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채근담 전편 1 ~ 52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본문
1편
신후지신(身後之身)
1. 현세의 육체가 죽은 뒤 명예 또는 평판
2. 육신은 없어져도 육신과 함께 없어지지 아니하는 것
3. 사람이 죽고나서 그 사람이 남긴 일생의 업적.
4. 현실적 존재 뒤에 있는 본래의 존재.
3편
천청일백(天靑日白): 드넓고 맑아서 사악함이 없음
옥온주장(玉韞珠藏): 재능에는 뽐냄이 없어야 한다는 속뜻이 있다.
4편
지계지교(智械機巧)=권모술수(權謀術數) :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온갖 술책
6편
제일광풍(霽日光風): 비온 뒤에 해가 나오고 온풍이 부는 모습
질풍노우(疾風怒雨) =질풍노도(疾風怒濤) : 성격이 다혈질이고 맹렬한 사람 또는 청소년 시기
8편
무식소정(無息少停): 조금의 멈춤이 없다.
11편
빙청옥결(冰淸玉潔): 인품이 고결함, =청렴결백(淸廉潔白)
비슬노안(婢膝奴顔): 비굴한 태도로 아첨함을 의미
14편
고원사업(高遠事業): 고상하고 원대한 일 또는 위대한 사업을 말한다.
증익공부(增益工夫): 학식을 쌓는 공부
19편
분사여인(分些與人) : 남에게 조금씩 나누다.=봉사
원해전신(遠害全身): 화근을 멀리하고 몸을 온전케하다.
욕행오명(辱行汚名): 치욕스러운 행위와 더러워진 이름
22편
운전풍등(雲電風燈): 일시적이고 안정성이 없는 것을 말함
사회고목(死灰槁木): 열정이나 생명력이 없음
정운지수(定雲止水): 고요하고 정적인 것
26편
남녀지견(男女之見): 이성의 생각, 남녀간 성교
29편
적성이정(適性怡情)=이정열성(怡情悅性)
마음을 즐겁고 상쾌하다.
제인리물(濟人利物): 타인을 돕고 세상을 이롭게 하다.
31편
빈천기행(貧賤基行): 행실이 마치 가난한 사람처럼 행동하는 사람을 말함
우몽기병(遇懵基病): 행동거지가 우매하고 무지하여 모자란 사람 같다.
35편
행불거처(行不去處): 일이 순탄치 못해서 이도저도 못하는 곤란한 상황을 말한다.
행득거처(行得去處): 일이 거침없이 진행되다.
양심분지공(讓三分之功): 조금 양보하는 공덕
37편
· 유사정기(留些正氣): 지극히 크고 굳센 기운을 남기는 것을 말한다.
· 유개청명(遺個淸名): 깨끗한 이름을 남기다.
혼악(渾噩): 혼혼악악(渾渾噩噩)의 약자, 꾸밈없음
39편
청정전(淸淨田): 잡된것이 없고 순수하고 깨끗하다는 의미
40편
원격천산(遠隔千山): 멀리 떨어져 있음을 말
41편
염두농자(念頭濃者):치밀한 성격의 사람, 용의주도한 사람, 생각이 섬세한 사람을 의미한다.
42편
위군상소뢰롱(爲君相所牢籠): 상대방을 농락하다.
43편
진리진의(塵裡振衣): 아무런 효과가 없음
나중탁족(泥中濯足) : 아무런 효과를 없음을 말함
비아투촉飛蛾投燭) : 위험한 곳에 무작정 뛰어 듦
저양촉번(羝羊蜀藩) : 앞만보고 저돌적인 행동하다가 진퇴양난에 빠짐
초달(超達): 타인보다 뛰어나서 목표에 도달하다.(=천재)
45편
욕폐정봉(慾蔽精封): 자비로운 마음과 참된 정취가 욕정과 욕망에 의해 가려지고 막힘
당면착과(當面錯過): 1. 눈 앞에 스쳐 지나가는 작은 실수, 2. 작금(昨今)의 작은 실수
46편
목석적염두(木石的念頭): 목석처럼 확고해서 외물의 유혹에 동요되지 않는 마음
제세경방(濟世經邦): 세상사람을 구제하고 나라를 다스리다
50편
용중지인(庸衆之人): 평범한 사람
52편
내불견기(內不見己): 마음속으로 자신이 한일을 의식하지 않는다.
외불견인(外不見人): 상대방이 내가 베푼 은행을 감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책인지보(責人之報): 보답을 기대하다
계기지시(計己之施): 남에게 베푼 은혜를 염두하다.
'도서와 영화 감상과 그 평가 > 독서 내용과 그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담 전편 84 ~ 120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0) | 2017.04.25 |
---|---|
채근담 전편 53 ~ 80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0) | 2017.04.18 |
좋은 구절 : 성경 외경 (0) | 2016.10.14 |
좋은 구절 : 성경 정경 9 (0) | 2016.10.12 |
좋은 구절 : 성경 정경 8 (0) | 201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