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채권의 블록성 본문

기초화폐이론

채권의 블록성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25. 2. 3. 11:59
320x100
  • 영어: 컨백시티(Convexity), 본드 컨백시티(Bond convexity)
  • 채권금리의 변동에 따른 듀레이션의 변화에 따라 채권 가격이 그래프가 블록하게 나오는 것을 말한다.
  •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지만, 그 하락폭은 점점 줄어들고,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며, 그 상승폭은 점점 커진다,

 

역사

 

  • 1938년에 캐나다 경제학자, 채권투자자 프레드릭 로버트슨 맥컬리 (Frederick Robertson Macaulay, 1882 ~ 1970)에 의해 처음 언급

 

장점

 

출처는 코파일럿

 

 

문제점

출처는 코파일럿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Bond convexit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Financial measurement In finance, bond convexity is a measure of the non-linear relationship of bond prices to changes in interest rates, and is defined as the second derivative of the price of the bond with respect to

en.wikipedia.org

 

 

채권의 기초 | 채권의 볼록성 (Convexity) |

듀레이션에 대해서 얼추 파악했다면, 이번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보자. 마찬가지로, 복잡한 수학적 계산이나 학문적 이론은 학교나 교과서를 통해 습득할 것을 당부드리고, 여기서는 개념적인

financialforest.com

 

'기초화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기매칭형 채권 ETF  (0) 2025.02.03
장기예금  (0) 2025.02.02
단기예금  (0) 2025.02.02
대퇴직 시대(인사)  (2) 2025.01.27
대잔류 시대(인사)  (2)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