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9159)
소소한 것들의 창고
자금융통을 위해 발행하는 어음 같은 말로 금융어음(Accommodation Bill), 호의어음 공식상으로는 당나라 시대에 언방(堰坊)이라는 기관이 존재하였는데 이곳에서는 전(銭) ・ 금은(金銀) ・ 포백(布帛) 등을 맡아두고 그 증명서를 준것이 최초이다. 금융어음의 채권은 매출채권 차변에 기입하고 채무는 차입금 계정에 대변에 기입 시장에서도 유통되며 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할인이 적용되어 거래가된다. 신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3자가 어음보증참가담당배서를 하는 경우도 있다. CP가 이에 해당 채권: 매출채권 *** / 상품 *** 채무: 상품 *** / 매입채무 ***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한경닷컴 사전 융통어음 [accommodation bill] 기업이 상거래를 수반하지 않고 순수하게 돈을 빌리기 위..
① 환어음을 받든 약속어음을 받든 받은 사람은 받을 어음으로 처리한다. ② 환어음을 발행하면 어음은 나오지 않고 대변에 외상매출금이 없어진다. ③ 환어음을 인수하면 외상매입금이라는 부채는 없어지고, 지급어음이라는 부채가 생긴다. 분개 환어음 발행하여 인수(지명인이 지급하겠다고 동의를 하는 것)받아 지급 받을 어음 *** / 매출 *** 환어음을 인수 할 때 외상매입금 *** / 지급어음 *** 자세한 내용의 사이트 환어음 어음 작성자(발행인)가 제3자(지급인)에 대하여 어음에 기재된 금액을 일정한 기일에 어음상의 권리자(수취인 또는 지시인)에게 지급할 것을 무조건으로 위탁하는 증권. 약속어음이 발행인 자신 terms.naver.com
동점(銅店)이란, 타인이 발행한 것을 의미하는데 동점발행어음이라는 자체는 타인이 발행한 어음이라는 의미 당점(當店)이란 자신이 발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당점발행어음이라는 것은 자신이 발행한 어음이라는 의미 동점수표이라는 말이 있는데 타인이 발행한 수표이고 당점수표는 자신이 발행한 수표를 의미한다. 동점발행어음을 받으면 받을 어음으로, 당점(자기) 발행 약속어음을 받으면 지급어음으로 처리한다. 당점발행어음을 발행하였을 때 지급어음 대변에 기장하였으므로 차변으로 없애주는 의미 둘 다 동점, 당점 어음이 처음 등장시기는 조선후기 숙종시절 상평통보가 본격적인 유통되면서 개성상인들과 객주이라는 상인의 물건을 위탁받아 팔아주거나 매매를 거간하며, 여러 가지 부수 기능을 담당한 중간상인이 나오면서이다.
한자: Renewal of Notes 어음상의 채무자가가 어음 만기일에 지급능력이 없을 경우 어음채권자인 어음 소지인에게 요청하여 지급을 연기하고 구(舊)어음과 신(新)어음을 교환하는 것 어음개서가 있을 경우 기일연장대한 이자는 현금지급이나 어음금액에 가산하고 구(舊)어음의 채권과 채무는 소멸하고 새로이 발행되는 어음의 채권과 채무가 발생 분개 채권자 경우에서 만기일을 연장 해줄 경우 매출채권 *** / 매출채권 ***현금 *** 이자수익 *** 채무자 경우에서 만기일 요청을 채권자가 승인 해주는 경우 매입채무 *** / 매입채무 ***이자비용 ***
만기일에 어음 소지인이 어음상의 채무자(발행인)부터 어음대금의 지급 청구하게 되는데 발행인이 자금부족 등으로 지급거절 되는 것을 의미 어음이 부도가 나면 소지인이 어음법 규정상 배서인, 발행인 기타 어음상의 채무자에게 상환 청구권을 행사가 가능 상환청구권(소구권[遡求權)..
