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2000년 초부터 10년간 해상 석유 채굴 권리를 취득 계약하여 환전 없이 진행하며 계약에서는 만료시 석유채굴선 제거 후 해저기반을 원상 복구 취득가는 100,000,000에 취득 잔존가치는 1,000,000 실질 복구비용 5,000,000 총 복구 비용(Total Rehabilitation Cost) 노무비 1,312,500 장비사용 및 간접비(세금 포함) 1,050,000다. 공사계약자의 정상이윤 472,500 도급공사 복구비용 산정 할 때 고려 할 요소 복구공사가 진행될 시점에서 예상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 연1% 노무비, 원재료 인상, 세금 등을 고려 할 때 시장위험인플레이션 : 연5% 무위험이자율(5년 만기 국채 수익률 : 4.72)+ 회사의 신용위험(5.28)의 합 : 10% 회계처리 당해..
복구비용은 현재 복구활동이 진행된다는 가정하에 노무비, 공사간접비, 정상이윤, 세금과 공과 등을 추정 과거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물가승수(Multiplier)를 산정 시장위험프리미엄을 가산하여 현금흐름을 조정하며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계상을 위해 할인율 적용하여 또 현금흐름을 조정..
영어: Rehabilitation Cost 유형자산의 경제적 사용이 종료 후 원상(정상)복구 위해 그 자산을 제거, 해체, 부지 복원, 자산 복구에 소요되는 추정(推定)비용 복구비용이 부채의 인식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복구비용의 현재가치를 유형자산 취득 할 때 취득원가에 가산하고 동액을 복구 충당부채라는 과목계정 사용하여 부채로 계상 이유 1. 취득원가에 부담해야 할 지출액이 포함되어야 함 2. 사용완료 후 회피불능 지출액
자산취득과 관련하여 발생한 차입금대한 이자비용 해당자산 건설자금이자의 취득원가에 산입하여 변경하지 않는다. 회계처리 방식 가. 건설기간 중 발생한 이자비용 자본화 하지 않는다. 근거 : 건설자금이자의 이자비용은 재무비용으로 기간비용 일 뿐이며 자산의 원가가 아님 장점 : ..
위의 기계장치를 정액법으로 감가상각 감가상각비 50 / 감가상각누계액 50 (110-10)/2 = 50 국고보조금 20*8 %(=80/10) = 1.6 B/S 표시 유형자산 기계장치 110 감가상각누계액 (50) 국가보조금 (1.6) 58.4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결정 – 매각 예시 위의 기계장치를 100에 매각 현금 100 / 기계장치 110 감가상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필요자금 80을 보조 받아 내용연수 2년인 잔존가치 10인 기계장치를 110에 취득 국고보조금 수령: 현금 80 / 국고보조금 80 기계장치취득: 기계장치 110 / 현금 110
회계처리(단, 처분이익 발생) 현금 *** / 해당 유형자산 계정 *** 감가상각누계액 *** 유형자산처분이익 *** 국가보조금 *** 처분손실 발생 현금 *** / 해당 유형자산 계정 *** 감가상각누계액 *** / 유형자산처분손실 *** 국가보조금 ***
국가보조금을 수령한 경우 그 받은 자산의 차감계정을 처리 후 취득 할 때 당해 자산에 차감하는 형식으로 처리 당해 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비와 상계처리하며 처분 할 때 잔액을 당해 자산의 처분손익에 가(차)감 l 감가상각비와 상계되는 국가보조금(공사부담금) 산정식 국고보조금 ≤ 감가상각 대상금액: 감가상각비*(국고보조금/감가상각 대상금액) 국고보조금 ≥ 감가상각 대상금액: 감가상각비 전액 l 감가상각 대상금액: 취득원가 – 잔존가치 회계처리 감가상각비 *** / 감가상각누계액 *** ⇒(취득원가-잔존가치)/내용연수 = 감가상각비 국고보조금 *** /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국가보조금-[취득원가-잔존가치]) 대차대조표(B/S)표시 유형자산 해당 유형자산 계정 *** 감가상각누계액 ***..
기업이 국내외 정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특정 목적으로 지급받은 보조금 공식상의 최초는 15세기 영국에서 무역 증진과 생산 장려를 위해서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 ~ 1658)시행한 것 야사이나 비공식적으로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진(秦)나라의 상앙(商鞅, 기원전 390년 ~ 기원전 338년)의 변법에서 나오는 "군공수작제도(軍功授爵制度)"이다. 보조금을 받으면 국고보조금 계정 또는 공사부담금이라는 계정을 사용 공사부담금이란, 공공사업을 수행하는 공기업이 새 시설에 대한 수요자부터 설비투자에 필요 자금의 일부를 제공받는 경우를 말함 회계처리 국가보조금 처리 : 현금 *** / 국고보조금(또는 공사부담금) *** 보조금으로 기계장치 구입 : 기계장치 *** / 현금 *** l 기계..
