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선수수익을 당해 연도에 과소계상 하였다면 당기 분 수익을 과대계상한 것 선수수익을 당해 연도에 과대계상을 하였다면 당기 분 수익을 과소계상한 것 공통적으로 차기에 인식 될 수익을 당기에 인식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1년 분 이자비용을 500 전액 6월 30일 이자비용으로 지급 당기 순이익은 10,000과 20,000으로 보고 정확한 당기 순이익 당해 연도 수정 전 당기 순이익 10,000 미지급이자 과소계상 500 정확한 당기 순이익 9,500 내해연도 수정 전 당기 순이익 20,000 미지급이자 과소계상 (500) 정확한 당기 순이익 20,500 수정분개 당해 연도: 이자비용 500 / 미지급이자 500 내년연도: 전기오류수정손실 500 / 미지급이자 500 2년 후: 회계처리 없음(오류효과가 자동 조정되므로 수정분개가 없음)
미지급비용을 과소계상을 하였다면 당기 분 비용을 과대계상한 것 선급비용을 과대계상을 하였다면 당기 분 비용을 과소계상한 것 공통적으로 차기에 인식 될 비용을 당기에 인식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1년분 임차료를 10,000을 당해연도에 비용처리하였으며 내년 후 당기순이익을 100,000과 200,000으로 처리 정확한 당기순이익 당해연도 수정전 당기순이익 100,000 선급보험료 과소계상 5,000 정확한 당기순이익 105,000 내해연도 수정전 당기순이익 100,000 선급보험료 과소계상 (5,000) 정확한 당기순이익 195,000 수정분개 당해연도: 선급비용 5,000 / 보험료 5,0005,000 내년연도:보험료 5,000 / 전기오류수정이익(또는 미처분이익잉여금) 5,0002년 후: 회계처리 없음(오류효과가 자동조정되므로 수정분개가 없음)
선급비용을 과소계상을 하였다면 당기분 비용을 과대계상한 것선급비용을 과대계상을 하였다면 당기분 비용을 과소계상한 것공통적으로 당기에 인식 될 비용을 차기로 이연시키는 결과을 가져온다.
2 회계기간 통해서 오류 효과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오류 재고자산, 미지급비용, 선급비용, 미수수익, 선수수익 등의 경과계정의 과소(과대)평가의 등을 들 수 있 발생연도에 발견될 때에 반대분개를 통하여 수정하며 발생연도가 아닌 다음 연도에 발견 할 때 오류누적 효과 만큼 전기오류수정손익(영업외 손익, 중대한 오류 경우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수정 발생연도부터 두 회계기간 경과 후 발견될 때에는 수정분개가 필요가 없음 대차평균원리를 이용하면 자동조정적 오류가 연도별 순이익에 미치는 효과를 쉅게 분석 가능 약식 대차대조표 파 대차대조표 자산 과대계상 부채 과대계상 과소계상 과소계상 자본 과대계상 과소계상
가. 발행 당시 조건 액면이자율: 10% 2년 후 만기 BBB급 발행채권 이자 지급일: 매년 12월 31일 1회 나. 감사인이 발견한 오류 회사가 발행한 사채 금액 94,000이 현금계정에 차기하고 사채계정에 대기 12월 31일 이자지급 때 10,000을 이자비용계정으로 차기하고 현금계정 대기 다. 기타사항 : 할인..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소멸하는 데에 회계연도(1년)이상 소요(逍遙)되는 오류 일반적으로 비유동자산, 비유동부채 등이 관련된 오류가 해당 오류 발생연도에 발견될 때에 반대 분개하여 수정하며 이후에 오류가 발견 시 오류 누적효과 만큼 전기오류수정손익으로 처리(단, 영업 외 수익, 중대한 오류 경우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처리)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에 모두 미치는 오류 이론적 관점에서는 전기이전 손익이 과대(과소)계상될 경우 미처분이익잉여금을 감소(증대)시키고 비교 공시되는 전기재무제표는 오류를 수정하여 재 작성이 원칙 예) 전기이전 손익 과대 계상: 미처분이익잉여금 *** / (계정명) *** 전기이전 손익 과소 계상 (계정명) *** / 미처분이익잉여금 *** 기업회계기준(국제회계기준)에서는 손익이 잘못 산정될 경우 전기오류수정이익, 전기오류수정손실로 계정 과목으로 하여 당기 영업 외 손익으로 처리하도록 규정 예) 전기이전 손익 과대 계상 : 전기오류수정손실 *** / (계정명) ***(영업 외 손실) 전기이전 손익 과소 계상 (계정명) *** / 미처분이익잉여금 *** (영업 외 수익)종류 자동조정적 오류(Counter ..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오류 계정과목 분류상의 오류로 앞의 두 가지로 구분 가. 대차대조표 오류(Balance Sheet Errors) 대차대조표에만 영향을 주는 오류로 자산, 부채, 자본계정의 분류의 오류로 발생됨 분류상 오류는 즉시 적절한 계정과목으로 재 분류 예) MMF(단기금융펀드, 머니 마..
