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스왑: 통화스왑2 본문
통화스왑에서 쓰이는 용어들
1. 통화 베이시스 스왑: 통화스왑의 거래기초가 되는 거래, 신문 상이나 은행 고시에 제시된 통화 스왑은 이것을 말하고 다른 의미로 은행 간 스왑거래이라고 함
2. 베이시스: 시장의 특수상황에 기인하여 리보금리나 기타 금리의 스프레드(가산금리)가 적용되어 거래되는 것
3. 무이표스왑: 표면이자율(금리)이 없는 스왑
4. 고정금리: 협의한 금리, 또는 자금(자본)시장에서 결정, 형성된 금리이며 t+1에 지급되는 이자는 Ft+1= A * RF * 이자지급베이시스( Day Count Fraction)(t+1 – t)
5. 변동금리: 일정기간 또는 일정연도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형태, t+1에 지급되는 이자는 Lt+1= A * (RL + Libor Margin or Spread) * 이자지급베이시스(t+1 – t)
통화에 따라 Lt+1= A * (RL + 리보금리 이윤 or 리보금리 차이) * (t+1 – t)/360 or,
Lt+1= A * (RL + (리보금리 이윤(Libor Margin) or 리보금리 차이(Spread)) * (t+1 – t)/365
6. 리보금리(London Inter-bank Offered Ratio): 런던의 금융시장에 있는 은행 중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일류 은행들이 자기들끼리의 단기적인 자금 거래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
7. Offer Rate: 일명 팔자(Sell), 외환 매도자(공여자)이나 자금공여자가 제시한 금리, 환율
8. Bid Rate: 일명 사자(Buy), 외환 매입자(수취자), 자금 수취자 제시한 금리
9. 양도성예금증서: 양도가 가능한 무기명식 정기예금
10. 현물환율(Spot Rate): 계약을 체결한 후 2영업일 이내에 외환을 지급하거나 수치할 수 있는 결정된 환율
11. 통화: 그 나라의 동전이나 지폐
12. 현금흐름: 기업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
13. 코리보: 한국 시중은행들 간에 적용되는 단기 기준 금리
14.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금리
15. 신용가산금리: 직업이나 거래 실적 등을 개인의 신용도를 따져 결정한 금리
16. 기간가산금리: 대출금을 연장할 때 적용되는 추가금리
17. 지역 리보금리(Local Inter-bank Offered Ratio): 자국이나 어느 정도 유명세가 있는 금융시장에 있는 은행 중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일류 은행들이 자기들끼리의 단기적인 자금 거래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
18. 원금 : 투자자 본인이 갖고 있던 본래의 돈, 여기에서는 고정금리이자 및 변동금리 이자 계산에 사용되는 금액이며, 이자율스왑에서 원금의 교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19. 유효일 : 첫번째 고정금리 및 변동금리 이자의 계산이 시작되는 일, 이자 지급이 발생하지는 않음.
20. 이자지급일 : 이자가 지급된 날, 일반적으로 년지급(Annually), 년 2회지 급(Semi-annually, 매 6개월마다)년4회 지급(Quarterly, 매 3개월마다)
21. 만기일 : 거래가 마쳐지는 날, 비영업일인 경우 영업일 수 계산 조정인 안됨. 어떤 날짜 계산 조건 일지라도 만기일까지만 이자 계산이 됨.
22. 상계 : 지급이 같은 날짜에 발생하는 경우 상계하여 차액만 지급
23. 변동금리 확정일 : 일반적으로 이전 변동금리 이자 지급일 22 영업일에 결정된다.
변동금리 확정일은 금리가 고시되는 도시의 공휴일에 따라 조정된다.
이자 지급일은 양 상대방 소재지 도시의 공휴일과 변동금리 지표(LIBOR 등) 소재지 도시의 공휴일을 동시에 충족하도록 조정된다.
변동금리 지표는 공식적이고, 정보서비스(Reuter, Check 등)에 공개적으로 제공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