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폐 이론 (1343)
소소한 것들의 창고
같은 말인 초(超)인플레이션통제상황을 벗어나 1년에 수백 % 이상으로 물가상승이 일어나는 경우를 지칭또는 단기간 발생하는 심한 물가 상승 현상전쟁이나 경제불안 등으로 인한 재화와 서비스의 희소성이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정부가 이를 통제하지 못하고 계속된 화폐발행을 실..
화폐형태로 자본대출만으로 고이자를 취득하는 증권이나 자본을 말함기원은 수메르 시대에 부터 시작
가계부문의 저축이나 기업부문의 투자 이외의 금액을 국민소득 순환과정에서 순환되는 금액을 줄인다는 의미
국민소득 순환과정에서 가계부문의 소비와 기업부문의 투자는 유입되어 순환된다는 의미
구매력이 받침이 되는 실질 수요소비수요와 투자수요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국가의 경제활동수준을 결정국가의 국민소득 순환과정에서 실제로 발생금액이 되는 가계부문의 소비액과 기업부문의 투자액을 말유효수요의 크기가 작을 때는 경제활동 규모 또한 작으며 유효수요의 크기가 ..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을 말함
영국의 경제학자, 정치가, 철학자인 애덤 스미스가 1776년 3월 9일에 출판된 저서 국부론에서 주장한 내용시장기구이라는 보이지 않는 존재가 국민경제 전체에 질서를 가져오고 부(富)와 번영을 이루게 된다고 보았다.당시에 봉건적 유제와 중상주의적 속박을 철폐하려는 시민계급의 요구..
영어: Plantation 같은 말로는 한자로 種植業(종식업), 재식 농업, 식경, 재식경, 재식 기업, 재식 농원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대규모 농장 역사상 최초는 플랜테이션은 포도주와 올리브유의 거대한 수요를 공급하던 고대 로마의 라티푼디움 16~17세기 유럽인들이 16~17세기부터 유럽의 국가들은 식민지의 농업 개척 과정에서 열대 기후 지역 원주민의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 기호품과 공업 원료를 단일 경작하는 기업적인 농업 경영 방식 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민지의 독립 과정에서 국유화되어 현지민이 직접 경영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플랜테이션 농업은 단일 경작으로 대량의 상품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국제 시장의 가격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서양인이 가진 기술력과 자본과, ..
한자: 保護貿易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 무역에 정부가 개입하는 무역 제도 최초의 도입은 미국의 초대 재무장관, 법률가, 정치인, 경제학자, 사상가인 알렉산더 헤밀턴이 주장한 것이 계기 관세, 수입할당제 등이 있음
영어: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High-rise apartment, Mixed-use building 같은 말로는 주상복합 아파트, 복합용도개발 주거공간과 상업공간이 복합된 건물 건축법으로 규제 받으며 오피스텔과 비슷하게 규제 기원은 고대 로마의 일반적인 건축물인 인슐라에서 유래 장점 교통 편리 구입가격이 일반적인 아파트보다 싸다. 저층이 상업 구역이므로 생활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 가구가 대개 붙박이로 되어 있어, 입주할 때 편의성이 좋다. 마천루처럼 초고층 아파트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문제점 가구는 수리 및 교체를 하기가 어렵다. 빌트인 가전은 일반 가전에 비해 품질이 안 좋다. 소음 및 공해 주변 개발로 인한 일조, 조망 침해 주거지역이 아닌 상업지역의 용적률 규제..
영어: Search unemployment 산업 간 또는 지역적, 정책, 관습으로 인해 이유으로 노동자가 일자리를 바꾸거나 이사를 가고 경제적 활동을 재배치하는 등에 의해 노동력 수급이 일시적으로 불균형 상태를 이루는 정상적이고 회피 불가능한 실업
한자: 摩擦的 失業 직업을 구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실업 직업은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듯이 사람마다 능력과 선호도가 다르다.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많은 직업들이 다른 기술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자리를 구하기 쉽지가 않다. 정보 관련해서도 직업전문센터에 가는게 아닌이상 정보를 구하기가 힘든 경우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을 제외한 완전 고용 상태의 실업률같은 말은 자연실업률
영어: Trump Tantrum 같은 말로는 영어 발음 트럼프 텐트럼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 달러가치가 오르는 현상
영어: low-pressure economy 고압경제(高壓經濟)의 반대어(反對語)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태 투자감소와 소비활동의 위축으로 저 성장률을 보이지만, 공급과잉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해 국제수지 개선
영어: high-pressure economy 수요가 공급을 항상 앞서는 호황상태 경기 좋지만 중앙은행의 금리에 대한 정책이 무용지물(無用之物)인 상황 일반적으로 기술혁신이 활발해지면서 발생한다. 그 예가 19세기 산업혁명(産業革命) 완전고용과 투자기회의 증가로 소비가 활발해지는 반면, 물가의 계속적인 상승으로 국제수지가 적자
영어: Taper Tantrum 같은 말로는 영어 발음 테이퍼 텐트럼 선진국의 양적완화 축소 정책이 다수 국가의 통화, 채권, 주식시장에 급락가져오는 현상 2013년에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처음으로 양적 완화 축소 발언이 최초 대부분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등 유동성을 거두는 조치에 금융시장이 받는 충격을 표현하는 용어로 쓰인다.
