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Ø 광의적으로 자본(資本)은 소유주(所有主)인 주주(株主)들의 지분을 말함 Ø 같은 말로 순자산(純資産)이라고 한다. Ø 부채로 자금조달을 하면 제공대가로 확정청구권을 갖는 대신에 경영성과에 따르는 배당이익 권리행사는 불가 Ø 자본으로 자금조달을 하면 소유주는 확정청구권을 ..
제품판매를 할 때마다 제품보증의무 의해 보증기간 동안에 그 기업이 지출해야 할 무상 수리비 예상금액을 부채로 인식 미래의 지출 예상금액은 장기제품보증부채를 인식하는 동시에 당기의 비용으로 제품보증비로 인식 제품보증기간이 대차대조표 일부터 1년 이내에 끝나는 경우 “장기”이라는 수식어가 붙지 않는 경우에는 “제품보증충당금”이라는 부채계정을 사용하며 대차대조표에서 유동부채로 인식한다. 실제 지출액만큼 장기제품보증충당부채를 감산시키는 수정분개를 실시 분개(“장기”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제품보증비 *** / 장기제품보증비 *** 장기 충당부채 인식할 때 관련 비용을 인식하는 분개 비용항목 *** / 장기충당금 *** 실제지출 시점부터 장기부채감소를 기록, 분개 장기충당부채 *** / 현금 ***
1. 전(全) 종업원이 당해 연도 말에 퇴직(退職)한다고 가정할 때 지급해야 할 퇴직금총액은 150,000,000(1억5천만 원)이다. 2. 기초 퇴직급여잔액은 130,000,000(1억3천만 원)이다. 3. 당해 연도 퇴직종업원에게 실제로 지급한 퇴직금(退職金)은 25,000,000원(2500만원)이다. 퇴직충당금 전기 퇴직급여충..
한자: 退職給與充當金 순서 ① 당기에 퇴직종업원에게 실제로 지급한 퇴직금을 구한다.② 당기 말 현재 전 종업원이 퇴직한다고 가정할 경우 총 퇴직금액을 구한다. 단, 이 금액이 퇴직급여충당금잔액이 되어야 한다.③ 당기에 추가 설정되어야 할 퇴직급여를 구한다. A. 퇴직급여의 추가설정 = 퇴직급여충당금기말잔액 – (퇴직급여기초잔액-장기퇴직금지급액) A-1 현금으로 퇴직금을 지급했을 때의 분개 퇴직급여충당부채 *** / 현금 *** B. 퇴직금 설정 퇴직급여 *** / 퇴직급여충당금 *** 전기 퇴직급여충당금 1. 당기퇴직금지급액 기초잔액 2. 기말잔액 퇴직급여 ↓ ↓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기말수정분개의 대차대조표와 순익계산서의 표시 대차대조표 대차대조표(기말수정 이후) 비유동부채 퇴직급여충당금 *** 손익계..
Ø 같은 말로 퇴직급여충당금이라고 한다. Ø 퇴직금은 종업원이 입사부터 퇴사할 때까지 회사를 위해 근로를 제공한 대가로 퇴직할 때 일시에 지급하는 비용 Ø 퇴직금은 근로기준법이나 회사에서나 회사 내의 이사회에서 내부규정 따라 지급이 된다. Ø 근로기준법에 나와있는 등식은 ..
미래에 지급시기 또는 금액이 확정되지 아니하였지만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미래에 지급해야 하거나 지급할 가능성이 높은 비 유동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 장기보증충당부채가 있다.