- 국내외 주주(株主), 정부(政府), 지방자치(地方自治)단체로부터 유형자산을 증여(贈與)받는 경우를 의미 - 취득한 유형자산은 증여 받은 시점에 공정한 평가금액(공정가치)으로 취득원가로 하여야 함 회계처리 예 유형자산 *** / 자산수증이익 *** 현금 *** l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평가할 ..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자산을 타 기업(개인)에게 양도하고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의 유형자산을 취득하는 경우를 말한다. 세금 및 관련 수수료를 협의가 필수 기본적 원칙 교환을 위해 제공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하지만 제공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확실(불명)한 경우 교환 취득 자산의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기록하며 이에 따르는 이익이나 손실 인식을 해야 한다. 동종자산 끼리 교환은 적용불가 동종자산 교환 주의점 유사하지 않는 경우 즉, 일부 현금 등의 금액이 중요하면 공정가치의 25%를 초과하면 동종자산 교환이 아님 제공자산에 손상차손이 발생한 경우 손상차손을 인식하며 그 이후 장부금액을 수취 자산의 취득원가로 처리 예1. 장부가 60(취득원가 90 감가상각누계액 20)의 기계를 공정가 80의 기계로 교..
특수관계자, 법률상 특권, 우연적 사정으로 정상가격보다 현저하게 높은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 기부금은 당기 영업외 비용으로 처리하지만 자산취득원가는 공정가치로 기록해야 한다. 회계처리 유형자산 *** / 현금 *** 기부금 ***
상대방과의 특수관계자, 법률상의 특권, 우연적인 사정으로 정상가격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 자산수증이익은 영업외 수익으로 처리하지만 자산취득원가는 공정가치로 기록해야 한다. 회계처리 유형자산 *** / 현금 *** 자산수증이익 ***
건물을 500에 구입을 하지만 100씩 분할 지급 후 취득 예정 취득 완료 전 건설중인자산 500 / 현금 500 취득 완료 건물 500 / 건설중인자산 500
수 개월에 걸쳐서 계약금, 중도금, 잔금으로 분할지급을 하는 경우나 특별히 주문 제작하는 경우가 해당 취득완료 전까지는 건설중인자산으로 처리하며 그 후에 취득 완료되면 본 계정대체 장기간 소요되는 경우 건설자금이자가 발생 회계처리 가. 취득완료 전 취득 건설 중인 자산 *** / 현금 *** 나. 취득완료 때 구입한 유형자산의 계정 ***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을 구입하고 그 대금을 장기성 지급어음이나 사채를 발행하여 대금지급을 이연시키는 방법 자산취득원가는 자산 공정가치는 또는 지급부채의 현재가치로 계산 : 즉시구입을 하는 것보다 이자부분이 포함되어서 높은 가격으로 계상이 되므로 이자부분은 차감 한다. 장기연불조건도 현재가치로 평가한다. 세금(양도세, 부가가치세 등)와 금융 수수료, 운송료 등을 포함 시킨다.
장기후불조건으로 구입하거나 대금지급기간이 일반적인 신용기간보다 긴 경우 취득원가는 현금 구입가격으로 한다. 현금구입가격과 실질 총지급액과 다를 경우 금융비용의 자본화 대상이 아닌 이상 만기까지 이자비용으로 인식 현금 구입가격에 해당 금액을 현금 지급하는 거래와 취득 즉시 위의 금액을 판매 자로부터 차입하여 미래 기간 자금을 상환하는 이원거래 구성으로 생각하면 된다.
증여(贈與)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기업이 유형자산을 수증 받는 것을 의미 공정가액으로 인식되며 자산수증이익 계정으로 처리 예) 토지 *** / 자산수증이익 *** l 현물출자나 증여 등이 공정가액으로 처리되는 이유 미래 경제적 이익이 있는 자산이 유입이 되었으나 부외(簿外)자산이 된다 증여된 자산이 영업활동에 사용되면 수익으로 인식되지만 감가상각비와 같은 비용으로 계상되지 않으므로 수익 – 비용의 적정 대응이 불가
한자: 現物出資 유가증권(주식이나 채권 등)발행 대가로 현금 이외의 자산을 수령하는 것 취득원가는 당해 자산의 공정가액 또는 발행, 교부한 지분 증권의 공정가액 중 명확한 금액으로 계상하는 것이 일반적 기업회계기준에서는 공정가액을 취득원가로 규정 회계처리 예시 기계장치 *** / 자본금 *** 주식발행차금 *** ※ 대차 일치 금액이며 대차 일치 금액이 차변이면 주식발행할인차금이라는 계정 사용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결정 – 현물출자 예시 액면가 2,500 보통주 100주 보통주 종가는 7,500이며 공정가액은 750,000. 토지 공정가액은 800,000 토지 800,000 / 자본금 250,000 주식발행초과금 550,000 l 여기에서는 그냥 차이 없도록 했으나 실은 차이가 발생하여 토지 공정가액을 취..
