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폐 이론 (1312)
소소한 것들의 창고
공급의 결정요인이란, 가격이나 공급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 공급결정요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몇 가지 뽑아 볼 수 있다. 공급결정요인이나 수요결정요인도 인간이나 동물의 심리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다. 상품가격등락: 상품가격이 상승할 때 공급을 늘린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것은 생산자가 지켜야 할 준칙이며 같은 말로 공급량 변화이라고 한다. 기술향상: SCM(공급망사슬), EPR(전사적 자원관리)등을 적용될 때 비용이 절감되어 많은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것 영국 산업혁명 당시 기계가 더 많은 인력을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것에도 있지만 그 당시에 자본가들의 그릇된 생각 때문에 러다이트(반 자본주의)운동이 발생한 원인이 된다 수요등락 : 이미 앞에서 설명 관련재화의 가격등락 : ..
공급(供給)이란, 어떤 수요가 있을 때 필요한 물건을 조달하는 것 공급의 역사는 수요와 마찬가지로 자연계에서 적용되어왔다. 공급의 종류 개별 공급: 수많은 생산자들의 단위 시장 공급: 개별공급들과의 합
한자: 消費者剩餘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금액 사이에서 발생한 차이의 총합 상품가격이 정상가격(정찰제)이(가) 아닐 때 경우에 발생 상품거래에 대해 정부가 세금을 부과한다면 사회 후생(社會 厚生)에 영향을 준다. 인용 : 임덕호 著 교양경제 제2판 : 현실경제의 이해
영어: Adam Smith’s Parabox 18세기 영국경제학자 아담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주장한 이론 같은 말로 가치의 역설라고 한다.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모순(矛盾)을 일컫는다. 1세기 동안 경제학자들이 갖가지 이론을 내놓았으나 인정받지 못하고 없어지고 20기초에 한 단위마다 새롭게 느낄 수 있다는 한계효용의 원칙이 등장하여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가 설명이 가능해졌음 등식 교차탄력성 = 수요변화율/타 재화가격변화율
소득변화에 대해 어떤 재화의 수요가 변하는 정도 어느 재화의 소득탄력성을 파악이 가능하면 신규수요가 예측이 가능 등식 소득탄력성 = 수요변화율/소득변화율
한자: 價格規制 가격규제이란, 정부가 경제적 위기와 같은 긴박한 상황에 따라 법으로 가격을 규제하는 것 종류에 따라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가 있으며 최고가격(最高價格)시장가격보다 낮게 설정되는 가격인데 인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생필품가격이 고가라서 저소득층까지 골고루 돌아갈 수 없을 때에 설정되는 가격 최고가격제가 적용되는 사례는 분양가, 약값, 학원비, 각종 서비스 요금규제 등 최고가가격제가 물가안정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는 장점이지만 장기간 실시될 경우 디플레이션이나 기타 상품가격이 급등락이 발생된다. 반대개념인 최저가격제는 시장가격보다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으로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책인데 사례로 석유수출기구의 회원국(OPEC)들이 생산량(生産量)조절하여 국제석유가격을 조절한 사례이나 중-선진..
영어: Price Elasticity of Demand(PED) 상품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두 가지 상품을 비교하여 비율로 나타내어 사용) 영국의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 (Alfred Marshall, 1842 ~ 1912)가 1890년에 출판된 경제 원리에서 "수요의 탄력성"을 정의한 것 등식 P는 상품가격 △P는 가격에 따른 변화량 Q는 수요량, △Q수요량의 변화 이 공식을 사용되면 거의 소수가 나오기 때문에 “1”이하 경우를 비(非) 탄력적(彈力的)말하고 반대의 경우 수요의 탄력적이라고 한다. 가격변화에 따른 매출액 변화는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에 따라 증가(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너무 높으면 수요 줄어들어 인상한 만큼 매출액이 줄어들어 들게 된다. 가격..
