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전쟁, 반란, 노사갈등, 자연재앙, 사회 및 정치, 경제, 문화의 변화에 대한 부적응으로 순식간에 기업이 부도나는 경우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火山)분출 때 다국적 농업기업들이 순식간에 유동성 위기 처한 것이 해당 각종 재앙은 예측기기 발전으로 어느 정도의 예측이 가능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기업들에게 큰 손해로 다가오며 잘못하면 순식간에 기업이 부도가 발생
기업경영이 순조롭다고 하지만 일시적인 자금부족(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부도나는 경우 키코(KIKO)에 가입하여 망한 1980년대 일본 기업, 2009년도 한국 중소기업들과 개인 투자자들이 이에 해당 키코(Knock In Knock Out): 자국 통화의 변동의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파생상품으로 자국 통화..
적자가 누적적으로 쌓여서 자금흐름이 경색되어 부도로 이르게 되는 경우 원인 1. 무리(無理)한 기업확장 1997년 ~ 2001년경 한국기업들이 해당 타 업종에 진출 또는 본업대한 기업확장에 무리한 방법을 동원해서 기업이 부도 한 경우를 의미 2. 신제품(新製品) 개발 신제품이 개발이 되었으나 너무 고가(高價)이거나 제품 수명주기(PLC: Product Life Cycle)이 적은 경우 또는 시장성이 너무나 없어서 결어(結語)되어 기업이 부도나는 경우를 의미 고가의 가격이나 시장성(市場性)경어는 시설투자비용, 회수불능이 되어 자금압박 요인이 됨 소(小) 제품수명주기(製品受命周期)일 경우 신제품 출시(出市)가 늦거나 없으면 제품재고가 누적(累積)되고 경비가 증대 됨 3. 같은 업종(業種) 내 경쟁력(競爭力)..
기업부도는 한 순간에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경영이나 자연환경,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국제적 요인 등의 변화로 경영활동이 나빠지면 재무제표가 먼저 서서히 나타냄 기업이 부도나기 전에 반드시 분식회계를 하게 되며 그 피해는 개인 및 국가를 넘어서 전세계에 악영향(惡影響)을 끼친다. 기업부도의 종류 가. 만성적인 부도 나. 흑자부도 다. 타의로 인한 부도 “가”, “나”는 일반적인 기업 부도의 요인 중에 하나, “다”는 자금부족이나 적자(흑자)부도가 아닌 물리(폭력, 자연)적인 방법으로 기업 부도의 요인이 된다.
영어: Vertical Analysis 같은 말로 구성비율분석, 백분율분석이라고 한다. 기준금액 비율로 재무제표 각 항목을 표시하는 재무자료를 평가하는 기법 자산 항목들의 기초금액은 자산의 합계, 부채, 자본항목들의 기초항목들의 기초금액은 부채 및 자본의 합계를 의미
영어: Horizontal Analysis 일정기간 동안 일련의 재무제표를 평가하는 기법 금액, 비율로 표시되는 기중의 증감을 결정 간단하면서 유용함 기준, 전년도에 음(-)의 금액이 나오고 다음연도에 양(+)의 금액이 나오면 비율변화계산이 불확실(不確實)되어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며 정확한 계산이 안됨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4세기 중반 ~ 기원전 3세기 중반)의 저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Euclid's Elements) 제 5권에서 비율 속성에 대한 엄격한 분석에서 나왔지만 이것을 바탕으로 금융계에서 적용된 것은 19세기 미국에서이었다. 비율의 증감 측정이라면……(기준년도 금액 기준) 기준년도 이후 변화율 = (당기 금액-기준연도금액)/기준년도 금액 기준년도 비..
재무제표의 비교분석이란 기업성과를 타기업, 타 기일에 비교하여 어느 것이 고저(高低)를 판단하는 것 주로 증권분석에 이용 종류 기업 내 비교 : 재무관계와 중요한 추세 분석 기업간 비교 : 타 기업과 비교, 기업의 경쟁상태에 관해 알 수 있음 업계평균 비교 업계평균치 비교를 통해 ..