사채발행비이란 사채를 발행할 때 증권사 수수료, 광고비, 유가증권시장 상장비용 등의 소요하는 것을 의미 사채발행비 지출이 있으면 실질자금조달금액이 줄어든다. 등식 사채실질발행금액 = 사채발행금액 – 사채발행비
분개 사채 *** / 현금 ***
실질차입금액은 아주 동일 분개 이자비용 *** / 현금 ***
할증발행의 만기, 조기상환도 할인발행의 만기상환과 동일 사채상환 이후, 대차대조표에는 사채계정을 기록하지 아니한다 단, 사채가 만기가 남는 경우는 제외한다.
l 할증발행차금은 사채의 부가계정으로 현금지급액과 이자비용 발생금액의 차이는 할증발행차금의 감소액이 된다. l 발행첫해는 할증, 액면, 할인이라도 해도 할증발행은 기말수정분개를 아래와 같이 분개를 해준다. 분개 이자비용 *** / 현금 *** 사채발행차금 ***
ü 조기상환이라고 해서 발행회사가 자금사정이 좋아서 만기일전에 상환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되는 계정은 사채상환이익이라는 계정이 사용된다. ü 반대의 경우에는 사채상환손실이라는 계정이 사용된다. ü 2가지 경우 손익계산서상 영업이익(사채상환이익)또는 ..
ü 할인발행에서의 이자는 실질차입금액과 유효이자율 따라 계산 ü 기말수정분계 하여 할인발행차금은 0으로 처리되어 없어지고 이자비용이 계산된다.
유효이자율법은 같은 말로 실질이자율(實質利子率)이라고 한다. 이자비용이나 실질차입금액과 유효이자율에 따라 계산된다. 등식 이자비용 = 기초시점 사채장부가액 * 유효이자율
조건 발행일 : 2007.01.02 만기일 : 2010.12.5 액면금액 : 1,000,000원 이자지급 : 연1회, 매년지급 액면이자율 : 6% 1. 사채발행일이 시장이자율 6%이라고 가정하고 그 분개는? 발행일이 시장이자율이 액면이자율과 동일하면 액면발행으로 분개처리 현재가치 계산식으로 이용한다. 이자는 6,000,000(600만)원(액면가1억*액면이자율6%) 발행가 : 분개 현금 100,000,000 / 사채 100,000,000 2. 사채발행일이 시장이자율이 이자율 4% 이라면 그 분개는? : 할증발행이 되므로 대변에 사채할증발행차금계정을 사용해야 한다. 발행가 : 분개 현금 105,550,000 / 사채 100,000,0000 사채할증발행차금 5,550,000
액면이자율이 0~0.5%일 경우 이자에 대한 원천징수 이후엔 사실상의 현금 이자지급이 없지만 액면가(額面價)에는 사실상 현금이자가 존재 5년 이상 국공채(國公債)이나 특수회사채(特殊會社債)에는 할인사채가 발행된다. 사실상 장기간 할인사채는 수익률이 높고 가격은 낮다. 마이너스 ..
사채의 할증발행(割增發行)이란, 발행가액보다 사채 할인율(시장이자율)이 낮은 경우 발행가격 > 액면가 분개4 현금 *** → 현금 실재 수령액 / 사채 *** 사채할증발행차금 *** → 차금은 사채의 액면가를 현재가로 만들기 위해 부채의 가산적인 평가계정 대차대조표 비유동부채 사채 : *** ..
ü 사채의 액면발행(額面發行)이란, 사채 액면가액이 같은 경우 ü 발행가격 = 액면금액 분개 현금 *** / 사채 *** 대차대조표 대차대조표 비유동부채 사채 ***
ü 사채의 할인발행(割引發行)이라는 것은 사채의 발행가액보다 사채 액면가액이 큰 경우를 의미 ü 발행가격 < 액면가 분개 현금 *** → 현금 실재 수령액/ 사채 *** 사채할인발행차금 *** → 액면가가 현재 가치로 만들기 위해 설정하는 부채의 차감적인 평가 계정 대차대조표 표시 대차..
ü 사채가격은 사채로부터 미래의 현금흐름(이자와 액면가)을 당해(當該)사채의 시장이자율(정책금리가 될 수 있다.)로 할인한 현재가치와 같다. ü 시장이자율은 시장 사채투자들이 기대하는 투자수익률 ü 사채발행기업의 신용위험이 높으면 시장이자율이 높고 반대경우 시장이자율이..
