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채근담 전편 53 ~ 80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본문
53편
상관대치(相觀對治): 나와 상대방의 상호관계를 살피고 대조하여 문제를 해결하다.
54편
절이대사(竊以濟私): 훔쳐서 자신의 사욕을 채우다.
55편
일이전진(逸而全眞): 편안하고 한가로우면서 천성을 온전하게 지키다.
56편
구두선(口頭禪):
1. 불교용어로 실행이 따르지 않는 말
2. 말을 그대로 답습하여 말을 꾸미는 것
57편
일부진문장(一部眞文章):
1. 한편의 참다운 문장
2. 밝고 순결하여 아무런 잡념이 없는 마음의 경지
58편
열심지취(悅心之趣): 마음을 기쁘게 하는 정취 또는 흥취
실의지비(失意之悲): 뜻대로 되지 않는 슬픔
59편
산림중화(山林中花):
1. 숲속의 꽃
2. 인공(人工)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환경(環境)
천사폐흥(遷徙廢興):
1. 변동에 따라 흥망성쇠가 좌지우지(左之右之)되다.
2. 변화에 따라 지대한 영향을 받다.
60편
부우온포(復遇溫飽)=호의호식(好衣好食), 온의포식(溫衣飽食)
61편
긍업(兢業): 긍긍업업(兢兢業業)의 약자로서 조심하고 두려워하다.
추살(秋殺): 만물이 시들고 쇠락하는 것
춘생(春生): 추살(秋殺)의 반대어(反對語)으로 만물이 소생하여 무성(茂盛)하게 자라는 것
64편
명근(名根): 명예를 좋아하는 근성
66편
명위(名位): 명예와 지위
기한(饑寒): 굶주리고 춥다.
68편
천역무소용기기량의(天亦無所用其伎倆矣) :
1. 하늘도 기량을 쓸 수가 없다.
2. 군자는 하늘도 어찌 못한다.
69편
응체고집자(凝滯固執者): 융통성(融通性)이 없는 사람
76편
함구납오지량(含垢納汚之量):
1. 때묻는 것을 받아들이고 더러운 것을 용납하는 아량
2. 못된 사람도 포용하고 치욕을 참아내는 아량이나 도량
호결독행지조(好潔獨行之操): 고결한 것을 중시하거나 특별하게 행동하는 지조
79편
소강위유(銷剛爲柔): 강직한 성격이 탐욕 때문에 유약해져 버린 것
80편
성성불매(煋煋不昧) : 청명하여 사리에 어둡지 않다.
'도서와 영화 감상과 그 평가 > 독서 내용과 그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담 전편 121편 ~ 160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0) | 2017.05.06 |
---|---|
채근담 전편 84 ~ 120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0) | 2017.04.25 |
채근담 전편 1 ~ 52편에서 뽑은 사자성어 (0) | 2017.04.12 |
좋은 구절 : 성경 외경 (0) | 2016.10.14 |
좋은 구절 : 성경 정경 9 (0) | 2016.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