당기 초에 토지, 건물, 기계장치를 일괄하여 10,000에 취득 자산 및 장부가: 토지(3,000), 건물(4,000), 기계장치(2,000) 나머지는 부대비용임 공정가액은 4:3:1 A. 취득자산 계속 사용 자산 안분비율 일괄취득원가 안분 취득원가 토지 4 대 8 10,000 5,000 건물 3 대 8 3,750 기계장치 1 대 8 1,250 합 8 대 8 10,000 B. 건물 신축을 위해 자산 취득한 경우 (단, 취득건물은 취득 즉시 철거예정이며 기계장치는 계속 사용) 자산 안분비율 일괄취득원가 안분 취득원가 토지 4 대 8 10,000 8,750 기계장치 1 대 8 1,250 합 8 대 8 10,000
가. 토지, 건물 취득 즉시 건물 철거 - 토지만 취득으로 회계처리하고 철거비용과 각종 인허가와 관련하여 첨가소화채 매입 비용을 토지 취득원가에 가산한다. 토지 *** / 현금(또는 미지지급) *** 만기보유증권 *** 나. 일괄취득 후 기존건물과 토지 사용 아래의 회계처리만 해 주면 된다. 토..
- 다수의 자산을 일괄에 취득하는 것 - 개별자산의 취득 원가를 구분 할 수 없는 경우 일괄취득 대금의 당해 자산의 공정가액 비율로 안분하여 개별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결정 - 안분대상이 되는 자산은 반드시 회사가 사용하는 자산이 되어야 한다.
전제조건 : 부속품 100,000에 구입, 2/10, n/30의 신용조건으로 구입 A. 순액법 구입: 유형자산 98,000 / 미지지급 980,000 할인기간 내 현금 지급: 미지지급 98,000 / 현금 98,000 할인기간 후 현금 지급: 미지지급 98,000 / 현금 100,000 이자비용 2,000 B. 총액법 구입: 유형자산 100,000 / 미지지급 100,000 할인기..
구입자가 구입대금을 일정기간 내에 지급할 경우 현금할인을 해주는 것 회계처리법에 따라 순액법과 총액법이 있음 가. 순액법 할인기간 내 현금지급을 가정하여 총 구입가에서 매입할인액을 차감한 순액으로 자산 취득원가를 기록 자금사정이 어렵거나 국가(정부)개입이나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할인기간 이후 대금지급 할 경우 할인기간 경과금액을 이자비용으로 인식 나. 총액법 구입시점에서 할인기간 이후에 현금지급이라는 가정하에 총 구입가격으로 자산 취득 원가로 기록하며 할인기간 내에 현금지급 경우에는 현금 할인액을 취득원가를 차감(매입할인)으로 인식 l 국제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매입할인이 있을 때 차감 후 취득원가로 산출한다고 규정
l 이미 전에도 다루었지만 빠진 부분이 있어서 추가 - 취득방법으로 기업의 외부로부터 구입하는 것 - 구입대금에서 그 자산이 본래 가능을 수행할 까지 발생한 부대비용을 포함이 된다. - 구입과 관련이 없는 일반관리비, 경비, 시운전, 시험 가동, 시험 운행 위한 지출이라도 취득원가에 ..
당기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 100 당기 상품매입액 1000 기말상품재고액 -200 계 900 당기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 200 당기 상품매입액 1000 기말상품재고액 -400 계 800 당기 기말상품 50이 과대평가 당기 순이익 10,000 차기 당기 순이익 20,000 당기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 100 당기 상품매입..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직접 관련되어 있음 기말재고자산 과대(과소)계상 → 매출원가 과소(과대)계상 → 당기순이익 과대(과소)계상 차기: 기초재고자산 과대(과소)계상 → 매출원가 과대(과소)계상 → 당기순이익 과소(과대)계상 공통점: 기말재고자산의 과소(과대)계상 오류는 다음 연도에 반대 결과를 가져오면서도 두 회계기간 동안 상쇄된다.
당기 6/30까지의 1년 분 수수료 수익 100,000,000 전액을 당기 6/30 수수료 수입 때 수익 계상된 오류 발견 당기 순이익은 10,000,000,000, 20,000,000,000임 정확한 당기 순이익 당기 연도 수정 전 당기 순이익 10,000,000,000 미수수수료 과소계상 100,000,000 정확한 당기 순이익 10,100,000,000 차기 연도 수정 전 당기 순이익 20,000,000,000 미수수수료 과소계상 (100,000,000) 정확한 당기 순이익 19,900,000,000 수정분개 당기: 미수수수료 100,000,000 / 수수료 수익 100,000,000 내년연도: 전기오류수정손실 100,000,000/ 미수수수료 100,000,000 2년 후: 회계처리 없음(오류효과..
당기연도 오류: 미수수익 과소(과대)계상 → 당기 손익 과소(과대)계상 → 당기 순이익 과소(과대)계상 차기 연도 오류: 당기 수익의 과대(과소)계상 → 당기 순이익 과대(과소)계상 공통점: 당기에 인식될 수익을 차기로 이연 시키는 결과를 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