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지수연동펀드 본문
320x100
- 영어: Exchange Traded Fund(ETF)
- 인덱스 펀드 중 하나
- 기존 인덱스 펀드 달리 거래소나 코스닥에 상장하여 거래하기에 주식 같은 방법으로 거래 가능
- 거래소 또는 코스닥 거래시간 중에 자유로이 현재가에 매매가 가능하고 매매법도 일반 주식 같이 증권사에 연락하여 직-간접적으로 주문하거나 HTS(Home Traded System)이나 전화로 가능
- 그러나 일반 주식 달리 특정 주가 지수(예 : 미국 S&P 지수, KOSPI 200 지수 등)를 따라 수익 내는 것 목적으로 하는 인덱스 펀드이다.
- 지수연동펀드는 상승장에서는 특정종목에 투자하는 수익률보다 적지만 상자 장세이거나 하락추세에서는 덜 하락하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다.
- 가톨릭 성서의 역대상 29장 30절에 "또 그의 왕 된 일과 그의 권세와 그와 이스라엘과 온 세상 모든 나라의 지난날의 역사가 다 기록되어 있느니라." 이 구절 바탕으로 생각한 것에서 출발함
- 1989년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만들어 상장된 것이 최초
- (한) 국내에서는 2002년 삼성투자신탁과 한국투자신탁, LG투자신탁이 내놓은 KODEX 시리즈와 KOSEF 시리즈가 최초
- (한) 국내의 유명한 ETF으로는 KODEX 200, KODEX 레버리지, KOSEF 국고채 시리즈 대표적이며
시장 종류
가. 유통 시장 : 일반투자자들(개인 투자자)과 지정 판매사(AP : Authorized Participant)가 거래소 또는 코스닥 통해 ETF를 주 식고 같은 방법으로 매매
나. 발행시장 : 지정 판매사를 통해 ETF의 설정과 환매가 일어나므로 차익거래시나 대규모 설정, 해지 시 가능
특징
- 장중매매가능성 : 뮤추얼 펀드 달리 장중 가격으로 보면서 시장가격으로 매매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의사결정을 하고 즉시 실행 가능
- 환매 가능성 : 시장에서 매도하게 되므로 환매가격을 즉시 결정
- 공매도 : 주식과 같이 공매도 또는 대주에 의해 매도가 가능
- 보수 : 일반 펀드 비해 낮지만 매매 시 수수료가 부담해야 는 단점 존재
- 거래비용 : 현물로 설정, 해지하기 때문에 펀드 내에서 설정, 해지에 따른 매매 수수료 부담이 없음
- 시장충격비용 : 시장에서 형성되는 ETF의 매수, 매도호가 간 시장충격 비용 존재
회계 처리 : 대부분 단기금융상품으로 처리하지만 회사별로 만기보유증권 또는 장기금융상품으로 처리하는 곳이 있으므로 회사 방침을 알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