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기업이 상환의무 채무대해 원리금 전부 또는 일부, 이자를 채권자에게 면제받는 경우 발생하는 이익 재무구조가 취약하거나 특정산업 불황으로 인해 파산 가능성이 높거나 채무변제능력이 없을 경우에 나타남 옛날에는 채무면제이유가 자본보전, 결손보전이 목적이라면 자본잉여금으..
주주(株主)또는 제3자부터 특정자산을 무상증여 받을 경우 공정한 가치로 평가한 금액 옛날에는 자본보전, 결손보전, 회사재무구조 개선, 자본충실을 위한 자본전입(資本轉入)경우 자본금으로 처리했으나 최근에는 소액이거나 정상적인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자산수증” 경우 모두 ..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이외의 자본준비금(資本準備金)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자기주식처분이익 이외 그 밖의 기타자본금잉여금 들을 포함
발행주식을 일정비율로 감소시키는 방법 주가에는 일반적으로는 상승 추세 요인이지만 하락 장세에서는 빤작 상승하고 폭락하는 경우가 많다. 예) 자본금 500,000,000 주당 액면가액은 10,000원 누적 이월결손금은 100,000,000을 전보하기 위해 10주를 1주로 비율로 병합, 감자이전 총 발행 주식..
이미 발행된 주식수는 나두고 액면가만 일괄적으로 줄이는 형식 주 금액 절삭 경우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음 예) 결손금 7,000,000을 전보하기 위해 액면 5,000 주식 5만주를 주당 2,500으로 변경하여 무상감자하다. 보통주 자본금 132,000,000 / 이월결손금 7,000,000 ← 이월결손금 + 감자차익 감자차익 125,000,000(변경 액면가 * 무상감자 총 주식 수)
누적된 결손금을 직접 자본금으로 전보하는 경우 주식소각 대가로 지급하지 않은 감자 같은 말로 명목감자, 무상감자이라고 한다. 회사의 자산은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아니하고 형식적으로 법정자본금이 감소되는 것이 일반적 종류
주주로부터 자기회사주식 일부를 유상으로 증권시장에서 매입하는 방식 국제회계기준에서는 매입소각경우 액면금액 이하에서 매수, 소각하면 감자차익(減資差益)으로 하며 자본잉여금으로 계상한다. 주식소각을 위해 액면가액이 초과(超過)될 때 감자차손이 발생하며 자본 차감계정 ..
납입한 주식금액(액면금액)일부를 현금으로 매입하는 방식 주식 액면금액이 통상 주당 5천원 사이로 소액(少額)으로 주당 액면 금액이 5천원이 되거나 넘어야 한다. 상장펀드가 이에 해당
같은 의미로 유상감자이라고 하며 기업이 주주에게 주식소각 대가로 현금이나 상품으로 지급함으로써 자본감소함깨 기업의 순자산 감소를 수반하는 감자 실질적 감자는 과도한 자본금 일부를 주주에게 반환(返還)하는 것이 일반적 종류
한자: 減資 열매 이름이 아니고 회계에서 회사가 사업규모를 줄이거나 결손보전을 위해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경우를 의미 감자는 무상이든 유상이라도 주가폭락 사유가 된다. 감자이라고 해서 단주는 회사에서 반드시 현금매입이 원칙 종류
“E”회사는 주주총회에서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고 액면주식 15,000,000(액면가 5,000 3천주)배당하여 주주에게 신주 교부하였다. 우선주 자본금 15,000,000 / 보통주자본금 15,000,000
“B”회사는 주총에서 530,000,000에 대한 이익배당 결의 하고 나머지 1/2는 보통주 2,000주(액면가 : 5,000)를 액면발행하고 나머지 잔액 역시 현금배당하기로 결의, 결의 이후 “B”회사 주식은 상한가에 진입하였다.(단, 주가 및 무상증자에 따른 단주 현금 매입 및 수수료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D”회사는 주주총회 승인과 국내 대법원과 일본 고등법원에서 승인을 얻어 액면 ¥ 100(¥100 = 900)에 국내와 일본에서 신주 75만주(750,000주)를 주당 ¥ 85에 발행하고 전액 납입하여 당좌예입하다. (단, 발행 수수료 및 환전 수수료, 환차손익은 감안하지 않는다.) 1. 원화 환산 = 100/100*900 = 90..