회계전문가가 기업 재무제표를 독자적(獨自的)으로 검토(檢討)하여 증권시장에 제출(製出)낸 보고서를 의미 회계전문가는 상식(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처리 기준에 따라 재무상태, 경영결과, 현금흐름표 등을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고 적정의견을 표시 적정의견 아닌 한정, 부적정, 의..
영어: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CFS) 기업집단 전체를 하나의 경제 실체로 보고 모든 계열사의 재무제표를 결합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 자산규모 원화 환산 2조원 이상인 비상장 계열사 및 계열사를 포함한 기업집단을 포함시킨다. 자산총액이 결합대상 계열사 자산총액이 80%이 넘을 경우 면제된다. 결합재무제표는 결합 대차대조표, 결합손익계산서, 결합현금흐름표로 구성 외부주주지분은 구분 표시를 하지 않으며 기업 집단 전체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 총액 표시 회계연도 후 국내외 증권시장에 6개월 이내로 (전자)공시할 의무가 있다. 감사보고서는 국내외 금융감독위원회와 공인회계사에 결합재무제표를 제출 후 심사 후, 그것을 받을 수 있다. 동아시아권 동종 재무제표가 도입된 이..
영어: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CFS) 지배회사의 종속회사로 구성되는 재무 정보를 회계정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재무제표 종류: 연결대차대조표, 연결자본변동표, 연결손익계산서, 연결현금흐름표
같은 말로 분기재무제표(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정보 이용자들에게 적시에 제공하는 회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간이 짧은 재무제표임 국내외 증권거래소 상장회사들은 투자자들을 위해 회계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간격으로 작성됨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주석으로 구성되며, 오도(..
영어: comparative financial statements 비교재무제표란 당기 회계 기간과 전기회계기간 금액을 비교하는 형태로 공시되어 연속되는 두 기간의 재무제표가 함께 제시되어 기간비교 형태로 재무제표로 작성되는 것 같은 말로는 비교식 재무제표 공식적으로 비교재무제표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20년대 미국이다. 회계 이용자(투자자, 채권자, 종업원 등)이 미래수익 전망 또는 임금(채권)이행능력을 평가할 때 있어서 변화추세에 있는지 파악하는데 이용 초기는 수년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의 추세분석에 용이 예) 비교 재무제표 X사 단위: 원 Ⅰ. 유동자산 Ⅰ. 유동자산 (1) 현금과 현금성 자산 현금과 현금성 자산 1. 현금 700 현금 8002. 단기투자유가증권 300 단기투자유가증권 200 해석..
재무제표 본문이 있는 계정과목마다 상세한 설명한 명세서 종류 특수관계자 채권 및 채무 명세서 제조원가명세서 장기차입금명세서 판매관리비명세서 유형자산명세서 무형자산명세서 단기차입금명세서 사채명세서 감가상각비명세서 투자유가증권명세서 채무보증명세서 잉여금명세서 현금 및 현금성자산명세서 수선비명세서 매출액명세서 단기대여금명세서 장기대여금명세서 기타의 당좌자산명세서 유형자산처분명세서 무형자산처분명세서
주석(Footnote, Notes, Disclosure)는 주기에 비해 비교적 설명이 길거나 동일내용이 둘 이상의 계정과목 대해 설명하게 되는 경우에 딴 지면에 적은 것을 의미 주석이 필요한 경우 관련과목이나 금액 옆에 (주석 X) 또는 (주석 X 참조)식으로 표시 후, 주석 번호 순서대로 필요한 설명을 함 주석이라는 것을 도입한 사람은 영국의 인쇄공이자 도서 판매인 리처드 저지 (Richard Jugge, 1514 ~ 1577)가 1568년 주교의 성경(Bishops' Bible)에서 처음 사용 현대 기업회계 추세는 주석 공시가 강화 표시 예) Ⅰ. 유동자산 (1). 당좌자산 1. 현금 및 현금성 자산(주석 6) 가. 현금 나. 단기금융상품 주석 6. 유동자산 가. 현금은 100%이며 현찰이며 회사 금..
