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비경상적(전형적인 활동과 무관하여 우연적인 것)이며 비 반복(이익이 원인되는 거래나 사건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리라고 예상되는 경우)되는 이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보험차익이 이에 해당 현행 기업회계에서는 특별이익이라는 계정은 폐지되었고 대신 영업외 수익으로 통..
2억의 부보가액으로 가입된 파카소의 그림이 완전히 소실되어 보험사부터 3억의 보험금을 수령을 받음 현금 300,000,000 / 비품 200,000,000 보험차익 100,000,000
보험에 가입한 유형자산에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 관련 보험회사로부터 받은 보험금이 피해자산의 장부가액을 초과한 경우 분개 현금 *** / 보험차익 ***
주주, 매입처(買入處) 등 채무 일부 또는 전체를 면제받은 경우의 증여이익 옛날에는 특별이익에 포함되어 있었고 법인의 이월결손금 보전하여 회사의 갱생을 위한 채무면제액은 기타자본잉여금으로 처리 현행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목적에 불구하고 영업외 수익으로 처리 분개 세금과공..
타인이나 타 기업부터 증여(贈與)받은 이익 옛날에는 자산수증이익 중 회사의 이월결손금을 보전하여 회사 갱생 위한 이익은 기타자본잉여금으로 처리했으나 지금은 목적과 관련 없이 영업 외 수익으로 처리분개 현금 *** / 자산수증이익 ***
폐지 및 큰 빈병을 매각 조건 1. 장부가 2. 여기에서는 손해보는 비용이 있는 계정(개당 20원 손해)이(가) 있으나 잡이익 개념을 쉅게 알기 위해 생략한다. 폐지: 70,000 큰 빈병 : 원래는 개당 50원 이었으나 개당 30원으로 합의로 매각된 큰 빈병 숫자는 100병이다. 현금 73,000 / 잡이익 73,000 ..
영업외 수익 중 금액적으로 중요하지 않거나 항목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는 수익을 처치(處置)하는 계정 부산물(副産物), 작업폐물, 원인불명 현금과잉 금액 등 분개 현금 *** / 잡이익 ***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상환할 때 사채 상환가액이 장부가액보다 적은 경우에 발생하는 이익 공식 사채상환이익 = 장부가액/원리금 – 상환가액/실질 지급금액 분개 사채 *** / 현금 *** 사채발행차금 *** 사채상환이익 ***
1. 감채기금 영어: A sinking fund(싱킹 펀드) 회사채(會社債)를 상환(相換)하기 위한 자금을 일반 영업자금(營業資金)과 구별하기 위해 정기예금, 유가증권(주식, 채권, 파생상품), 금전신탁(하나의 신탁계약으로 모든 재산권을 종합적 관리) 등에 특정자산에 확보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특정자산 정기적으로 현금을 예치(預置)하여 신탁회사에 맡겨 운용하며 이자나 배당수익이 있으면 감채기금에 포함시킴 대차대조표에 표시할 경우 투자자산으로 분류하여 기재(記載) 처음 등장한 것은 14세기 이탈리아 전역에서 부채 감축을 위해서 도입한 것 감채기금 분개 감채기금에 이체 감채기금 *** / 현금 *** 신탁회사에서 운용하여 배당금 수익이 발생 감채기금 *** / 감채기금배당금수익 *** Sinking fund..
회사채(사채) 상환이란 만기일에 액면가에 현금 상환하거나 다른 이유로 만기일 전에 물품이나 현금으로 상환하는 것 상환의 종류만기상환 같은 말로 정시 상환이라고 하며사채 액면가액을 일시에 현금이나 물품으로 상환하는 방법, 실제(實際)에는 현금지급이 만기 상환으로 하는 것이 많음만기가 도래된 회사채의 장부가액은 액면가액과 동일하게 사채 상환이익이 발생하지 않음(채권 투자자, 채무자는 둘 다 만족) 분개 유동성 장기부채 *** / 현금 *** 조기상환 여러 가지 이유로 일찍 조기에 상환하는 것일반적으로는 채무자에게는 유리하며 채권 투자자는 불리한 상환방법이지만 특이 사항이 있다면 둘 다 만족할 수 있다.후순위, 코코본드, 상각 조건부 채권은 조기상환은 채권 투자자에게 유리 종류 추첨 상환 만기일 전에 추..