신용등급이란, 신용평가회사가 만든 표로 표에 따라 시장이자율이 결정된다.신용도에 따라 이자율이 달라지므로 할인발행이나 할증발행을 하게 된다. 1. 기업어음 신용등급 등급 내용 A1 적기 상환능력이 최상이며 상환능력의 안정성 또한 최상임. A2 적기 상환능력이 우수하나 그 안정성..
아래의 동종 그림은 부도난 대한해운30 회사채이다. 1. 액면금액(Face Value) : 발행기업이 사채를 매수한 투자자에게 만기일까지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액 2. 액면이자율(Stated Interest Rate) 만기일까지의 기간 중 발행회사가 투자자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한 연간 이자율 같은 말로 표시 이자율 다만, 시장이자율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사용되는 이자율이며 신용도에 따라 이자율이 천차만별(千差萬別) 시장이자율이 마이너스 금리에서 최고 70%가 될 수 있다. 액면이자율이 높으면 그 만큼 세금이 높아져서 이자소득이 적어지겠지만 액면이자율이 낮으면 이자소득세 그 자체도 낮고 이자소득도 쥐꼬리 채권 거래를 할 때 액면이자율이 높은 경우 채권가격은 비교적 수익률이 낮다고(=채권 가격이 높다고) 할 수..
타인자본으로 회사의무를 나타내주는 증서를 발행하여 국내외 일반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회사채 발행회사 경우 비 유동부채인 사채로 회계 처리하지만 국내외 투자자들의 입장에 따라 보유 의도, 능력에 따라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중 하나로 회계..
옛날에는 고정부채이라는 계정으로 사용된 부채 지급 기일이 1년 이후에 도래하는 장기부채 유동성배열에 의거하여 항목성격으로 분류하여 장기차입부채, 장기충당부채, 기타비유동성부채로 분류가 된다. 이 계정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고려시대 개성상인들이 사용한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에서 등장한다. 종류
현금을 수취하였으나 수입출처가 불분명하여 계정처리가 결정되지 않아서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계정 가수금은 후일에 출처가 파악되어 계정과목이 결정되면 반드시 해당계정으로 대체해야 한다. 반대계정은 지급용도가 불분명할 때 임시자산계정인 가지급금이다. 분개 출처가 불분명한 돈이 수취됨 현금 *** / 가수금 *** 출처 확인 가수금 *** / 내용이 밝혀진 계정 *** 예) 내용불명의 돈 75,000원이 입금되었는데 나중에 확인하니까 국채 이자로 나온 것이다. 내용불명 현금 75,000 / 가수금 75,000 내용확인 가수금 75,000 / 이자수익 75,000
- 거래처나 종업원이 일시적으로 현금을 수취하고 후에 재 반환하거나 해당기관에 납부 할 때까지 기록하기 위한 사용계정 - 종업원이 납부해야 할 소득세,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회사 또는 종업원이 가입한 금융자산투자나 보험 등을 미리 현금을 수취하여..
건물을 임대를 해주고 10개월 분 임대료를 10월 1일에 12,000,000원(1200만원)받다. 12월 31에 결산분개하고 다음 년에 수익으로 인식한다. 10월 1일자 분개 현금 12,000,000 / 임대료 12,000,000 12월 31일자 분개 임대료 4,000,000 / 선수수익 4,000,000 3월에 수익으로 확정 선수수익 4,000,000/임대료4,000,000
- 미래에 특정용역을 제공하기로 약정하고 미리 받는 서비스 대금 - 기간손익을 정확히 산정을 하기 위해 차기 이후에 속하는 비용과 이연(移延) 시키는 과정 - 이자수익, 임대료, 수입수수료가 이에 속함 분개 현금 *** / 선수수익 ***
미래에 재고자산이나 용역을 제공하기로 약정하고 미리 받은 매출대금 소유권이 이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출로 인식하지 않는다. 자산이 증가하지만 추후에 지급해야 하는 인식되어 증가한다. 분개 계약금과 그 금액을 받음 현금 *** / 선수금 *** 차후에 물건 지급 상품 *** / 선급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