공통된 점이 있다면 수요와 공급이 발생하여 가격이 결정되고 모든 이들의 심리가 모이는 장소이라고 말하고 싶다. 하지만 각 시장마다 수요의 역할은 다르다. 1. 증권시장에서의 수요 증권시장 수요이란, 매수/ 매도 수요를 의미한다. 강세(强勢)장이나 실적호조, 실적 회복으로 수요가 급등하면 공급은 줄어들며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라간다. 약세(弱勢)장이나 실적 악화가 된다면 수요는 줄어들며 공급은 증가하여 가격은 폭락한다. 주식시장에서 빠져간 돈은 다른 상품시장으로 흘러들 것이다. 수요와 공급을 나타내는 표가 바로 “차트(Chart, 증권도표)”이다. 2. 외환시장에서 수요 예측이 불가능한 시장이 바로 외환시장이다. 약세이나 강세는 동시에 발생하며 그 나라 통화대한 많은 수요와 공급이 자주 발생 외환선물시장에서..
그림출처 : 임덕호著- 제2판 교양경제 "현실경제의 이해" 수요의 법칙을 도표(圖表)화된 것 수요량의 변화이라고 해서 가격변동에 의해서 수요량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 그만큼 수요곡선 모양이 달라짐 나머지 요인(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 등)이 수요량에 영향을 준다면 그것은 수요..
합리적인 소비자가가 마땅히 지켜져야 할 준칙(準則) 수요의 법칙이라고 부르는 이유 1. 용역이나 상품이라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욕망은 수요의 법칙에 기본적인 요인) 2. 욕구는 가격이 전제될 때 구체화된다. 3. 가격과 수요량의 사이는 역의 관계이라 비용이 클수록 하는 양이 적어짐
수요(需要)이란, 소비 또는 구매(구입)하고자 하는 욕구 수요가 양(통계)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수요량(需要量)라고 한다. 수요발생원인이 여러 가지가 있다만 대표적으로 10가지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수요발생 원인 해당상품가격 장래의 예상가격 연관상품(대체재, 보완재)의 가격 소비자..
1. 회계적 비용(會計的 費用) 타인소유의 생산요소를 사용한 대가를 지불한 비용회계장부에서 기록되어 공개되므로 새로운 단어“시계적 비용(時計的 費用)’이라고 말하고 싶다. 2. 자본비용(資本費用) 자본의 사용에 지급하는 비용자금을 제공한 자에게 지급하는 이용료 외에 자금 조달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포함기업분석에서 EVA 분석 때에 사용되는 단어 3. 단기비용(短期費用) 단시간 내 지불된 것자본시장에서의 당일매매 4. 장기비용(長期費用) 장기간 내 지불된 것정책 실패대한 비용이나 로열티(인세) 5. 요소비용(要素費用) 재화 ·용역의 생산에 관계되는 생산요소로서의 지급액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나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 1883.6.5~1946.4.21) 가 정의(定義) 내린..
비용(費用)이란, 상품이나 용역을 사용하고자 지불되는 액수를 말하며 비용이 크다는 소리는 지불되는 액수가 커진다는 의미이다. 종류 비용도 여러 가지 있지만 대표적 10가지만 설명을 하고 또 다른 비용의 종류는 다른 페이지에서 다룰 생각이다. 1. 매몰비용(埋沒費用) 한번 지출(持出)되면 다시는 찾을 수 없는 비용 먹거리, 석유값, 통신료 등 2. 총비용(總費用) 생산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비용 총비용은 원가회계에서 고정비의미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총비용이 증가하는 것 3. 고정비용(固定費用) 원가회계에서 다루는 비용으로 생산량과 관계없이 발생되는 비용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고정비용도 증가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4. 가변비용(可變費用) : 고정비용을 초과하여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늘어나는 비용 5..
경제주체들에게 정보와 동기를 제공 : 가격은 경제주체들에게 어느 것을 구매하는 것이 유리한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준다. 자율적인 분배기능 : 구체적인 지시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분배문제를 해결해주는 중요한 역 수요와 공급조절 : 가격은 고저(高低)따라..
가격(價格)이란, 상품이나 용역을 향유(구입을 위해)하기 위해 대가로 지불되는 비용 상품가격(上品價格) : 상품의 한 단위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금액
경쟁(競爭) 자원이나 용역을 의존하여 서로 다루는 것 경쟁이 지나치면 사회문제가 되는 동시에 자본시장 경우 경쟁이 심화된면 가격의 급등락을 가져온다. 경쟁 발생 원인은 어려가지 이론이나 실제가 존재하지만 몇 가지로 정리 가. 사회, 문화, 경제체제(經濟體制), 세계(世界)의 동향(..
