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유동부채의 개요 본문

회계

유동부채의 개요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08. 1. 27. 13:34
320x100
  • 유동부채(流動負債)이란, 만기가 결산일 현재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도래한 것
  • 종류에 다라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지급, 미지급 비용 등이 있다.
  • 토지나 건물을 취득이나 매각에 따라 채권, 채무가 있는데 이 경우 채권은 미수금 계정으로  채무는  미지급 계정으로 기입한다.
  • 미수금. 대여금이 만기가 대차대조표 일로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것은 유동자산의 당좌자산으로 분류
  • 장기미수금이나 장기대여금은 투자자산 또는 기타 투자자산으로 분류가 된다.
  • 미지지급금과 차입금, 장기부채의 현재 만기, 배당금, 고객의 선급금, 소득세 같은 세금 경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 유동부채으로 분류
  • 1년 이후에 만기일 경우 장기 미지지급과 장기차입금의 계정과목하여 비유동 부채으로 분류
  • 어음상의 채권, 채무이라도 일반적 상거래에서도 발생한 어음상의 채권과 채무만이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이라는 계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  
  • 결제는 일반적으로는 1년 이내에 소진되는 자산인 유동자산을 사용한다.
  • 이 계정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시대 개성상인들이 사용했던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에서 나온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음의 개요  (0) 2008.01.28
매입채무  (0) 2008.01.27
부채 개요  (0) 2008.01.27
현가계산표  (0) 2008.01.26
정상연금의 현재가치  (0) 200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