회계상 오류는 회계사가 과로(過勞), 과실(過失), 고의(故意)또는 강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류 오류의 종류 가. 회계 원칙 적용 오류: 발생주의(發生主義)를 적용하지 않고 현금주의(現金主義) 적용하는 것 나. 회계 추정상 오류: 대손예상금액을 경험부족 또는 부주의, 과로, 강압으로 ..
주가예측 위험성을 배제(排除)하고 일정기준을 설정하여 자동적으로 상품의 매매시점을 파악 할 수 있는 방식 같은 말로 자동화 매매(오토메이션)이라고 함 투자자금에 상관없이 가능하므로 일반투자자도 가능 기본적으로 가격이 급등 시 조만간 하락하며 반대이라면 상승한다는 기본..
자금이 많은 국내외 기관 및 개인이 중심적으로 사용하는 자산구성(포트폴리오)을 말함 투자자 성격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상품을 구분하여 위험 축소와 수익을 극대화가 목적임 1952년 미국 경제학자이자 주식투자자인 해리 맥스 마코위츠(Harry Max Markowitz, 1927 ~ )가 창설한 이론 무수히 많은 자산을 조합하면, 수많은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고 이러한 포트폴리오들 중에서 동일한 위험을 지녔으나 기대수익이 높거나, 동일한 기대수익을 가져다 주지만 위험이 낮은 포트폴리오는 그렇지 않은 포트폴리오를 지배(지배원리) → 서로 지배할 수 없는 포트폴리오들의 조합을 "효율적투자선"이라고 부름 전제조건 합리적인투자자 : 이 가정에는 투자자는 위험회피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기대효용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공격적 부문과 방어적 부문과의 비율을 주가등락에 따라 변화시켜 두 비율을 변동시키는 방법 일정기준을 두며 최소-최대비율을 0~100범위 내에서 적정 비율을 선택하며 매매 시 선택된 적정비율에 따라 매매가 이루어져야 한다. 구성과 자산구성(포트폴리오)의 변동의 예 국면 행동기준 ..
주가수준과 상관없이 일정액을 선택 상품을 정기적으로 꾸준히 매입하여 매입 원가를 평균화 시키는 것 소액투자자들이나 증권(상품)저축을 이용하는 투자법 미래의 안정자금축적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 법 구성의 예(인도네시아 100루피아당) 구분 매수일 매수단가 매수액면가 투자금액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IDR) 07월 13일 12.69 126.23 1,571 07월 30일 12.53 171.59 2,150 08월 27일 12.5 320 4,000 09월 07일 12.42 72.47 900 09월 27일 12.18 1.99 24 09월 28일 12.44 193.73 2,410 09월 30일 12.4 84.68 1,050 총합과 평균 \12.45 970.69 12,105 100루피당 13.01원에 처분했다고 가정하자 ..
같은 말로 정액법, 고정 금액법이라고함 공격적 부문의 총액이 사전금액에 항상 고정되게 만드는 법 주가상승(하락)시 공격적 부문의 금액이 늘어나면 증가 부문을 매도하여 방어적인 부문의 상품을 매수하여 추가시키고 하락(상승)하면 그 반대로 하는 방식임 구성(예) 주식시장(株式市場)이 상승추세로 판단되어 공격, 방어적 부문으로 나누어 8:2로 고정 단, 수수료와 세금은 고려하지 않는다. 가격변화 A기업 B기업 현금 합계 비고 시작 시 \800,000 \200,000 \1,000,000 \2,000,000 10만원 차익 상승 시 \810,000 \200,000 \1,000,000 \2,100,000
불변비율법은 공격적 부문과 방어적 부문을 정하고 그 비율을 사전 설정하면서 양 부분을 처음에 정해진 비율을 지키는 방식 같은 말로 정률법, 비유동(고정)비율법이라고 함 구성(예) 조건 1. 미국 달러화(USD)가 약세(弱勢)가 예상되고 유로화(EUR)와 호주(濠洲) 달러화(AUD)가 강세(强勢)가 ..