“A”회사는 신주 2만주(20,000주)를 (액면가 5,000)를 주당 5,500원에 발행을 결의하고 이후에 납입금을 수표를 받아 당좌매입을 하였다.(단, 발행에 따르는 비용은 제외) 당좌예금 110,000,000 / 보통주자본금 100,000,000 주식발행차금 10,000,000
- 액면가액의 이하에서 발행하는 것 - 중국, 대만, 홍콩, 한국에서는 무(無)액면 주식발행은 금지이라고 하지만 회사설립 이후 2년 경과 후에 법원 인가를 받아 발행이 가능하다. - 기업회계에서는 주식할인발행차금 대해서 초과금의 상계하지 않지만, 자본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대차대..
기업의 경영성과가 양호하고 현금배당률이 높고 미래의 경영성과가 좋을 것이라고 판단 될 것이라고 판단되는 투자자들이 기업이 이들에게 주당 액면가액을 초과하는 주식 발행이 가능 발행가액과 액면가액차이는 “주식발행차금”으로 기록해야 한다 주식발행차금은 당해 신주발행비를 상계 l 주식발행차금대한 주의사항 초과금은 자본잉여금으로 규제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으로써 자본전입, 결손금보전목적이 아닌이상 현금배당 또는 이외의 용도에 사용금지
- 신주 발행가액을 주당 액면가액으로 발행하여 주주(株主)에게 납입(納入)하도록 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신주인수권을 부여하는 경우에 쓰는 방식 - 회계처리는 신주발행비를 자본조정으로 기록하도록 규제
한자: 有償增資 같은 말로 실질적 증자라고 하며 기업이 사업설비 확장, 투자를 위한 자금, 운전자금(運轉資金), 차입금 상환(償還)등을 조달 하기 위해 수권주식(발행될 최대 주식 수)범위 내에서 신주(新株)발행하여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 유상증자 경우 부실 상장회사 경우 주가(株價)는 곤두박질하며 성장성이나 실적이 좋은 회사이라도 대규모 유상증자 할 경우 주식가치가 희석되어 주가가 일시에 하한가 또는 계속 폭락이라는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 신주 발행을 하거나 흡수합병, 전환사채(轉換社債)전환이 있다. 일반적으로 액면발행, 할증발행, 할인발행이 있다.
한자: 增資 기업이 자기자본(自己資本)조달을 위해 정관(政官)에 규정(規定)된 수권자본(授權資本 : 발행될 최대 주식 수)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신주 발행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것 종류 → 순자산의 증감여부에 따라
- 주식배당경우 액면가(보통주)합계와 납입자본계가 많지만 이익잉여금이 감소하고 액면가 불변을 가진다. - 주식분할경우 주당액면가가 감소되지만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합계는 불변이며 주당 액면가와 주가는 주식분할의 비례에 따라 낮아진다. 몰론 주식분할 이후 상승하는 종목이 ..
한자: 株式分割 주식배당과 동일하지만 주당 액면가가 줄어드는 대신에 주주에게 주식 수에 비례하여 신(新)주식을 발행해주는 것 목적 l 주당 시가(종가)를 낮춤으로써 주식의 시장성을 높이거나 주식 유통 수를 늘어서 소액투자에게 저가에 구입을 하는 것이 취지(趣旨) 효과 주가(株價)는 주식 분할 시점 이후 분할 규모에 따라 주가가 내린다 납입자본과 이익잉여금, 자본합계는 영향이 없으며 자본계정에 영향이 없어서 주식분할 관련하여 분개는 필요가 없지만 투자자편의를 위해 주식분할 효과대한 비망분개를 해주어야 한다.
