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기타분석비율 – 손익분기점률 본문
320x100
- 영어: BEP: Break Even Point Ratio
-
손익분기점에서의 매출액과 실현된 매출액의 비율
- 낮을수록 유리하며 높으면 좋지 않음을 판단하여 비용을 고정비, 변동비로 분류하여 조업도 변동에 따르는 수익, 비용, 이익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기업(개인)의 매출계획이나 이익계획은 수립이 가능
- 미국 경제학자 조엘 딘(Joel Dean, 1906 ~ 1979)이 1948년에 발표한 논문인 "기업의 비용 구조 및 손익분기점 도표(Cost structures of enterprises and break-even charts)"에서 처음 등장한다.
- 기업분석에서는 경상이익을 기초한다.
- M/S비율이 높으면 영업상황이 좋아지므로 기업이나 자영업자(일반적으로 고용주의 연금혜택을 못 받는 사업자)들이 이 지표의 비율에 집착하는 것도 사실이다.
M/S비율 = (실현된 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실행된 매출액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분석비율 – 활동성 정의 (0) | 2009.05.04 |
---|---|
기타분석비율 – 경제적 부가가치 (0) | 2009.04.27 |
기타분석비율 – 손익분기점 (0) | 2009.04.27 |
기타분석비율 – 결합레버리지와 결합레버리지도 (0) | 2009.04.20 |
기타분석비율 – 재무레버리지도 (0) | 2009.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