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루이스 전환점 본문

기초화폐이론

루이스 전환점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24. 10. 22. 21:32
320x100
  • 영어: Lewis Turning Point(루이스 터닝 포인트)
  • 경제 발전에서 농촌 노동자의 과잉 고용이 제조업 등의 부문으로 완전히 흡수될 때 발생
  • 세인트루시아 경제학자 윌리엄 아서 루이스(William Arthur Lewis, 1915 ~ 1991)경이 195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유래
  • 제조업 등의 산업 부문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드는 인건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농업 부문에서 일자리를 더 이상 창출할 수 없는 상황이 오는 것을 말한다.
  • 경제성장이 급속도로 이루었지만 점차 인력이 도심으로 고임금으로 가면서 점차 저효율 구조로 가며 고점을 찍고 한동안 성장세 없이 가다가 보통은 과학기술발달이나 새로운 분야의 성장으로 다시 올라가는 형태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필수 금융상식 A to Z] 루이스 전환점

루이스 전환점(Lewis Turning Point)은 경제학에서 개발도상국이 경제 성장 과정 중 특정 시점에 도달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1954년 영국 경제학자 아서 루이스(Sir Arthur Lewis)가 처음 제시한 이론으로,

news.jkn.co.kr

 

320x100

'기초화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이율(보험)  (0) 2024.10.25
열등처우의 원칙  (0) 2024.10.22
피구의 세금  (0) 2024.10.20
대한민국 국채 종류  (0) 2024.10.20
슬로플레이션  (0) 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