힌자: Bill of Discount 어음 소지인이 어음 만기일이 되기 전에 자금융통을 목적으로 은행이나 증권사에 배서양도하고 만기일까지의 이자를 차감하는 금액을 받는 경우 배서어음과 같이 어음부도가 발생할 경우 앞에서 할인 받은 기업은 은행에 대해 여음금액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생긴다. 국제회계기준으로 의하면 할인어음이 있을 경우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규제한다. 분개 현금 *** / 매출채권 ***매출채권처분손실 *** l 어음 할인의 매출채권처분손실 등식 : 액면가*이자율*발행일의 60일 경과 후 / 365
어음의 소지인이 당해 어음 만기일 전에 상품매입대금이나 외상매입금 등을 지급하기 위하여 어음상 채권을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 어음상의 채무자가 만기일에 어음금액을 결제하지 않으면 어음부도가 발생하는데 배서인은 무조건 피배서인에게 금액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존재한다..
7/5 일본계 한국법인으로부터 500,000,000원을 은행에 추심의뢰하고 수수료는 금액의 3.5%을 지급 10/2 만기일에 추심되어 은행계좌에 입금되었다고 통지가 왔다. 분개 7/5 수수료 1,750,000,000 / 현금 1,750,000,000 10/2 은행예금 500,000,000 / 매출채권 500,000,000
소유하고 있는 어음의 대금추심을 거래은행의 지점이나 본점에 가서 의뢰하게 위해 어음의 뒷면에 배서를 하여 은행에 넘겨주는 것을 의미 추심(推尋, Collection)라고 해서 은행이 소지인의 의뢰로 받아 수표, 어음을 지급인에게 제시, 지급하는 것이다. 추심경우에는 외환 업무에서는 비고시 통화를 취급하는 은행에서 활용되며 일반적으로 비고시 통화 또는 어음 소지인이 매출채권계정에 아무런 기입하지 않으면 은행에서 추심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어음채권을 소멸시키고 예금계정에 입금처리가 된다. 추심 수수료가 있어서 어음의 액면금액의 0.5% ~ 50% 떼는 은행이 있으므로 거래은행에 수수료를 물어보아야 한다. 분개 추심의뢰 수수료비용 *** / 현금 *** 입금 확인 예금 *** / 매출채권 ***
어음배서(Bill of Endorsement)란 소지인이 만기일 전에 어음상 권리를 자유로이 타인에게 양도 할 때 어음의 뒷면에 양도의사를 기명 날인하며 양수인에게 교부하는 것 양도인은 배서인이라고 하고 양수인은 피배서인이라고 한다. 종류에 따라 추심 위임배서, 대금지급 배서양도, 어음할인, ..
한자: Note Payable Book(NPB) 지급어음을 발생순서에 따라 기입하며 거래내용, 금액, 어음종류, 수취인 등을 명세를 기입하는 장부 받을/지급어음장이라는 자체가 다른 총계정원장에서 구할 수 없는 자료를 찾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어음관리가 가능하다. 양식 지급어음 2XXX년 적요 금액 어음 종류 지급인 발행인 또는 지급인 발행일 지급장소 만기처리 월일적요
한자: Notes Payable 어음거래 중에서 발생한 채무 지급어음이나 받을 어음이 많아도 주가폭락 사유가 되니 주의 채무가 발생할 때 매입채무계정의 대변에 기입하고 소멸 되었을 때 차변에 기입 분개 채무 발생 매입 *** / 매입채무 *** 채무 해소 매입채무 *** / 현금 *** 전기 매입채권 계정 어음대금 지급 약속어음 발행
영어: Note Receivabre Book(NRB) 어음기록이란, 어음거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여 보존를 위한 보조장부 받을어음의 발행일자, 지급인, 금액, 만기, 지급장소, 발행인(배서인), 발행지, 수취여부, 할인내역 등을 기록하는 양식 받을어음 2XXX년 적요 금액 어음 종류 지급인 발행인 또는 지급인 발행일 지급장소 만기처리 월일적요
어음거래의 회계처리에서는 거래결과가 채권이 발생했거나 아니면 채무가 발생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받을 어음(Notes Receivable)이란, 거래에서 발생한 수취인의 채권을 의미 받을 어음의 회계처리는 발생하면 매출채권계정을 차변에 기입하며 소멸하면 대변에 기입한다. 받을 어음은 유..
