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들의 창고

리스: 정의와 장단점 본문

회계

리스: 정의와 장단점

푸른 하늘에 아래에 있는 낡은 지식 창고 2012. 5. 28. 19:58
320x100
  • 리스"이란 임대인이 특정자산 사용권을 합의된 일정기간 동안 임차인에게 이전하고 임차인이 사용료를 지불하는 계약
  • 다양한 자산을 활용이 가능 예) 항공기, 건물, 부동산, 인공위성, 선박, 창고, 정수기 등

 

 

리스 이용자에게 장점

 

 

1.        계약금 지불 없이 계약 가능 ☞ 계약금 지불에 필요한 현금 부담이 적음

2.        리스료가 확정적인 경우 물가상승률, 이자율 변동 위험에 회피 가능

3.        ()자산을 신()자산으로 교체하는 리스계약 경우 자산 진부화 위험을 리스제공자에게 전가

4.        기술발전, 기타의무, 법적, 경제적, 사회적 관행, 자연변화에 의한 자산 진부화 위험을 줄일 수 있음

5.        자산 취득보다는 리스를 이용할 때 더 유리

6.        리스 이용자는 제공자와 리스 계약 내용을 조정이 가능

         ☞ 융통성이 크므로 리스료 지급일정이나 금액을 조정이 가능하다.

7.        과세소득이 낮은 기업에게 감가상각 적용으로 세금혜택을 받고 세금 혜택 일부를 리스료 인하를 통해 이용자에게 반환하므로 타 차입보다 비용이 적음

8.        일부 리스는 부채로 미 인식되어 계상되지 아니한다.

         1. 기업의 차입능력을 저하(低下)되지 않음

             2. () 부채비율 기업이 자주 사용

 

 

리스제공자에게 장점

 

 

I.      대여의 한 형태로 리스 제공하여 높은 이자수익률을 올릴 수 있음

II.      리스 이용자가 이용 불가인 세금혜택을 제공자에게 이용가능

☞ 이용자에게 리스료 인하를 통해 세금혜택 일부를 되돌려줌

III.    자산의 잔존가치를 낮게 추정하여 리스 종료 시 높아진 이익을 추구

IV.     리스 자체가 대출규제, 투자규제 등 법적 의무를 회피

V.        회계-세금 등을 단순화 시킴 동시에 임차료는 일반관리비 처리되어 관세대상이 아님

 

 

리스의 단점

 

1) 높은 조달비용

 

3.       리스료에는 취득원가, 보험료, 운송료, 제세공과금 및 리스회사의 마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비용이 다소 높다.

 

2) 리스계약이 종료가 끝나더라도 기계-설비 경우 잔존가치가 남아있는 경우 사용, 처분이 불가

3) 제공자가 소유권을 선호하는 경우 사용이 불편

4) 설비-기계 경우 보수, 유지, 보험에 대해서는 제공자와의 동의가 없는 한 이러한 행동이 불가

5) 리스료 지급에는 우선적인 고려 대상

6) 투자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므로 회사채, 은행, 증권사, 보험사 차입금리보다 높을 경우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