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보험료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유동성 부채에 속함 분개 미지급보험료 발생 미지급보험료 *** / 미지급비용 *** 미지급보험료 지급 미지급보험료 *** / 현금 ***
임차료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 유동성 부채에 속함 미지급임차료 발생 미지급임차료 *** / 미지급비용 *** 미지급임차료 지급 지급임차료 *** / 현금 ***
수수료를 지급되지 않은 부채 유동성 부채로 구분 미지급수수료 발생 지급수수료 *** / 미지급비용 *** 지급할 때 미지급수수료 *** / 현금 ***
임원이나 사원에게 월급이나 주급, 일급을 주어야 하는데 지급하지 않는 경우 유동성 부채에 속한다. 분개 미지급월급 발생 급여 *** / 미지금급여 *** 미지급급여 지급 미지급비용 *** / 현금 ***
비용이 발생했으나 지급하지 않은 부채 비용이 발생했을 때에 인식하는 것이 발생주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월말에 비용과 부채로 인식한다. 종류에 따라 미지급급여, 미지급이자, 미지급수수료, 미지급임차료, 미지급보험료가 있다. 미지급비용과 그들은 월별로 구분되어 계산된다.
재고자산 이외의 자산을 구입한 경우 추후에 지급해야 하는 채무 특성상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부채 상대적 계정인 자산계정인 “미수금” 분개 외상구입 비품 *** / 미지지급 *** 대금지급 미지지급 *** / 현금 *** 반대로 경우 즉, 채권자 입장에서는 외상 판매 미수금 *** / 비품 *** 대금 회..
한자: 短期借入金 1년 안으로 차입금을 상환해야 하는 부채 유동부채로 분류되며 당좌예금을 초과 사용될 때 발생금액인 당좌차월(當座借越, Bank Overdrafts)도 이에 속함 분개 현금 *** / 단기차입금 ***
어느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500,000,000(5억)원을 차입했는데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아서 이율이 0.35%이며 만기는 3년이며 만기일은 2011년 12월 31일이며 차입일자는 2008년 12월 31일이다. 차입금 분개 현금 500,000,000 / 장기차입금 500,000,000 2010년 12월 31일에 은행에 이자를 지급하고 장기차입금을..
장기차입금부채 중에 상환시점이 오면 내년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로 나머지는 단기로 요구 할 때 유동성 사채로 처리한다. 목적은 재무제표이용자들이 오도(誤導)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규제한 계정과목
장기간 차입한 부채(負債)으로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후에 상환 기일이 도래하는 차입금 상환기간이 길기 대문에 시설투자이나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가능하지만 대출금에 이자는 신용도를 평가하여 이자를 부과한다. ⇒ 신용도가 높은 대기업이나 중소기업들은 사실상 제로금리로 ..
차입금(借入金)이란, 차용증서이나 사채를 발행하여 금전을 빌린 대가로 이자(利子)와 함께 지급해야 하는 부채 영어명: Borrowing 차입금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처음 등장 차입금이 사용되면 이율(利率)에 따라 이자를 지급하는데 빌린 입장에서는 이자비용으로 회계처리가 되지만 빌려준 입장 즉, 채권자에게는 이자수익이 된다. 기간에 따른 분류가 되는데 단기차입금, 장기차입금으로 분류되며 진성어음으로 빌린 돈도 차입금으로 분류가 된다.
상품매매대금 결제를 위해 발행하는 어음 같은 말로 진성어음이라고 한다. 채권은 매출채권의 차변에 채무는 매입채무의 대변에 기입 금융시장에서 매매되는 경우 할인이 적용하여 시장에서 매매가 된다. 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할인율은 커진다. 상업어음을 취득 할 때 대여금 *** / 현금 *** 상업어음을 발행을 했을 때 현금 *** / 차입금 ***
자금융통을 위해 발행하는 어음 같은 말로 금융어음(Accommodation Bill), 호의어음 공식상으로는 당나라 시대에 언방(堰坊)이라는 기관이 존재하였는데 이곳에서는 전(銭) ・ 금은(金銀) ・ 포백(布帛) 등을 맡아두고 그 증명서를 준것이 최초이다. 금융어음의 채권은 매출채권 차변에 기입하고 채무는 차입금 계정에 대변에 기입 시장에서도 유통되며 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할인이 적용되어 거래가된다. 신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3자가 어음보증참가담당배서를 하는 경우도 있다. CP가 이에 해당 채권: 매출채권 *** / 상품 *** 채무: 상품 *** / 매입채무 ***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한경닷컴 사전 융통어음 [accommodation bill] 기업이 상거래를 수반하지 않고 순수하게 돈을 빌리기 위..
