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지분형 주택금융 본문

기초화폐이론

지분형 주택금융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25. 3. 29. 03:15
320x100
  • 주택 매수 시 일부 자기자본과 은행 대출, 정부 지분 투자금 등을 조합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 지분 투자를 받은 주택은 주금공 등과 소유권을 나눠 가져야 한다. 추후 주택을 매각할 때 시세 차익이나 시세 손실이 발생하면 지분대로 나누는 식
  •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의 거주 의무 기간은 5년이고 전매 제한 기간은 10년이다. 이후 3자에게 매매 가능

 

역사

 

  •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지분형 분양주택’, 2013년 박근혜 정부의 ‘수익공유형 모기지’ 등 과거에도 유사한 형태의 정책이 추진

 

장점

 

  • 부동산 상승 억제
  • 투기 수요 억제
  • 주택 구입 부담을 낮춰 실수요자의 주택 소유를 도울 수 있다.

 

문제점

 

  • 완전한 소유가 아니기에 체감 주거 안정성이 낮다.
  • 기존 정책과의 차별성이 낮음
  • 정부에 내는 월세 수준이나 지분을 사고팔 때 가격을 산정하는 방식 등에 이견이 있다.
  • 지분을 매입하는 공공기관의 재정 부담이 가중
  • 부정부패와 갑질 개입 가능성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앞으로 정부 투자 받아 집 산다…'지분형 주택금융' 도입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에서 지분 투자를 받는 대신 월세를 내는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도입된다. 이를 통해 주택 매수 시 관행이 돼 버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

v.daum.net

 

 

지분형 주택금융 도입 가계대출 ‘영끌’ 막는다

금융위원회가 불어나는 가계부채 대책의 일환으로 ‘지분형 주택금융’ 도입을 추진한다. 개인이 집 한 채를 통째로 사는 것이 아니라, 지분 일부만 갖고 나머지 지분은 정책금융기관 등이 투

v.daum.net

 

320x100

'기초화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형 주택과 지분적립형 비교표 그림  (0) 2025.03.29
해상화물운임채권의 특징  (0) 2025.03.27
저쿠폰 채권  (1) 2025.03.22
선박건조대금채권 유동화 구조도  (0) 2025.03.20
오픈런  (0)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