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해외채권(1) 본문
320x100
- 영어: foreign bonds
- 같은 말로는 외화채권, 외국 채권, 외화표시채권
- 정부, 지방자치단체, 금융기관 또는 주식회사가 해외투자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의 자금을 차용하기 위해 원화가 아닌 타국의 통화로 발행한 증권(증서)을 말한다.
- 최초는 1820년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다.
- 분산투자, 여행경비 등으로 미래에 사용할 목적으로 하는 경우, 환율변동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면서까지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제공하는 국가에 투자하는 것이 많다.
- 다른 자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대수익률은 높지만, 변동성은 낮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띤다.
종류
위험성
- 유동성 위험 (Liquidity Risk): 거래하고자 하는 채권이 시장가격과 유사한 수준에서 원활하게 거래될 수 있는가에 대한 위험
- 재투자 위험 / 중도상환 위험 (Reinvestment Risk / Call Risk): 각종 이유으로 조기상환이나 발행사에 중도상환 요청하는 경우
- 부도위험 / 신용위험 / 등급위험 (Default Risk / Credit Risk / Rating Risk)
- 이자율 위험 (Interest rate Risk)
- 인플레이션 위험 / 구매력 위험 (Inflation Risk / Purchasing Power Risk):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치 하락 위험성
- 환율변동 위험 (Exchange rate risk): 타국의 통화로 발행된 채권에 투자함으로서 환율 시세의 변동에 노출되는 위험
- 국가위험(Country risk): 투자상대국의 정치, 경제와 법령상의 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투자원리금의 상환불능 또는 연기의 위험
- 거래 비용 위험: 투자 방식별 수수료 체계와 국가별 세금 규정에 따른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