발행인(채무자)이(가) 수취인(채권자)에게 약정 기일과 장소에서 일정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속한 증권 발행인은 채무계정을 사용하고 수취자는 채권계정을 사용 흐름 1. 상품이나 용역을 구입하면서 2. 수취인에게 약속어음을 발행 3. 만기일 전까지 발행인은 은행통장에 돈을 입금 4-1. 수..
어음이란, 채무자가 자기채무를 갚기 위해 일정한 금액을 특정한 장소와 시간에 (무)이자와 함께 무조건 원금과 함께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문언적(文言的)이고 요식적(要式的)인 유가증권 대금 결제에 보증력이 강하고 결제일에도 할인, 배서양도 등 현금화가 가능 역사 어음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수메르 문명시대이라고 한다.우리나라는 경우에는 아래의 저서를 참고 우리나라 어음의 역사 어음 기일이 도래하면 어음의 소지인은 어음을 지불인인 채무자에게 꺼내 제시하고 어음과 금액을 상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 먼저 기술한 대로 답인의 수속을 거치지 않은 어음이라 book.naver.com 어음의 발생원인 1. 자금융통 자금융통이란,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하여 자금을 빌려 쓰는 것을 의미 회사 운전에 필요하거나 원..
같은 말로는 외상매입금 매입채무(외상매입금): 외상매입금(外商買入金)이란,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하고 당장의 현금지급을 일정기간에 일정기간 유예했을 때의 금액 외상매입금의 분개 구입할 때 매입 *** / 외상매입금 *** 미래에 대금을 지급할 때 외상매입금 *** / 현금 ***
유동부채(流動負債)이란, 만기가 결산일 현재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도래한 것 종류에 다라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지급, 미지급 비용 등이 있다. 토지나 건물을 취득이나 매각에 따라 채권, 채무가 있는데 이 경우 채권은 미수금 계정으로 채무는 미지급 계정으로 기입한다. 미수금. 대여금이 만기가 대차대조표 일로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것은 유동자산의 당좌자산으로 분류 장기미수금이나 장기대여금은 투자자산 또는 기타 투자자산으로 분류가 된다. 미지지급금과 차입금, 장기부채의 현재 만기, 배당금, 고객의 선급금, 소득세 같은 세금 경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 유동부채으로 분류 1년 이후에 만기일 경우 장기 미지지급과 장기차입금의 계정과목하여 비유동 부채으로 분류 어음상의 채권, ..
영어: Liability 부채(負債)이란, 과거 거래나 사건결과로써 현재 기업이 부담하고 그 이행에 경제적 가치의 유출이 예상되는 의무를 말한다. 부채이라는 개념이 법적으로 생긴 것은 1811년 미국 뉴욕주에서 등장했다. 비공식적으로는 수메르 시대에 설형서판에서도 비슷한 것이 있다. 대차대조표 작성원칙 중 구분 표시원칙에 따라 유동부채와 비 유동부채가 있다.
인용 : http://cafe.naver.com/aja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62 <표A-1> 단일금액 1원의 미래가치 등식 : Fn=(1+r)n 기간이자율(r) 기간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 1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 2 1.0201 ..
