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공시이율(보험) 본문

기초화폐이론

공시이율(보험)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24. 10. 25. 09:26
320x100

먼저 예정이율 대해서 알아야 한다.

 

 

예정이율

보장성 보험에서 쓰이는 일종의 금리시중은행 예금금리와 유사하지만 반응속도는 예금금리와 달리 엄청 느림 → 다른 금리지표가 올라야 보험사 예정이율이 달라짐일반적으로 예정이율이 생

caughtwriting.tistory.com

 

공시이율

 

  • 보험사가 운용자산의 이익률과 시중금리 등을 바탕으로 산출하여 일정 기간마다 공시하는 이율
  • 보험회사들이 국고채, 회사채, 통화안정증권, 양도성예금증서 유통수익률 등 금융감독원장이 정하는 객관적인 외부지표 금리에 일정이율을 가감한 이율과 운용자산이익률을 등을 반영해 자율적으로 매달 산출
  • 공시이율이 높아지면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늘어나고, 반대로 낮아지면 보험금이 줄어든다.
  • 종신보험, 연금보험 등 저축성 상품에 적용되며, 매월, 3개월, 6개월 단위로 조정

 

미국, 유럽 경우

 

  • 미국에서는 신용이자율(crediting rate)이라고 해서 미국의 보험사들은 종신보험이나 연금보험 같은 저축성 상품에 대해 신용이자율을 공시한다,
  • 유럽연합 경우에는 이자공시(interest declaration)이라고 해서 수시로 신문, 방송, 게시판 공시 등으로 자주 알려야 한다.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공시이율

은행의 예금금리처럼 고객에게 지급되는 이자로 시중금리와 연동해 적용되는 일종의 보험 예정금리다. 보험회사들이 국고채(3년 또는 5년), 회사채(무보증 3년 AA-등급이상), 통화안

100.daum.net

 

320x100

'기초화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익공유제  (0) 2024.10.28
불가능의 삼각 정리  (0) 2024.10.25
열등처우의 원칙  (0) 2024.10.22
루이스 전환점  (0) 2024.10.22
피구의 세금  (0)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