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로봇 본문
320x100
- 체코어: robota
- 1921년 체코슬로바키아의 극작가, 번역가인 카렐 차페크(Karel Čapek, 1890 ~ 1938)의 희곡인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Rossum's Universal Robots)에서 나온 단어이지만 그 이전에도 그리스 신화의 청동거인 탈로스 전설, 그리고 유대인의 골렘 설화 등이 그 기원으로 꼽힌다.
- 열자(列子) 탕문 편에는 주나라 목왕 시절 언사(偃師)라는 기술자가 만든 인형이 언급이 되지만 다른 사서에서는 언급이 없으며 계해우형지(桂海虞衡志)에는 황부인의 목각 자동인형들이 일을 하고 있었다는 언급이 있으며 제갈충무후문집에 인용되었다.
- 실질적 최초의 산업용 로봇은 1961년 미국의 엥겔버거(Joseph Engelberger)가 개발한 ‘유니메이트(Unimate)’라는 로봇
- 본격적인 로봇생산과 로봇을 이용한 최초의 산업자동화는 일본의 가와사키중공업으로 1968년에 미국의 로봇기술을 도입
일반적인 로봇의 정의
- 『기계』 인간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걷기도 하고 말도 하는 기계 장치
- 『기계』 어떤 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기계 장치
-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것을 말하며 의미상으로는 기계의 하위 범주에 위치
- 남의 지시대로 움직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카렐 차페크는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어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인간을 닮은 것을 말했다.
로봇의 3원칙
- 미국의 소설가, 화학자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1920 ~ 1992)가 1950년 발간한 소설인 '나는 로봇(I'Robot)'에서 제안된 로봇의 행동에 관한 3가지 원칙에 나왔다.
- 제1법칙: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되며, 위험에 처해 있는 인간을 방관해서도 안 된다.
- 제2법칙:로봇은 인간이 내리는 명령들에 복종해야만 하며, 단 이러한 명령들이 첫 번째 법칙에 위배될 때에는 예외로 한다.
- 제3법칙:로봇은 자기 자신을 보호해야만 한다. 단, 제1법칙과 제2법칙을 걸러버릴경우는 예외다.
1. 로봇의 사용처에 따른 분류
산업용
- 자동차 조립
- 전자제품 조립
- 자동 운반 로봇
- 배달 로봇
의료용
- 수술 보조 로봇
가정용
- 로봇 청소기
- 애완용 로봇
- 간병 로봇
- 세탁 로봇
군사, 탐사용
- 우주탐사선
- 무인 정찰기
- 폭발물 제거 로봇
- 해저탐사선
- 지하, 동굴 탐사 로봇
2. 개념에 따른 분류
-
휴머노이드: 인간처럼 몸통 위에 머리가 있고 팔다리가 좌우로 하나씩 한 쌍으로 지닌 '형태'를 말한다. 로봇에만 한정되는 용어가 아님에 유의.
-
안드로이드 : 인간의 모습과 두뇌를 지닌 로봇이다.
-
가이노이드 : 여성형 안드로이드를 의미한다.
-
-
사이보그: 신체 일부를 기계로 대체한 인간이다.
3. 조작법에 따른 분류
- 수동조작형 로봇(manual manipulator, 메니엘 매니퓰레이터): 인간이 직접 조작
- 순서형 로봇(sequence robot, 시퀀스 로봇):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행동하는 로봇
- 재생형 로봇(playback robot, 플레이백 로봇 ): 정해진 행동 또는 인간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로봇
- 수치제어 로봇(numerically controlled robot): 프로그램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수치제어 로봇
-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 인텔리전트 로봇): 학습능력과 판단력을 지니고 있는 로봇
4. 세대별 분류
제1세대: 수동조작형, 순서형 로봇(1960 ~ 80)
제2세대: 재생형, 수치제어(1980 ~ 2000)
제3세대: 지능형 로봇(2000 ~ )
인공지능이 만든 로봇 이미지
로봇에 대한 증권사 보고서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