유익(有益)여부에 따라 재화(財貨)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 좋은 편익을 주는 것 비(非) 재화 : 욕구 충족시키는 것보다는 해악(害惡)을 끼치는 것 대가(代價)를 치르지 않은 여부에 1. 자유재(自由財) 같은 말로 무료재 (無料財) 대가를 치르지 않고 공짜(Free)얻는 것 자유재가 훼손되면 다시..
경제문제 대한 해결 방안이 또 다른 경제 문제를 야기(예 : 에도 바쿠후의 겐로쿠 은화) 국민이나 고위층이 장기적 안목이 결여 장기적 관점 보디는 단기적 관점 때문에 장기적인 정부시책이라도 그 결과에는 소홀화 경제문제 대한 편견 부정부패와 갑질 전쟁, 자연재해, 사건사고 등 정부기관의 해결이나 경제 문제 자체를 과대/과소평가 생산과 관련되어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과 누가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생산할 것인가?(생산물의 구성, 종류, 양과 질의 문제) 분배와 관련되어 생산된 것을 누가 가질 것인가 문제(생산물 분배 문제) 자원이용 경합성 즉, 자원을 어떻게 이용하여 또 다른 생산물을 생산하지 못하는 것으로 의해 경제문제가 해결이 어려우며 굵은 글씨 3가지의 문제점을 현대 경제학의 근본문제이라고 합니다.
경제문제는 심화(深話)된 이야기를 한다면 경제를 성장하려면 상품과 서비스(즉, 용역)이 필요한데 부족해서 발생하고 이에 정보와 시간의 제약으로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가의 선택문제(Choice Problems)에 직면하여 판단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다. 재화나 서비스(용역)이 모자라는 상태를 ..
경제문제는 근본적으로 시간과 정보의 제약으로 비롯됨(상품이나 용역이 부족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제한된 시간과 정보는 현실경제의 불확실성(Uncertainey)발생하여 판단에 영향 불확실성과 판단은 상대방의 거래를 하거나 거부하여 경제는 몰론 사회에 혼란을 야기 화폐와 금융이 시간..
금본위제도하에서는 금과교환성이 보장되고 타국통화의 평가지표가 되고 대외준비자산으로 보유될 수 있는 통화를 기축통화라고 한다. 그러나 금본위제도가 실시되지 있지 않는 현재에 와서는 그 개념이 변경되어 금과 함께 해외준비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화를 가리킨다.1880~1914년까지는 영국파운드화, 1918~1939년까지는 영국파운드와 함께 미국달러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였고 1944년 이후부터 미국달러가 기축통화로서의 역활을 하고 있다.그러나 미국의 국제수지적자가 누적되면서 미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이 약화되어가고 있으며 현재 SDR(국제준비통화-대내외은행 간지급수단측정환율), 유로화의 지위가 강화되고 있다. 아무튼 간에 위에 설명은 미국 예일대 경제학 교수 트리핀이 주장한 것이다. 국제 통화이라는 ..

1. 농협 외국환 거래 영수증 2. 외환은행 외국환 거래 영수증 광고... 통합된 하나은행+외환은행인 KEB 하나은행 외환거래 영수증 아래는 국민은행 만약 고객입장에서 지폐를 팔았다면?공통적으로 외국통화 매입이라고 나옵니다. 4. 우리은행 외국환 영수증 ↓ 외화예금 계산서... 이 은행이 파는 외화예금 종류 외화예금 입금증 개정판 외환/금 거래소 개정판 찾으실 때 우리은행 거래계산서 외국환 거래 SC외국환 계산서.(이번 거래는 현찰 유로화를 예금화 증명서 중 하나) ↓ SC(Standard Charterd)은행 외화예금 해지 계산서 ↑ SC 외화예금증명서 신한금융지주 외국환 거래 증명서 ↓(신한, 외환은행을 제외한 타 은행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