에 약 130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 나라에서는 10종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올빼미와 부엉이는 각기 4종
100.daum.net
타조: 13장 22절에 등장
타조
현존하는 가장 덩치가 큰 조류 . 타조는 특히 현생 조류 중에서도 중생대의 비조류 공룡 들에 좀 더 가까운 고악
namu.wiki
늑대: 13장 22절에 등장
늑대
파일:늑대 삼총사.jpg 북아메리카 , 동남아시아 를 제외한 유라시아 의 거의 전 지역에 넓게 서식하는 동물로
namu.wiki
올리브나무: 17장 6절 등장
올리브나무
지중해, 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상록의 교목 또는 관목 대체로 작은 나무로 자라고 드물게 높이 8~15m를 넘는다. 잎은 타원형으로 은빛을 띠는 녹색이며 길이 4~10cm, 폭 1
100.daum.net
덩굴나무(=등나무): 17장 10절에서 등장
등나무
계절의 여왕 5월에 들어서면 쉼터 여기저기에서 연보랏빛의 아름다운 꽃이 수없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등나무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오른쪽 감기가 전문인 등나무는 아까시나무 비슷한
100.daum.net
검정풀(=검정납작골풀): 28장 25절 등장
검정납작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fauriei H. Lév. & Vaniot
2023. 5. 18. 강원도. 석호주변 습지에 사는 녀석이다. 몇 년 전 이 녀석 찾는다고 어스름 어둠이 내리는 석호에서 골풀 녀석들 잎을 만지작 거리면서 찾아 헤메었던 때가 있었다. 이름대로 잎이 납
qweenbee.tistory.com
소회향(=시라, 딜): 28장 25절에 등장
딜
지중해 연안과 인도가 원산지이며 거의 모든 허브 농원에서 재배한다. 소회향의 이름으로 우리나라 한방서인 〈방약합편〉의 향기 나는 한약(방초, 芳草) 편에 수재되어 있다. 유럽의 거
100.daum.net
밀: 28장 25절에 등장
밀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에 속하는 식물. 가장 오래되고도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로, 원산지는 카프카스 남부의 아르메니아 지방으로 추정한다. 밀은 크게 가을밀과 봄밀로 나뉜다. 가을밀
100.daum.net
찔레나무: 32장 13절 등장
찔레나무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키가 작은 낙엽 지는 활엽수로 키가 2m정도 자란다. 줄기에는 갈고리 모양의 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며 5~9장의 작은 잎으
100.daum.net
왕골: 35장 7절 언급
왕골
사초과에 속하는 초본식물. 왕굴 · 완초(莞草)라고도 하며, 학명은 Cyperusexaltatus var. iwasakii T. KOYAMA이다. 왕골은 열대지방에서는 숙근성(宿根
100.daum.net
올빼미: 34장 11절에서 언급
올빼미
참매 가 낮의 숲을 지배한다면 올빼미는 밤의 숲을 지배한다. KBS 환경스페셜 '숲의 지배자' 편에서 파일:줄무늬올
namu.wiki
고슴도치: 28장 25절에서 언급
고슴도치
넓은 의미로는 고슴도치아과(Erinaceinae)에 속한 포유류 의 총칭이고, 좁게는 국내 서식종인 고슴도치(Am
namu.wiki
까마귀: 28장 25절 언급
까마귀
까마귀과에 속하는 새. 가마리·가막귀라고도 하였다. 한자어로는 자오(慈烏)가 표준이고, 오(烏)·자아(慈鴉)·효조(孝鳥)·한아(寒鴉)·노아(老鴉)·오아(烏鴉)라고도 하였다. 학명은
100.daum.net
솔개: 34장 15절 언급
솔개
유라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7아종으로 나눈다. 봄·가을 흔하지 않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드물게 일부 개체가 월동한다. 또한 매우 적은 수가
100.daum.net
아카시아나무: 41장 19절에서 언급
-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 서식하는 아카시아나무와 달리 해당 내용에서 언급되는 나무는 크기가 다르고 황야에서만 잘하는 크기가 작은 관목이다.
[성경의 세계] 아카시아 나무
[성경의 세계] 아카시아 나무 그들이 아카시아 나무로 궤를 만들게 하여라. 안팎으로 순금을 입히고 둘레에는 금테를 장식하라. 그리고 증언판을 그 궤 안에 넣어라(탈출 25,10-16). 탈출기에 등장
mannam.cathms.kr
도금양나무: 41장 19절에 언급되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다른 식물인 은매화이라고 알려졌다.
도금양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상록 관목. 상세 파일:도금양2.jpg 높이는 4m까지 큰다.
namu.wiki
은매화
은매화
남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도금양과(Myrtaceae)의 상록 관목. 상세 파일:은매화2.jpg 상록수 식물로
namu.wiki
사철가막살나무: 41장 19절 언급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다른 식물 또는 한때 서식했으나 어려가지 이유로 지금은 멸종되었다는 보는 경향이 있다.
아왜나무 - 사철가막살나무, Japanese Viburnum,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var. awabuki (K. Koch) Zabel ex Rumple
식물명 : 아왜나무 이명 : 사철가막살나무 영문명 : Japanese Viburnum 학명 :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var. awabuki (K. Koch) Zabel ex Rumpler 개요 산기슭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
www.treeinfo.net
젓나무: 41장 19절에서 언급
젓나무
겉씨식물인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전나무’라고도 한다. 한국이 원산지이며, 중부와 북부 지방의 높은 산지에서 많이 자란다. 처음에는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나 성장하면
100.daum.net
사자: 38장 13절에 언급
사자
파일:사자 가족.jpeg.jpg 사자(獅子)는 아프리카 와 인도 에 서식하는 식육목(食肉目) 고양이과 에 속하
namu.wiki
제비: 38장 14절에 언급
제비
참새 목 제비과에 속하는 여름 철새 이다. 대한민국 을 비롯한 동아시아 일대에서 번식한 제비는, 중국 의
namu.wiki
두루미: 38장 14절에서 언급
두루미
' 학 ( 鶴 )'이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로는 두루미목 두루미과 조류의 총칭이며 좁은 의미로는 본문 상단의 두루미
namu.wiki
비둘기: 38장 14절에서 언급
비둘기
비둘기과에 속하는 새의 총칭. 지구상에는 약 300종에 달하는 비둘기과 조류가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집비둘기의 조상인 낭(양)비둘기·흑비둘기·염주비둘기 및 멧비둘기 등 4종의 텃새가
100.daum.net
그외에 이사야서 언급된 광물들
금: 2장 7절에서 처음 언급되며 장마다 언급되는 광물이다.
금
반짝이며 노란색 이 황색은 상대론적 효과 로 인한 것이다. 금은 파란색 에 해당하는 파장을 흡수하므로 사람 눈
namu.wiki
은: 2장 7절에서 처음 언급되면 장마다 언급되는 광물이다.
은
전이 금속 원소 의 일종. 결정구조는 면심입방결정, 공간군은 Fm3m. 화폐로서의 ISO 4217 기호는 원
namu.wiki
'도서와 영화 감상과 그 평가 > 독서 내용과 그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서에 등장하는 광물과 향료들 (0) | 2024.12.09 |
---|---|
코헬렛(전도서)에서 등장하는 동식물들 (0) | 2024.11.26 |
이사야서에서 등장하는 동식물들(1) (0) | 2024.11.16 |
집회서 등장 인물 (0) | 2024.08.18 |
잠언에서 등장하는 인물들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