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뮤추얼 펀드 본문
320x100
개요
- 영어: Mutual funds
- 같은 말로는 집합투자기구(集合投資機構), 상호 펀드(相互 fund)
-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모아 유가증권을 구입하는 전문 경영 펀드
- 미국형 투자신탁 회사에 속함
- 개인들은 서로 다른 자산을 일일이 매입하는 대신 상호 펀드를 매입하는 한번의 거래로 여러 자산을 균형 있게 살 수 있으며 쉽게 현금화할 수 있고 매입 수수료(load)를 부과하지 않는다
- 상호 펀드사는 펀드 자산 가치의 0.5% 정도를 펀드 운영비로 부과하여 수입을 얻는다.
- 안정적인 자산 증식을 원하는 투자자들의 수단으로 활용
대륙별로 뮤추얼 펀드 규모 큰 국가
- 아메리카: 미국, 멕시코
- 오세아니아: 호주, 뉴질랜드
- 유럽: 독일, 룩셈부르크
- 아시아: 일본, 중국
- 아프리카: 남아공, 이집트
역사
- 비공식적인 뮤추얼 펀드의 선구자인 최초의 현대 투자 펀드는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설립되었는데 1772 ~ 1773년 사이의 금융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암스테르담에 기반을 둔 사업가 아브라함 반 켓비흐(Abraham van Ketwich, 1755 ~ 1794)가 당시 네덜란드어로 "단결이 힘을 만든다.(Eendragt Maakt Magt)" 표어로 신탁을 설립했습니다. 그의 목표는 소액 투자자에게 다각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이었다.
- 공식적인 최초는 1873년에 설립된 영국 최초의 투자 신탁인 스코틀랜드 아메리카 투자 신탁(Scottish American Investment Trust)으로 광범위한 영국 및 국제 자산에 투자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1873년 2월 중순에 런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이래로 지금도 운용되며 FTSE 250 지수에 속한다.
- 미국에서 최초는 1868년 투자조합 형태로 설립된 외국 식민지 정부 신탁(Foreign Colonial Government Trust)이지만 어려가지 이유로 인하여 20세기 초에 폐지되었지만 1940년에 투자회사법이 성립되면서 급속히 성장
- 동아시아에서 최초는 1960년대 일본이며 대한민국에서는 1998년 9월 증권투자회사법이 제정되어 국제적 형태의 뮤추얼펀드가 도입
종류
1. 제도적인 종류
- 회사형(Corporate-type): 출자한 자금으로 서류상의 법인을 설립하며 그 법인에서 운용되며 투자자는 해당 회사의 주주가 되며, 수익은 배당금 형태로 각종 수수료와 세금을 제하고 지급
- 계약형(Contractual-type): 자산운용사와 계약을 맺고 자산을 위탁하며 투자자는 수익증권을 통해 각종 수수료와 세금을 제하고 지급
2. 투자대상에 따른 분류
- 폐쇄형 펀드(Closed-end funds): 펀드에서 현금화할 수 없는, 한정된 양의 주식을 발행하는 단체 투자 모형이며 지분을 펀드에 되팔 수 없고 증권 시장에서 다른 투자자에게 매각이 필요하며 초기에 대량의 자본을 투하하고 나서 매출이 발생할 때까지 몇년 ~ 몇십년 동안 현금흐름이 계속 지출되기만 하는 환매불가펀드에 해당하며 일부 폐쇄형 펀드는 증권 시장에 상장되지 않기에 유동성이 아에 없다.
- 개방형 펀드(Open-end funds): 아무 때나 주식을 발행하고 현금화할 수 있는 단체 투자 체계. 주식 발행량을 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단위 투자 신탁처럼 국제적인 추세이며 대부분이 액티브 펀드
- 단위 투자 신탁(Unit investment trust): 만기가 정해져 있고 고정된 유가증권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상장 상호 펀드. 투자자가 수시로 지분을 펀드에 되팔거나 증권시장에서 매각 가능
-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 ETF): 상장 개방형 펀드 또는 단위 투자 신탁이다. 하루 종일 거래되며 당일 거래(데이트레이딩)이 가능하며 펀드메니저가 개입하지 않는다.
3. 투자 대상에 따라서
- 단기금융시장형(Money Market Funds, MMF): 국내외 단기 채권, 예금증서(CD), 국공채 등 안정적인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 안전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채권형(Bond Funds): 국내외 국채, 회사채, 지방채 등에 투자. 일반적으로 주식형보다 수익률은 낮지만 안정적.
- 주식형(Equity Funds): 국내외 주식에 투자하며, 수익률 변동이 크고 고위험-고수익 상품으로 가입 제한이 존재
- 혼합형(Balanced or Hybrid Funds): 국내외 주식과 채권을 혼합하거나 실물형+채권형(또는 주식형)을 혼합하여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 조정 가능.
- 실물형(Real Assets Fund): 부동산, 선박, 항공기, 외환 현물에 투자
장점
- 투자자들은 원하면 언제든 주식을 사고 팔 수 있고 펀드의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워 자산 유동성이 높고
- 위험성이 작은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은행보다 높은 수익을 낸다.
- 전문성이 높고 투명성이 높다.
- 소액 투자 및 분산 투자
단점
- 공금 횡령이나 회계 부정 등의 다양한 부정부패의 위험성
- 원금 손실 가능성
- 일부 폐쇄형 펀드는 증권시장에서 매각이 불가능하다면 유동성이 아주 낮거나 아에 없다.
- 국내외적으로 지탄받는 증권 범죄에 사용된 뮤추얼 펀드는 국내외 정부이나 국제기구에서 전액 몰수 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뮤추얼펀드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 후 그 운용수익을 투자자 즉 주주들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의 하나이다. 이때 투자자는
100.daum.net
뮤추얼 펀드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모아 유가증권 을 구입하는 전문 경영 펀드 . 개인들은 서로 다른 자산을 일일이 매입하
namu.wiki
320x100
'기초화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시플레이션 (1) | 2025.04.21 |
---|---|
2025년 3 ~ 4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대한 환율 흐름 (0) | 2025.04.17 |
실권주 (1) | 2025.04.08 |
윤석열 계엄령 2달전부터 현재까지의 환율 흐름도 (2) | 2025.04.07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에서 탄핵 및 형사 재판 소송 이후 환율 흐름 (4)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