주기(Annotation, 어노테이션)는 재무제표상의 해당과목의 필요한 사항을 간단히 괄호란에 기입하는 것 처분전이익잉여금이나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배당 등에 사용 예시) 자본 10. 처분전이익잉여금(당기순이익 – 당기: 700백만 원, 전기 - 500백만 원)
그리스어 “ β “ 이라는 문자에서 유래 개별주식이 증시 전체 움직임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내는 공분산을 시장 개별분산으로 나눈 비율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위해 사용 해석 β 1: 시장평균주가의 변동과 큰 비율로 주가가 움직임, 강세시장에 유리
라틴어 “ r”에서 유래 두 주식간의 분석기간 동안 얼마나 비슷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지표 범위는 -100, 0, 100으로 고정 - 100경우 한 주식 주가는 하락 시 타 종목이 상승하며 0이면 상관관계가 없으며 100이면 한 주식이 오르면 타 주식 주가 또한 동반 상승 목적은 변동성 계수..
그리스어 “δ”로 과거의 주가수익률의 표준편차(標準偏差)를 나타낸 값으로 과거수익률이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 과거 주가수익률이 평균적으로 좁은 범위를 형성, 밀집되어 있고 평균적인 수익에 대해 표준편차가 적게 나타나서 변동성이 적다. 반대의 경우 평균수익이 넓은 범위로 ..
영어: EV/EBITDA 기업의 총자본에 대한 수익성과 기업가치를 비교하는 투자지표로 기업가치가 순수한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EBITDA)의 배수 주가수익비율(PER)과 함께 적정주가 산정하는데 중요한 개념 수치가 낮으면 주가 영업이익 비해 저평가로 평가 기업이라도 결산기마다 재무구조가 개선이 안되면 고평가로 해석 예) EV/EBITDA이 답이 "3"일 경우 그 해석? 기업이 연간 영업이익의 3배로 투자자는 투자원금 회수 기간을 의미하며 “3”는 투자원금이 3년 후에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 Price Earning & Growth Ratio(PEG) 주가수익비율(PER)의 성장성평가를 불가한 단점을 보완(補完)한 지표 PER이 높을 경우 PEG지표 사용, 산출하여 그 기업가치를 재평가 성장률이 클수록 낮으며 실적발표에 따라 성장률을 수정, 측정에 주의 PEG = PER/EGR l EGR EPS의 성장률 (당해 EPS – 전년 EPS)/전년 EPS 또는 EGR = (1+성장률)
영어: Price Sales Ratio(PSR)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것 기업 성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상재적인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데 이용하는 지표로 주가수익비율(PER)약점을 보완이 목적 설립 초기 기업은 매출액 크고 순이익이 적지만 그 만큼 매출액이 증대된다면 PSR를 주요 가치판단지표로 사용 추세 분석에 따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PSR = (최고, 최저가)/주당매출액
영어: Price Cash flow Ratio(PCR) 한 기업의 잉여금이나 감가상각비가 클수록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주당자금의 총량 기업이 불가항력적(不可抗力的)인 상황에서 기업 손실을 상쇄(相殺)시킬 수 있는 정도로 유지되어야 할 기초적인 목적임 PCR 비율이 낮을수록 좋고 낮으면 재무안정성이 높으며 주가 또한 저(低)평가로 인식 등식 PCR = (최고 및 최저가)/주당현금흐름(배)
숨겨진 기업의 내재가치와 장부가치 파악하는 것은 회계사의 일이자 가치투자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 각종설비이나 무형자산은 감가상각 되므로 장부가치 기준의 회계적 가치는 경제적 실질 차이를 가짐 주도업종은 고평가, 그게 아니라면 저평가되어 주가에 반영되므로 단지 가치평가..