업무용(業務用)토지 장부가 2억을 2억3천에 매각하고 대금을 받았으며 나라에서 면세로 세금을 낼 필요가 없음 현금 250,000,000 / 토지 200,000,000 유형자산처분이익 50,000,000
유형자산을 외부에 매각 처분한 경우 그 처분가액이 그 장부가액보다 높은 가격으로 판 경우 투자부동산 경우 전술한 투자처분이익에서 처리
투자주식장부가액 3,404, 9주를 3560원에 처분하다. 현금 32,040 / 매도가능증권 30,636 투자자산처분이익 1,404
투자자산을 처분한 경우 그 처분가액이 그 처분한 투자자산이 장부가액보다 많을 경우의 차액 비경상적인 이익 공식 투자자산처분이익 = 처분가액 – 장부가액
장기외화대여금 7만 홍콩달러를 갖고 있으며 결산일 현재 평가절하로 인해 환산이익이 증가 결산 이전 : 119.36 결산 : 130.96 장기대여금 812,000 / 외화환산이익 812,000 l 장기대여금 외화환산이익 : (130.96 – 119.36) * 70,000
기업이 기말 현재환율로 표시된 화폐성 외화자산, 화폐성 외화부채를 평가하는 경우 환율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산이익 외화 자산 혹은 부채가 자국통화 처분(결제)되기 전에 발생하는 일종의 미 실현 이익임(즉, 아직도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 또는 부채) 외화차익과 동일하며 부채가 있을 경우 장부가보다 환율환산이 적어야 하며 자산의 경우 장부가보다 높아야 한다. 외화부채를 갖고 있는 종목은 평가절하(平價切下)에는 위험하며 평가절상(平價切上)에서는 외화자산을 갖고 있는 종목은 위험할 수 있다.
외환차익이란, 외화자산 회수, 외화부채의 상환 때 발생하는 차익 외화자산이나 발생시점의 환율과 회수 시점이의 환율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며 외화자산 경우 장부가액보다 차익 부분이 커져야 하며 외화 부채 경우 장부가격의 부채가액이 환율과 비교하여 낮아야 한다. 예) 헝가리에..
대차대조표 작성일이나 특정일, 일정기간에 적용되는 환율을 의미 종류 1. 현행환율: 대차대조표 작성일의 환율로 채권, 채무 등의 화폐성 항목은 이 환율로 표시 2. 역사적 환율: 특정 거래, 사건이 발생한 당시의 환율 3. 평균환율: 일정기간 환율을 평균한 환율을 의미 l 외화거래가 발생..
외화환산(Foreign Currency Translation) : 외국의 화폐(지폐. 동전)로 측정된 거래로 자국의 화폐단위 환산하는 것 종류 가. 외화(外貨)로 표시된 거래를 자국 통화로 평가하는 외화거래 회계 나. 해외지점이나 해외 종속법인의 외화표시재무제표를 자국통화로 환산하는 외화환산회계
결산정리 사항 중 하나 장부가액보다 처분가액이 높아야 한다. 단기매매증권 평가이익 예 “강”회사는 채권을 686에 10주를 구입하고 2개월 후 990임 구입분개 단기매매증권 6860/ 현금 6860 평가 분개 : 장부가액-종가가격 = 단기매매증권 평가손익 단기매매증권 2140 /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
A. 유가증권 처분이익 유가증권을 처분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익 장부가액보다 처분가액이 커야 함 예) 장부가액 12,300이며 10주를 갖고 있으며 주당 13,200에 모두 처분 수수료 및 증권거래세는 500원이다. 현금 131,500 / 유가증권 123,000 유가증권처분이익 8500 l 현금 = 처분가액(132,000) – 수수료..
독일계 한국 지사 “A”회사는 “B”회사에게 200,000을 미리 받았다. 선수임대료 200,000 / 현금 200,000 나중에 수정분개 현금 200,000 / 임대료 200,000
부동산, 동산(動産)을 타인에게 임대(賃貸)하여 사용케 하고 일정기간 사용대가로 받는 지대(地貸), 월세(月貰), 사용료(使用料)를 말함 부동산 임대를 주된 영업활동을 하는 부동산 임대업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영업 외 수익으로 처리 총 임대료 수익은 임대기간에 비례(比例)하여 정액법으로 수익으로 계상한다.
조건 가. 보통 주 70만주 나. 12/31 종가는 4,000 다. 배당지급일은 3월 중순 라. 주총에서 주당 3,500 현금배당 결의 마. 여기에서는 배당 소득세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현금 2,450,000,000 배당금수익 2,450,000,000
기업이 보유중인 주식이거나 출자금 등에서 주식 발행회사에서 받는 현금 배당 주식배당경우 옛날에는 배당금 수익으로 인식, 영업 외 수익으로 처리하였으나 최근에는 주식배당 공시가 뜨면 자본의 부가항목인 미 교부 주식 배당금(자본조정)으로 기제하여 주식 배당 될 때에 수익으로..
l 금융업(증권사, 선물회사 등)이외의 판매업,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회사가 유휴자금(遊休資金)을 활용하기 위해서 금융기관(금융업을 포함한 돈을 다루는 회사)에 예치하거나 회사채 또는 국공채, 외환거래 의한 쿠폰이자 등으로 발생하는 이자들을 의미 l 국제기업회계에서는 원금 또..
매출 수익을 얻기 위한 주된 영업활동 이외의 보조적 또는 부수적인 활동에서 순환적으로 발생하는 이익 l 매출액과 영업외 수익과의 차이점 1. 매출액경우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하지만 영업외 수익은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하며 2. 매출액은 상품매출, 용역(用役)으로 발생하..
영업외 수익과 영업외 비용을 합친 용어로 부수적이거나 경영활동또는 정상적인 재무활동에서 발생한 금융적 또는 재무적 손익 금융업(증권, 은행, 선물회사, 보험사 등)을 제외하고 모든 분야에서는 부수적으로 금융활동이 필요하므로 필수적인 계정 영업외 수익이라는 계정이 쓰이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