한가지 방법이 적용되지만 간혹 다수의 방법이 이용됨 종류: 불변비율(CRO: Constant Ratio Plan), 불변금액법(CDP: Constant Dollar Plan). 달러코스트평균법(DCAP: Dollar Cast Averaging Plan), 가변비율법(VRP: Variable Ratio Plan), 표뮬러 플랜 방식, 마코비츠 방식
공격적부문과 방어적 부문으로 나눔 주식 경우 변동성, 상관계수, 베타계수로 구분 채권과 예금 경우 채권과 예금의 만기기간, 이자율, 변동성, 금리로 구분 대게는 주식, 채권 또는 타 상품으로 혼합 운용됨 비율과 매매시점은 사전설정이 되며 같은 기준을 지속 유지
자산구성(Portfolio, 자산구성(포트폴리오)이란 효율적인 유가증권이나 상품구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시키고 위험을 축소시키는 전략(속담: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같은 의미로 자산구성 투자목록이라고 한다. 자산구성은 분산의 원칙과 관리원칙에서 효율적 시장이 적용됨 효율..
사람마다 비율 선정을 두고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다. 비율 명 등식 판정 기준 우량(優良) 보통(普通) 부실(不實) 현금 대 총 부채 비율 (당기 순이익+감가상각비)/총 부채*100 20% 이상 20 ~ -10% -10% 유동비율 대 부채 비율 [유동부채+비유동부채]/자기자본*100]+[유동부채+유동비율*100] 200% 이상 20..
미국 스텐포드대학 경제학 교수인 비바 교수가 만든 비율 재무비율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일 비율에 근거(根據)하여 도산하는 기업들의 5년간의 추이를 보고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모형화(模型化) 개인적인 재무비율을 설정하는 것도 안전투자의 한 방법 비율명 등식 판정 기준 우량(優良) 보통(普通) 부실(不實) 현금 대 총 부채 비율 (당기 순이익+감가상각비)/총 부채*100 20% 이상 20 ~ -10% -10% 순이익 대 총자산 비율 당기 순이익/총자산 *100 5% 이상 5 ~ -2% -2% 자기자본 대 총자산 비율 자기자본/총자산*100 30% 이상 30 ~ 10% 10% 이하 운전자본 대 총자산 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총자산*100 25% 이상 25% ~ -5% -5% 유동비율 유동..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많이 활용되고 지금도 쓰이고 있는 일반적인 부실기업 판단하는 일반적 기준임 이름(名) 등식(等式) 적정 비율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 150%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총자본> 30% 고정장기적합율 비유동자산/(유동부채+자본)< 50% 차입금의존도 총 차..
1. 매출액 증가율 둔화 : 매출액 증가율이 재고자산 증가율과 함께 증대되다가 오히려 나중에 매출액 증가율이 재고자산 증가율보다 낮아진다. 2. 순이익증가율 둔화 3. 재고증가율 증대(增大) 재고자산 증가율이 점점 높아질 경우 과잉재고 여부를 너무나 낮거나 전기에 비해 너무 낮다면 ..
부가가치 상승률이 인건비(人件費)상승률에 상회(上廻)하는 경우가 해당 해당지표 :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총자본투자효율
총자본 회전기간을 판단하여 재고 과다여부와 과다 투자여부 진행여부를 파악하는 것 부도기업 경우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이 점점 낮아지며 매입채무가 증대 관련지표: 총자본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기간 분석
전체적으로 총자본증가율이 매출액, 경상이익증가율보다 높을 경우 부채증가로 판단 부도나기 전인 2년 전부터 매출액이 서서히 감소 부도난 기업들을 보면 매출 및 재고가 증가하지만 어느 순간에 매출은 줄고 재고가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됨 해당지표: 총자본증가율, 총자본회전율, 매출액증가율, 재고자산증가율
전체적으로 자본에서 어느 정도의 이익을 올리는가를 판단하는 것 해당지표: 매출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총자본이익률, 금융담보이익율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타인자본의 유입속도와 크기를 파악, 안정성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임 해당하는 지표: 유동비율, 차입금의존도, 부채비율, 고정비율, 고정장기적합율
A. 재고자산 기업의 필요악이라고 불리며 적정량에 넘거나 적을 경우 좋지 않다고 판단 재고자산이 과거기업의 평균추세흐름 또는 업종평균에 어긋나면 면밀한 판단 요구 부도나기 전 2년 전부터 급격히 증대됨 B. 매출채권 자산에 속하지만 불황기에는 회수가 불가한 불량자산으로 격하(格下)됨 재고자산과 마찬가지로 부도나기 전 2년 전부터 급격히 증대 C. 차입금 단기, 중기, 장기 차입금을 모두 포함 단기차입금 금리가 차입금 함께 증대된다면 주의를 요구 고금리에도 자금이 필요한 경우 급박한 일이 겪고 있다는 것을 파악됨 D. 단기유가증권 중 파생상품 파생상품 경우에는 위험회피 동시에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유가증권이자 수익증권임 가격 급등락이 나면 거래소에서 증거금(證據金)부족 이유로 충당요청 된다면 기업은 자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