같은 말로 초강세 미국 달러다른 통화보다 미국 달러가 더 강한 상태미국 경제가 타국(他國)경제가 월등하게 좋다는 의미슈퍼 달러가 장기화되면 미국 경제에 타격(打擊)이 불가피
3저(三低)이란 낮은 금리(低金利), 낮은 유가(低油價), 낮은 미 달러화 가격(低換率)를 말함1970년대 3저 호황덕에 엄청난 성장을 추구하지만 몇 년후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에게 환율조작으로 판단되어 재제를 받게 됨상황에 따라서는 그 반대될 수 있음
여기에서 3고(三高)이란 금리가 높고(高金利), 환율이 높고(高換率), 유가가 높은 경우(高油價)를 말함상황에 따라서는 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소비 등 내수에는 더욱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되거나 그 반대로 될 가능성이 존재
영어: Trumpflation 영문명(英文名)인 트럼프(Trump)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合成語) 트럼프 공약(公約)인 감세(減稅) + 재정지출이 발생할 경우 국채 발행량이 증가 시장금리와 통화가치(通貨價値)를 요동, 인플레이션 헤지인 귀금속(貴金屬)과 원자재(原資材)가격 상승 요인 될 수 있음 물가연동채권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지급이자 오르기 때문에 가격 상승(수익률 하락)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펀드 중 하나정기적인 현금이 발생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자산배분형 펀드주식 등의 가격상승에 따른 차익보다는 이자, 배당 등 중점적으로 함주식의 수익률이 낮은 나라의 경우 채권 등 확정금리부 증권(만기가 있고 배당이 있는 주식 포함)이나 콜, 어음 등의 단기..
영어: Low PBR 주가가 청산가치보다 적을 경우 주가 / 주당 자산 주가순자산비율 1이하가 저평가임 외국인들이 처음 한국 주식투자했을 당시 사용했던 투자방식
테마주의 일종으로, 정치인의 정책이나 인맥 등에 의해 등락하는 종목정책으로 인한 수혜나 인맥 관계에 의해 개연성이 없이 급등락하여, 주식시장이 비이성적으로 과열되어 움직이는 대표적인 사례미국에서는 미국에서는 주로 당의 정책에 따라 수혜주가 결정국내에서는 대선이나 지..
한자: Sell Korea 외국인 투자자가 연속적으로 주식을 파는 일을 말함 2000년대에서 나온 말
한자: Buy Korea 1997년 말 이후 이른바 ‘IMF 외환위기’ 극복의 맥락에서 비교적 값싼 한국 주식을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많이 사라고 권하는 자본 운동 KB증권 아래로 통합된 현대증권이 1999년경 ‘바이 코리아 펀드’를 팔면서 유래 다른 의미로는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을 연속 매집하는 경우를 의미
영어: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KSDAQ) 1996년에 개설된 주식시장 한국거래소가 감시 및 관리 가격제한폭 30%, 서킷브레이커가 존재 시가총액대비 거래액이 많음 기준 시가총액으로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을 나눈 후 1000을 곱하여 산정 상장 요건으로 일반기업은 설립 후 3년이 경과하고, 자기자본은 30억 원 이상이며, 기준시가 총액이 90억 원 이상인 기업으로, 지분이 소액주주 500명 이상 포함하여 분산 자본 잠식이 없이 계속 사업이익을 실현하고 있어야 한다. 벤처기업과 기술성장기업은 경과년수의 제한이 없으며, 자기자본 금액도 각각 15억 원, 10억 원 이상으로 하향 적용
영어: Brexit 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말함 계기는 2008년 금융위기 때문에 남유럽 국가들에게 EU와 유럽중앙은행(ECB)이 거액의 구제금융을 주고 이 때문에 EU 회원국의 재정분담금이 늘어나자 탈퇴하자 의견이 비등이 원인 탈퇴하면 인해 유럽 경제는 물론 세계경제가 흔들릴 수 있고, EU 탈퇴 도미노 가능성 전망도 끊이지 않고 있다. 찬성 측 의견으로는 1. EU 예산 기여 부담이 없어지면 영국의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적자가 20% 감소할 것 2. EU 분담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돈으로 영국 내 모든 학교의 예산 충당 가능 3. 난민들과 이주민들이 일자리를 빼앗아가고 복지 부담을 가중 시킴 4. EU의 주 35시간 노동권고도 탐탁지 않은..
귀금속이나 에너지 등 다수의 원자재에 투자하는 펀드고위험 고수익1960년 미국에서 이론상으로 등장했다가 90년대 후반에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