액면가액법에서 예제가 동일(同一)한 조건(條件)경우 시가법 등식 시가법 = 보통주(배당기준일 5일전 산술평균가) * 신(新)발행주식 수 배당선언(공시)일 미처분이익잉여금 *** / 미교부주식 *** 그러면…. 미처분이익이익잉여금 500,000,000 / 미교부주식 500,000,000 배당지급일 미교부주식배당금..
“E”회사가 이익잉여금에 잔액 700,000,000(7억)을 보유하고 있으며 액면가 10,000인 보통주 50,000주에 10% 주식배당을 할 경우 조건 주식배당관련 세금이 없다고 가정 신(新)발행주식 수 = 50,000 * 10% = 5,000 배당선언(공시)일 분개 미처분이익이익잉여금 *** / 미교부주식배당금 *** l 액면가액법 등식 액면가액법 = 액면가액 * 신(新)발행주식 수 그러면… ⅹ = 10,000 * 5,000 ⅹ = 50,000,000 미처분이익잉여금 50,000,000 / 미교부주식배당금 50,000,000 배당지급일 분개 미교부주식배당금 *** / 보통주자본금 *** 그러면… 미교부주식배당금 50,000,000 / 보통주자본금 50,000,000
- 시가법과 액면가액의 차이점은 자본계정의 구성항목들 간의 대체금액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 국제기업회계기준에서는 배당선언(공시)시점부터 주식배당액을 자본의 부가항목인 미교부주식배당금(자본조정)으로 기록하여 주식발행 시점에서 관련 자본 계정 대체 기록하도록 규제
주식배당 회계처리 방법에 따라 시가법과 액면가액법이 존재 1. 시가법 : 주식배당 결의(決意)날에 배당주식의 시가에 해당금액이 해당하는 이익잉여금을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자본잉여금)으로 대체하는 방식 2. 액면가액법 주식배당으로 분배하는 주식액면가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
l 자사 주식을 주주에게 비례(比例)배분하는 배당 l 현금배당과 달리 자본과 자산을 감소시키지 않지만 이익잉여금(利益剩餘金)이 감소하고 불입자본(拂入資本)이 증가한다. l 많은 투자자들은 체면치레(체면치레: 체면이 서도록 일부러 어떤 행동)(으)로 판단하여 현금배당을 보다 주가는..
l 배당 관련해서 중요한 3가지 있는데 그것은 선언일, 배당기준일, 배당지급일의 분개를 의미한다. 가. 선언일(宣言日) 때 현금배당을 합법화하고 주주에게 선언 또는 (전자) 공시한다. 현금배당 선언으로 그 회사는 구속적인 법적인 의무를 이행 여기에서는 이익잉여금 감소와 미지급배당금 대한 부채대한 인식이 필수 미지급배당은 일회적이며 몇 개월 이내 주주에게 배당 현금이 주어지고 이자는 지급할 필요가 없다. 분개 미처분이익잉여금 *** / 미지급배당금 *** 나. 배당기준일(Record Date) 분개분개 유통주식소유권이 배당목적으로 결정 주주명부는 이때 폐쇄되고 주주명부에서 폐쇄(閉鎖)된다. 주가는 배당기준일에서 배당금액에 따라 배당락(配當落) 인한 폭락이 발생할 때 당일매매(Day Trading)하여 수익..
“배당금액과 시기는 경영자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A. 고액현금배당 한국의 고액현금배당을 해주는 기업들의 주식 가치는 높으며 배당금 지급 위해 부채가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금배당은 정기배당을 해주는 특성이 보인다. 이익잉여금 양(+)순이익을 올리지 않는 이상 고..
전세계 주식시장에서는 갖고 있는 보유 주식수이나 포지션대해 현금을 보유 주식수와 포지션대해 배당금 곱하여 지급하거나 비례하여 지급 현금배당은 이자가 없으며 선언 또는 (전자)공시가 있을 때까지는 부채가 아님 주주의 배당금 구하는 공식 공식 보유 주식 대한 배당금 총액 =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