① 환어음을 받든 약속어음을 받든 받은 사람은 받을 어음으로 처리한다. ② 환어음을 발행하면 어음은 나오지 않고 대변에 외상매출금이 없어진다. ③ 환어음을 인수하면 외상매입금이라는 부채는 없어지고, 지급어음이라는 부채가 생긴다. 분개 환어음 발행하여 인수(지명인이 지급하겠다고 동의를 하는 것)받아 지급 받을 어음 *** / 매출 *** 환어음을 인수 할 때 외상매입금 *** / 지급어음 ***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환어음 어음 작성자(발행인)가 제3자(지급인)에 대하여 어음에 기재된 금액을 일정한 기일에 어음상의 권리자(수취인 또는 지시인)에게 지급할 것을 무조건으로 위탁하는 증권. 약속어음이 발행인 자신 terms.naver.com
동점(銅店)이란, 타인이 발행한 것을 의미하는데 동점발행어음이라는 자체는 타인이 발행한 어음이라는 의미 당점(當店)이란 자신이 발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당점발행어음이라는 것은 자신이 발행한 어음이라는 의미 동점수표이라는 말이 있는데 타인이 발행한 수표이고 당점수표는 자신이 발행한 수표를 의미한다. 동점발행어음을 받으면 받을 어음으로, 당점(자기) 발행 약속어음을 받으면 지급어음으로 처리한다. 당점발행어음을 발행하였을 때 지급어음 대변에 기장하였으므로 차변으로 없애주는 의미 둘 다 동점, 당점 어음이 처음 등장시기는 조선후기 숙종시절 상평통보가 본격적인 유통되면서 개성상인들과 객주이라는 상인의 물건을 위탁받아 팔아주거나 매매를 거간하며, 여러 가지 부수 기능을 담당한 중간상인이 나오면서이다.
한자: Renewal of Notes 어음상의 채무자가가 어음 만기일에 지급능력이 없을 경우 어음채권자인 어음 소지인에게 요청하여 지급을 연기하고 구(舊)어음과 신(新)어음을 교환하는 것 어음개서가 있을 경우 기일연장대한 이자는 현금지급이나 어음금액에 가산하고 구(舊)어음의 채권과 채무는 소멸하고 새로이 발행되는 어음의 채권과 채무가 발생 분개 채권자 경우에서 만기일을 연장 해줄 경우 매출채권 *** / 매출채권 ***현금 *** 이자수익 *** 채무자 경우에서 만기일 요청을 채권자가 승인 해주는 경우 매입채무 *** / 매입채무 ***이자비용 ***
만기일에 어음 소지인이 어음상의 채무자(발행인)부터 어음대금의 지급 청구하게 되는데 발행인이 자금부족 등으로 지급거절 되는 것을 의미 어음이 부도가 나면 소지인이 어음법 규정상 배서인, 발행인 기타 어음상의 채무자에게 상환 청구권을 행사가 가능 상환청구권(소구권[遡求權)..
힌자: Bill of Discount 어음 소지인이 어음 만기일이 되기 전에 자금융통을 목적으로 은행이나 증권사에 배서양도하고 만기일까지의 이자를 차감하는 금액을 받는 경우 배서어음과 같이 어음부도가 발생할 경우 앞에서 할인 받은 기업은 은행에 대해 여음금액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생긴다. 국제회계기준으로 의하면 할인어음이 있을 경우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규제한다. 분개 현금 *** / 매출채권 ***매출채권처분손실 *** l 어음 할인의 매출채권처분손실 등식 : 액면가*이자율*발행일의 60일 경과 후 / 365
어음의 소지인이 당해 어음 만기일 전에 상품매입대금이나 외상매입금 등을 지급하기 위하여 어음상 채권을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 어음상의 채무자가 만기일에 어음금액을 결제하지 않으면 어음부도가 발생하는데 배서인은 무조건 피배서인에게 금액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존재한다..
7/5 일본계 한국법인으로부터 500,000,000원을 은행에 추심의뢰하고 수수료는 금액의 3.5%을 지급 10/2 만기일에 추심되어 은행계좌에 입금되었다고 통지가 왔다. 분개 7/5 수수료 1,750,000,000 / 현금 1,750,000,000 10/2 은행예금 500,000,000 / 매출채권 500,000,000
소유하고 있는 어음의 대금추심을 거래은행의 지점이나 본점에 가서 의뢰하게 위해 어음의 뒷면에 배서를 하여 은행에 넘겨주는 것을 의미 추심(推尋, Collection)라고 해서 은행이 소지인의 의뢰로 받아 수표, 어음을 지급인에게 제시, 지급하는 것이다. 추심경우에는 외환 업무에서는 비고시 통화를 취급하는 은행에서 활용되며 일반적으로 비고시 통화 또는 어음 소지인이 매출채권계정에 아무런 기입하지 않으면 은행에서 추심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어음채권을 소멸시키고 예금계정에 입금처리가 된다. 추심 수수료가 있어서 어음의 액면금액의 0.5% ~ 50% 떼는 은행이 있으므로 거래은행에 수수료를 물어보아야 한다. 분개 추심의뢰 수수료비용 *** / 현금 *** 입금 확인 예금 *** / 매출채권 ***
어음배서(Bill of Endorsement)란 소지인이 만기일 전에 어음상 권리를 자유로이 타인에게 양도 할 때 어음의 뒷면에 양도의사를 기명 날인하며 양수인에게 교부하는 것 양도인은 배서인이라고 하고 양수인은 피배서인이라고 한다. 종류에 따라 추심 위임배서, 대금지급 배서양도, 어음할인, ..
