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부실기업판단 – 1. 계정과목으로 파악 본문
320x100
A. 재고자산
-
기업의 필요악이라고 불리며 적정량에 넘거나 적을 경우 좋지 않다고 판단
-
재고자산이 과거기업의 평균추세흐름 또는 업종평균에 어긋나면 면밀한 판단 요구
-
부도나기 전 2년 전부터 급격히 증대됨
B. 매출채권
- 자산에 속하지만 불황기에는 회수가 불가한 불량자산으로 격하(格下)됨
- 재고자산과 마찬가지로 부도나기 전 2년 전부터 급격히 증대
C. 차입금
- 단기, 중기, 장기 차입금을 모두 포함
- 단기차입금 금리가 차입금 함께 증대된다면 주의를 요구
- 고금리에도 자금이 필요한 경우 급박한 일이 겪고 있다는 것을 파악됨
D. 단기유가증권 중 파생상품
-
파생상품 경우에는 위험회피 동시에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유가증권이자 수익증권임
-
가격 급등락이 나면 거래소에서 증거금(證據金)부족 이유로 충당요청 된다면 기업은 자금압박 요인이 되어 흑자 부도 원인 됨
-
선물, 옵션, FX마진, ELW 등이 해당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실기업 판단방법: 3. 수익성 지표 (0) | 2009.07.22 |
---|---|
부실기업 판단방법 – 2. 안정성 지표 (0) | 2009.07.22 |
부실기업 예측 – 타의적인 부도 (0) | 2009.07.13 |
부실기업의 예측 – 흑자부도 (0) | 2009.07.13 |
부실기업(不實企業)의 예측 – 적자부도 (0) | 2009.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