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어느 회사의 보통주 주가가 주당 5천원이며 액면가는 500원이다. 시장에 유통중인 누적 우선주 1,000주이며 누적 우선주 현 주가는 80,000원이다. 4분기(3,6,9,12)에 한번 배당을 하며 합해서 근년도 배당은 500원이며 그 배당금이 2년 이상 지체되어 있다고 한다. 이번 배당금은 1,000원 이다. 1.“X..
영어: Dividends Arrears 일정기간 배당선언이나 배당관련 (전자)공시가 안된 우선 배당금 지체배당금 경우 부채로 간주가 안되며 배당금 지급이라는 선언이나 (전자)공시가 나올 경우 부채로 인식 지체 배당금액은 재무제표 주석에 공시(公示)해야 한다. → 투자자보호를 위해 이러한 관련성을 잠재적 영향력 평가를 간단하게 판단하도록 공시를 해야 한다. 실물보유자 보호 목적으로 배당금 수령 편지를 보낸다.
ü 보통주주가 배당금 수령 전에 우선주주에게 당기 배당금괴 전기 미지급(未支給)배당금을 지급되어야 한다는 배당금 ü 유럽. 미국, 캐나다 등에서 실시 ü 우선배당금합계가 지급될 때까지 보통주주에게 배분(配分)이 어렵고 누적배당처럼 지체는 불가 누적배당을 하는 우선주..
배당이란 영업활동을 수행결과로 창출이익을 자본으로 투자한 주주(株主)에게 보상(補償)의미로 지급 전부 배당 해주는 종목이 있지만 대부분은 전부 배당해주지 않는다. 종류에 따라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으로 구분하며 현금배당은 보통주 배당과 우선주 배당이 있으며 우선주 배당은 ..
이익 중 배당금을 지급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적립 한 후 남아 있는 잉여금 주주총회(이사회)에서 승인한 배당을 포함한 이익잉여금 처분 내역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 기재 이사회(주총)에 제출, 주주총회에 확정 이 시기 배당은 대차대조표가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채로 인식하..
전년도 주주총회에서 목적을 정하지 아니하고 당분간 내부 유보한 이익 주주총회 통해 적립해제를 결의(決意)하고 재 처분하는 과정을 이입(移入)이라고 한다.
이익잉여금을 적립했고 배당은 얼마나 지급(支給)했는가 대한 정보 대차대조표 이용자에게는 유용(有用)한 정보이며 국제기업회계기준에서는 주주총회에서 미(未)처분 이익잉여금 처분결과를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통해 (전자)공시하도록 규제(規制) 용도 사외(社外)유출 용도 가. 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X기 2XXX년 X월 X일 부터 제X기 2XXX년 X월 X일 부터 2XXX년 X월 X일 까지 2XXX년 X월 X일 까지 처분예정일 2XXX년 X월 X일 처분확정일 2XXX년 X월 X일 구분 당기 전기 미처분이익잉여금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또는 전기이월 미처리결손금) 회계정책변..
법정, 임의적립금은 모두 현금적립과 무관 법정적립금은 법적으로 강제적으로 일정금액을 사내 유보시켜야하는 금액이다. 이익잉여금의 적립은 단지 배당제한(配當制限)하기를 위한 것이지 이익이 유보가 되었다고 사실만 나타낼 뿐 현금을 별도로 적립하지 아니한다.
거액의 손실이나 지출에 대 비하여 이익을 사내에 유보하는 것으로, 그 목적이 달성되면 소멸 별도적립금, 결손보전적립금이 이에 해당
인용: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4&dir_id=412&eid=znuHkCYjUzaOU96uttruN1HxpnG2WKpG&qb=sMe5sL3Fw+DA+7izsd0= 기업의 순자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익을 영속적 자본으로 사내에 유보하려는 적립금이다 사외로 유출하여서는 불합리하고,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하여 별도적립금으로 대체 사업확장적립..
한자: 別途積立金 특정한 사용 목적이 없이 이익을 유보한 적립금이며, 또한 적극적 적립금이 그 설정 목적을 달성한 후 대체되는 적립금 임의적립금에 속함
한자: 缺損補塡積立金 예상치 못했던 거액의 손실에 대비하여 이익을 유보하는 적립금 임의적립금에 속함
한자: 減債積立金 사채 등 상당히 큰 금액의 비(非) 유동 부채를 상환하기 위하여 순이익에서 유보하는 적립금 임의적립금에 속함 분개 감채적립금 *** / 현금 ***
건물의 신축, 설비의 증설, 기계의 매입 등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순이익의 일부를 사내에 유보한 것 임의적립금에 속함 분개 건물신축적립금 *** / 현금 ***
한자: 事業擴張積立金 사업을 확장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이익의 일부를 적립하는 돈 임의적립금(任意積立金)에 속함 분개(예) 사업확장적립금 *** / 현금 ***
미래 배당금의 크기를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이익의 많은 연도에 적립하면 추후(追後)에 이익이 적을 때 적립금을 이용하여 배당이 가능하다. 주가는 이익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지만 이익이 감소함에 따라 주가가 떨어 지만 배당평균적립금을 사용하면 주가폭락을 어느정도의 주가 폭락..
