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자산구성의 정의와 자산구성의 관리 개요 본문

회계

자산구성의 정의와 자산구성의 관리 개요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09. 10. 5. 20:23
320x100
  • 자산구성(Portfolio, 자산구성(포트폴리오)이란 효율적인 유가증권이나 상품구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시키고 위험을 축소시키는 전략(속담: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 같은 의미로 자산구성 투자목록이라고 한다.

  • 자산구성은 분산의 원칙과 관리원칙에서 효율적 시장이 적용됨

  •  효율적 시장은 증권시장에서 정의와 경제학에서의 정의(定義)로 구분

A.   효율적 시장(경제학): 용의 극대화를 위한 배분이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것

B.   효율적 시장(증권시장): 정보가 모두 다 충분히 반영되는 정보의 효율성

  • 이것이 적용되는 가설은 바로 효율적 시장 가설(가격정보가 반영되어 누구도 보다 나은 투자수익을 올릴 수 없는 시장 형태의 가설)이 나온다.
  • 종류에 따라 약 형, 준 강형, 강형을 구분

가.   (Week Form): 모든 정보는 과거의 주가에 반영되어 기술적 분석이 무의미

.  준 강형(Semi Strong Form): 모든 정보, 공표되는 시장정보가 이미 가격에 완전 반영되어 초과수익이 불가능하며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이 모두다 불가능

다.  강형(Strong Form): 공표된 정보와 내부자정보도 초과수익이 모두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