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사용자당 평균 이용요금 본문
320x100
- 영어: Average Revenue Per User(ARPU)
- 같은 말로는 영어 발음 "애버리지 리브뉴 퍼 유저", "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이며 프랑스에서는 "고객당 평균 매출(Le revenu moyen par client)"이라고 한다.
- 이 단어는 주로 "ARPU"라는 약어로 불리며, 이는 "아르푸"로 불린다.
- 1990년 미국에서 통신회사 인수합병을 위해서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월평균 운용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
- ARPU가 상승한다는 것은 가입자의 통신 이용이 높아지거나 사용자의 해당 사이트에 대한 이용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
- 디지털 미디어 회사, 소셜 미디어 회사 및 통신 회사에서 고객별 수준에서 수익 창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GAAP 지표
예) 어떤 회사가 총 수익이 200이고 가입자 수는 100이면 200/100=2 그러므로 한명의 가입고객당 2의 가치를 창출한다고 알 수 있다.
중요성
이것말고도
- 세무당국: ARPU수치를 이용하여 급감에 따라서 세금 부과량이 달라진다.
- 통신규제당국: 통신 회사가 공정한 가격을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너무 높으면 통신 회사가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규제당국은 이를 바탕으로 가격 규제와 이에 따른 통신 규제제도를 도입
- 1,2의 공통: 세무당국이나 통신규제당국이 시장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시장의 성장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사용
- 통신사의 고객 세분화 분석: 지리적 지역 또는 다양한 고객 계층에 따라 분류하고 어떤 고객 그룹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에 따라 서비스 방식이 달라지며 지리적, 지형적인 이유로 도움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려가지 방법으로 개선 추구하고 이익 창출
- 예측/재무 모델링: 수익 가정을 더 쉽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재무 모델링에 유용하며 수익창출 예측이 가능
-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
문제점
- 모든 사용자를 동일하게 취급
- 저매출 사용자에게 과도하게 집중
- 과금 여부를 고려하지 않음
- 시장 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리다.
- 회사의 경영진이 주주들에게 더 좋은 성과이나 주가 상승을 위해서 또는 공과금 납부액 절약을 위해서 수치 조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과 규제 기관들은 종종 여러 가지 다른 지표(예: 유저 1인당 평균 결제 금액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ARPPU) 와 함께 ARPU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 - Plato Data Intelligence
사용자 당 평균 수익 (ARPU)은 회사가 무시할 수없는 과소 평가 된 지표입니다.
zephyrnet.com
Average Revenue Per User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ARPU), also known as average revenue per unit, is a non-GAAP metric commonly used by digital media companies,
corporatefinanceinstitute.com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