한국과 일본, 대만, 홍콩에서는 상법의 내용이 달라도 목적은 똑같다. 기업유지와 채권자 및 주주보호 위해 자본금의 0.5%(2분의 1)에 달할까지 매 결산기 현금 배당금액을 10분 1이상의 금액을 적립하도록 의무화 위에 것을 법적으로 내부유보 한다고 해서 법정적립금이라고 부르며 상법에..
²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중에 배당을 지급하고 나머지를 유출하지 않고 사내에 남아 있는 부분을 유보(Retain)한 것 ² 같은 말로 내부유보(內部留保), 즉 유보이익(사내유보)라고 한다. ² 자본잉여금과 달리 손익거래서 발생한 것 ² 이익잉여금의 또 다른 정의는 발생한 이익을 기업에 ..
주식발행차금, 감자차익 이외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잉여금 자기처분이익에서 자기처분손실에서 차감한 잔액은 기타자본잉여금을 포함한다.
한자: 減資差益 자본을 감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자본감소액이 자본을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의 차액 부실기업이거나 유상증자(有償增資)를 자주하는 기업은 유상감자를 할 경우 주가에 큰 폭락 사유가 되지만 반대로 주주(株主)를 위해 증권사이나 은행을 통해 주식을 매수하여 소각하는 경우에는 상승(上乘)장에는 큰 폭의 상승을 하락(下落)장에서는 큰 폭락(暴落)이 별로 없다. 또는 유상증자를 자주 하더라도 미래의 큰 가능성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회사일 경우 주가의 등락(登落)이 적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 분개 자본금 *** / 현금 *** 감자차익 *** 감자차익 등식(等式) 감자차익 = (액면가 – 감자차익을 실행 전의 종가) * 매입주식수(단, 자사회사의 주식이어야 한다.) 대차대조표..
n 자본거래로 인한 자본증가분으로 법정자본금(액면가)를 초과하는 잉여금 n 자본거래이므로 손익계산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자본계정에 가감되는 특성을 지님 n 일정한 용도 외에는 사용금지(상법) n 종류에 따라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이 있다 l 주식발행초과금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한자: 新株發行費 같은 말로 주식 발행비이라고 한다. 설립일 이후의 주식 발행을 위해 직접 발생하는 비용 신주발행비로 포함하는 예(例)로 발행수수료(發行手數料), 증자(增資)등기비용, 발행공고(公告)비용, 증권사수수료(일반적으로 주식발행비는 약 1%에서 최고 10%까지 있다.), 주권인쇄비(主權印刷費)등이 있다 주식발행비는 조달현금이 감소(減少)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발행가액에서 차감
액면가액에 미달(未達)하게 발행하는 경우 동 아시아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지한다. 그 목적은 회사의 자본충실과 채권자(債權者) 보호가 그 목적(目的)이다. 등식 총 발행가액 = (발행주식수 * 액면가) – 주식발행차금 l 주식발행차금은 자본조정계정에 기록 l 총 발행가액은 현금계정에 ..
ü 액면가액을 초과하여 발행하는 것 ü 회사설립을 할 때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이런 형식으로 발행 ü 초과금액은 주식발행 초과금이라는 계정을 이용한다. ü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 아래에 표시한다. 등식 총 발행가액 = (발행주식수 * 액면가)+ 주식발행초과금 l 총 발행가..
발행가액이 액면금액과 일치하는 경우 액면가 이하의 주식투자 할 때 신중한 판단이 요구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당일매매(當日賣買)를 한다면 모를까… 분개 현금 *** / 자본금 *** 대차대조표 표시 자산 *** 1. 유동자산 *** 당좌자산 *** 현금 *** 자본 *** 1. 자본금 ***
참가적(參加的) 우선주 약정배당률 받고 잔여이익의 배당에도 보통주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우선주 추후 무상증자를 발행될 때 무상신주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도 가능 전환 우선주 추가적(追加的) 권리를 부여된 것 일정기간을 보유하면 보통주 전환이 가능 비참가적(非參加的) ..
주식의 종류 -1 보통주(普通株) 모든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표준적 주식 의결권이 부여된 주식 이익 분배, 잔여재산분배참여권리, 신주인수권리를 행사가능 자본은 반드시 5천만 원 이상으로 반드시 분할이 가능하며 그 금액도 균일해야 한다. 우선주(優先株) 의결권이 없는 대신에 이익분배와 잔여재산분배에 우선적으로 분배가능 보통주의 가격보다 가격이 비교적 낮다. (다만, 주가조작으로 보통주가 낮은데 우선주가 높은 경우가 많다.) 후배주(後配株) : 이익배당, 잔여재산의 분배 등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주식에 비해 열등한 지위의 주식 혼합주(混合株) 이익배당, 잔여재산 분배 등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를 차지하고도 연후적 지위를 차지하기도 하는 주식 보통주, 우선주, 후배 주, 혼합주는 분류상으로 볼 때 재산적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