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천공 카드 본문
320x100
개요
- 영어: punched card
-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규칙에 따라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 종이 카드로서 초기의 저장매체
- 표준 천공 카드의 크기는 가로 187.32mm, 세로 82.5mm이며, 천공 위치는 가로 80자리, 세로 12자리가 있다.
- 카드에 구멍을 뚫으면 1, 안뚫으면 0, 이런 식으로 프로그램을 짜게 되며 하나 카드 뭉치 떨어뜨려서 카드 순서 섞이면 모든 것이 엉망진창이 된다.
- 천공 카드로 1MB 짜리 프로그램을 짰다고 하면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천공 카드가 13,108장이 필요하다.
역사
- 1725년 즈음에 바실 부숑(Basile Bouchon, ? ~ ?)과 장밥티스트 팔콩이 더 튼튼한 형태의 천공 종이말이로서 처음 사용하였고 나중에 프랑스에서 직기를 제어하는 데 이용
- 1801년에 조제프 마리 자카드(Joseph Marie Jacquard, 1752 ~ 1834)가 그의 자카드식 직조기에서 크게 개선
- 19세기 말 독일계 미국인 통계학자인 헤르만 홀러리스(Herman Hollerith, 1860 ~ 1929)가 이를 본격적으로 미국 정부의 국가통계작성과 인구조사 자료처리를 위해서 전산업무에 활용 할 수 있도록 1행이 12자리인 체계인 홀러리스 코드를 고안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상용화
- 19세기 ~ 20세기 중반에 발행된 당시 미국 1달러 지폐 한 장 정도의 크기를 가진 천공 카드 한장에는 최대 80바이트 용량의 정보까지만 담을 수 있었다.
- 190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천공 카드는 자료 기입, 자료 기억 등을 위한 주된 매개체였다.
- 일부 오래된 시스템이나 오래된 전문 응용 프로그램 쪽을 제외하고 쓰이지 않으며 다른 매체으로 대체되었다.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천공 카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공 카드(穿孔-, punched card)는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규칙에 따라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 종이 카드로서 초기의 저장매체이다. 천공 위치에
ko.wikipedia.org
천공 카드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320x100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형 인터넷 사업자 (0) | 2023.08.21 |
---|---|
비정형 데이터 (0) | 2023.08.18 |
다크 웹 (0) | 2023.08.02 |
계층별 관련성 전파 (0) | 2023.07.20 |
NSFW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