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만년설 본문
320x100
개요 및 특징
- 한자: 萬年雪
- 영어: Firn
- 기온이 낮은 고도(高度)의 산이나 고위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눈으로 녹는 양보다 일 년 내내 남아있는 눈이 더 많은 것을 의미
- 최초의 만년설 추정은 중시생대 풍골라 빙하기 시대이다.
- 한자의 뜻은 만년설은 1만 년이나 될 정도로 오래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녹지 않는 눈이라는 의미
- 영어의 "Firn"뜻은 전나무,빙하 위쪽의 싸라기눈, 싸라기눈 이라는 의미가 있다.
- 만년설의 밀도는 0.4~0.84g/㎤이며 입자크기는 약 0.5~5㎜이다.
- 약 45~60m 깊이에서 계속해서 압축되면 빙하빙으로 바뀌는데, 만년설이 공기와 물에 대해 어느 정도 투수성을 갖고 있는 반면 빙하빙은 공기와 물을 전혀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수성
- 일부 건조기후 지역에서는 황토빛 사막 한가운데에 높은 만년설산이 있는 곳이 있다. (예: 타키지키스탄의 파미르 고원)
- 단순히 만년설을 녹이고 약간의 살균 과정을 거치면 먹을 수 있으며 만년설을 이용한 생수 브랜드도 많이 있다.
- 지구 온난화으로 만년설이 사라지는 곳이 많아졌다.
과정
- 내리는 눈으로 쌓임
- 눈이나 어려가지 요인으로 파괴되거나 녹거나 해서 재결정(再結晶)됨
- 적어도 1년 시간 소요
- 계속되면 얼음화
인공지능이 만든 만년설 이미지들
인공지능이 만든 만년설 이미지
만년설 설명 만년설 ※ 2023년 7월 7일에 글 수정 한자: 萬年雪 영어: Firn 기온이 낮은 고도(高度)의 산이나 고위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눈으로 녹는 양보다 일 년 내내 남아있는 눈이 더 많은 것을
caughtwriting.tistory.com
자세한 설명 사이트
만년설 - 나무위키
7,000미터 이상. 7대륙 최고봉은 굵게 표시. 트리글라우 산 - 만년설이 있었으나 지구온난화로 인해 2010년대 후반에 들어오면서 사라졌다.노르웨이의 스칸디나비아 산맥 - 워낙 위도가 높아 서늘
namu.wiki
Fir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artially compacted névé Not to be confused with Fern. Sampling the surface of a glacier. There is increasingly dense firn between surface snow and blue glacier ice. Firn (; from Swiss German firn "last year's", cogn
en.wikipedia.org
만년설
눈과 빙하빙의 중간에 해당하는 부분적으로 고화된 싸락눈(→ 얼음). nv라고도 함. 만년설은 빙하지역에 내린 눈의 하부에 나타난다. 상부 눈에 의해 압력을 받은 하부 눈의 눈입자가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