1970년대 미국의 경제, 수학자인 제임스토빈(J.Tobin)에 의해 창시된 내재가치 분석법 1이하 경우 주가는 자산 실제가치보다 저 평가 그 반대 경우 고평가로 판단 (적대적)기업인수 선정기준 또는 새로운 기업 창시에 대한 괴리 정도를 평가하는데 용도로 사용됨 3번째에서는 1이하는 기업인..
영어: (Price Book value Ratio(RBR)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순자산은 해산(청산)시 주주에게 분배된 금액으로 세금, 임금, 부채를 차감 후의 자산이 주당 얼마의 가치 잇는지 파악하는 것 1이상 경우 자산가치 비해 고평가, 반대경우 저평가 PBR = (최고 및 최저가)/주당순자산(배) 가치평가에서는 장부가 기준으로 하므로 토지, 주식, 파생상품 등의 상승(하락)분은 반영 되지 않는다. 실질 PBR이라는 지표가 사용되는데 이 지표는 장부 가에 평가손익을 더한 실질자산을 주가로 나누어 사용 실질 PBR는 상당한 비용, 시간, 노력이 필요하며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은 잦은 가격변동으로 특정시접 실질 순자산 계산에 의존 PBR = 주가/PBR+장부가
영어: Price Earning Ratio(PER) 주당 순이익을 기초로 산출되는 지표를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에 해당하는 것을 계산하여 주가의 고평가와 저평가 하는 것 일반적으로 유사기업의 주가수익비율, 업종 주가수익비율, 시장평균주가수익비율을 비교 옛날에는 특별이익계정을 표현하는 종목이거나 영업 외 이익으로 인해 순이익이 왜곡 여부를 확인 필수 지표 값이 낮으면 좋지만 저 평가이라고 할 수 있다만 순 손실을 볼 경우 음(-)의 표기가 나오므로 오류를 범하기 쉬움 주가수익비율은 경기국면, 주도업종, 기업의 성장성(향후 전망)에 따라 천차만별(千差萬別)이므로 적정비율 산출이 어려움 1. PER = (최고 및 최저가)/주당순이익 2. PER = 주당순이익/(이자율-성장률)= 주당순이익 * PER 3. ..
주당지표를 기초로 주가의 고평가, 저평가 기준을 선정하기 위해 계산 이에 해당하는 지표는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등이 해당
영어: Sales Per Share(SPS) 기업경영활동 의해 얻어진 주당 매출액 기업 성장성 지표로 쓰이며 기업 매출액을 발행주식수로 나눔 제조업에 해당되며 금융업 경우 주당 영업수익으로 대체 액면가가 변경될 때 현 액면가와 비교 과거 주식수를 변경, 조정해야 함 지표 값이 클수록 기업 영업능력이 양호함 외국통화, 파생상품, 채권등은 이에 분석 대상이 아님 SPS = 매출액/발행주식수 예) 발행주식수가 100이며 매출액이 1,000일 때 SPS 지표 값은? (단, 주가는 8원임) SPS = 1,000/100 = 10 그러므로 현 주가가 8원이므로 SPS가 10원으로 나타나므로 80%가량 저평가되었다고 보면된다. l 기업재무구조가 위와 같은 추세로 계속되며 지속적인 성장이 없을 시 본래의 주가로 돌아간다..
영어: Cash Flow Per Share(CPS) 영업활동에 의하여 헌 주당 자금(현금흐름)의 양 부채상환, 자금조달능력 측정 지표로 사용 비율이 클수록 양호한 것으로 판단 외국통화, 파생상품, 채권은 분석 대상이 아님 CPS = (당기 순이익+현금지출이 없는 비용)/발행주식수 예) 당기 순이익이 700이고 현금 지출이 없는 비용 총합이 300이고 발행주식수가 100이라면 CPS값은? (단, 주가는 8원이다.) CPS = (700+300)/100 = 1000/100 = 10 그러므로 CPS는 10이다. 그러므로 현 주가가 8이므로 80%가량 저평가 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