한자: Note Payable Book(NPB) 지급어음을 발생순서에 따라 기입하며 거래내용, 금액, 어음종류, 수취인 등을 명세를 기입하는 장부 받을/지급어음장이라는 자체가 다른 총계정원장에서 구할 수 없는 자료를 찾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어음관리가 가능하다. 양식 지급어음 2XXX년 적요 금액 어음 종류 지급인 발행인 또는 지급인 발행일 지급장소 만기처리 월일적요
한자: Notes Payable 어음거래 중에서 발생한 채무 지급어음이나 받을 어음이 많아도 주가폭락 사유가 되니 주의 채무가 발생할 때 매입채무계정의 대변에 기입하고 소멸 되었을 때 차변에 기입 분개 채무 발생 매입 *** / 매입채무 *** 채무 해소 매입채무 *** / 현금 *** 전기 매입채권 계정 어음대금 지급 약속어음 발행
영어: Note Receivabre Book(NRB) 어음기록이란, 어음거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여 보존를 위한 보조장부 받을어음의 발행일자, 지급인, 금액, 만기, 지급장소, 발행인(배서인), 발행지, 수취여부, 할인내역 등을 기록하는 양식 받을어음 2XXX년 적요 금액 어음 종류 지급인 발행인 또는 지급인 발행일 지급장소 만기처리 월일적요
어음거래의 회계처리에서는 거래결과가 채권이 발생했거나 아니면 채무가 발생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받을 어음(Notes Receivable)이란, 거래에서 발생한 수취인의 채권을 의미 받을 어음의 회계처리는 발생하면 매출채권계정을 차변에 기입하며 소멸하면 대변에 기입한다. 받을 어음은 유..
발행인(채무자)이(가) 수취인(채권자)에게 약정 기일과 장소에서 일정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속한 증권 발행인은 채무계정을 사용하고 수취자는 채권계정을 사용 흐름 1. 상품이나 용역을 구입하면서 2. 수취인에게 약속어음을 발행 3. 만기일 전까지 발행인은 은행통장에 돈을 입금 4-1. 수..
어음이란, 채무자가 자기채무를 갚기 위해 일정한 금액을 특정한 장소와 시간에 (무)이자와 함께 무조건 원금과 함께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문언적(文言的)이고 요식적(要式的)인 유가증권 대금 결제에 보증력이 강하고 결제일에도 할인, 배서양도 등 현금화가 가능 역사 어음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수메르 문명시대이라고 한다.우리나라는 경우에는 아래의 저서를 참고 우리나라 어음의 역사 어음 기일이 도래하면 어음의 소지인은 어음을 지불인인 채무자에게 꺼내 제시하고 어음과 금액을 상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 먼저 기술한 대로 답인의 수속을 거치지 않은 어음이라 book.naver.com 어음의 발생원인 1. 자금융통 자금융통이란,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하여 자금을 빌려 쓰는 것을 의미 회사 운전에 필요하거나 원..
같은 말로는 외상매입금 매입채무(외상매입금): 외상매입금(外商買入金)이란,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하고 당장의 현금지급을 일정기간에 일정기간 유예했을 때의 금액 외상매입금의 분개 구입할 때 매입 *** / 외상매입금 *** 미래에 대금을 지급할 때 외상매입금 *** / 현금 ***
유동부채(流動負債)이란, 만기가 결산일 현재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도래한 것 종류에 다라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지급, 미지급 비용 등이 있다. 토지나 건물을 취득이나 매각에 따라 채권, 채무가 있는데 이 경우 채권은 미수금 계정으로 채무는 미지급 계정으로 기입한다. 미수금. 대여금이 만기가 대차대조표 일로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것은 유동자산의 당좌자산으로 분류 장기미수금이나 장기대여금은 투자자산 또는 기타 투자자산으로 분류가 된다. 미지지급금과 차입금, 장기부채의 현재 만기, 배당금, 고객의 선급금, 소득세 같은 세금 경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 유동부채으로 분류 1년 이후에 만기일 경우 장기 미지지급과 장기차입금의 계정과목하여 비유동 부채으로 분류 어음상의 채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