정상연금의 현재가치(Present Value of Ordinary Annuity)는 미래의 각 기간 말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현재시점의 가치인 현재가치로 계산하여 이들을 합(合)하여 나온 금액의 가치 정상연금을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것은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에 입각하기 때문이다. 등식 단, 위에 다룬 금액에서 22만 원 뺀 가격에서 할인율 r=10% 경우 정상연금 현재가치? 10,000/1.1+10,000/1.12*10,000*1.13 = 24,868 정상연금 현재가치 표로 이용한다면? PV= 10,000*2.4868 = 24,868
미래가치를 계산하는 것으로 단일 금액의 미래가치 합과 동일 등식 n FA=A*∑ (1+r) i i=1 만약, 정기예금을 가입하여 3년마다 매 기간 30,000원씩 넣고 이율을 1%이고 3년 말 정상연금의 미래가치 금액을 구한다면? FV = 30,000*3.0301(정상연금의 미래가치 표를 참고) = 90,903
영어: Price Elasticity of Demand(PED) 상품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두 가지 상품을 비교하여 비율로 나타내어 사용) 영국의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 (Alfred Marshall, 1842 ~ 1912)가 1890년에 출판된 경제 원리에서 "수요의 탄력성"을 정의한 것 등식 P는 상품가격 △P는 가격에 따른 변화량 Q는 수요량, △Q수요량의 변화 이 공식을 사용되면 거의 소수가 나오기 때문에 “1”이하 경우를 비(非) 탄력적(彈力的)말하고 반대의 경우 수요의 탄력적이라고 한다. 가격변화에 따른 매출액 변화는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에 따라 증가(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너무 높으면 수요 줄어들어 인상한 만큼 매출액이 줄어들어 들게 된다. 가격..
연금(Annuity)이란, 일정기간 마다 동일한 금액을 연속적으로 지급하거나 수취하는 경우의 금액 공식적으로는 카를 마르크스의 저서 "자본론 제3권: 자본생산의 총체과정"에서 언급한 것이 최초 이들의 이자는 각 기간 말에 복리로 계산한다. 1. 동일금액 지급이나 수취가 각 기간 말에 발생할 때의 연금 ⇒ 정상연금(Ordinary Annuity) 2. 각 기간 초에 발생할 때의 연금 ⇒ 이상연금 또는 선불연금(Annuity Due)
현금 100,000,000원(1조원)확보를 위해 저축은행 평균금리 7%짜리 정기적금에 가입하였다. 5년 후에 만기가 된다고 가정될 때 현재 시점에서 예금할 금액을 계산을 한다면? (단, 면세 예금임) 0.07의 근사값은 현재가치 표에서 할인율7%, 기간 5가 만나는 값임
한자: 單一金額 現在價値 단일금액의 현재가치(Present Value of a Single Sum)는 미래의 일정한 금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하는 가치 하지만, 단일금액의 미래가치와 역(逆)의 관계(關係)이라 할인율이 적용된다. 등식 PV= 현재가치 FV=단일금액의 미래가치 r=할인율 n=기간 ※ 할인율(割引率, Discount Rate) 어떤 투자로부터 얻고자 하는 최소 필요수익률(단, 여기에서는 각종 비용과 세금을 제한 최소 필요 수익률을 말함) 미래의 기대되는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에 대한 위험보상률(危險補償率)성격이 있음
만기가 2년인 정기적금 10,000,000(천 만)대해 정책금리 5%이자를 복리로 계산, 통장으로 이자가 기록이 된다. 만약, 2년 후에 은행이 고객통장에 지급해야 할 원리금과 이자금액의 합계액? FV = 10,000,000*(1+0.05)2 = 11,025,000 만약, 정책금리 5% 이자율을 복리로 계산하여 6개월마다 지급한다면 5년 ..
단일금액의 미래가치(Future Value of a Single Sum: FV)이란, 현재 일정한 금액을 미래시점에서 평가하는 가치 미래가치 요소이란, 한 가치가 미래의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 표시 등식 FV = P0 (1+r)n P0 = 원금 r= 이자율(정책금리 또는 시장금리 등) n = 기간의 수 Ⅰ. r의 이자율은 정책금리가 될 수 있고 시장금리 또는 계약상의 금리가 될 수 있다. Ⅱ. n의 경우에 따라 1개월, 6개월, 1년이 될 수 있다.
http://www.ddangi.com/1-1073.html (그림설명: 외계인들의 인간 납치에 관한 소설책) 2002년 8월 4일 미국의 펜실베니아주 노덤버랜드시에서는 새벽 5시경 사슴을 잡기위해 ATV 오토바이를 타고 사냥을 나가던 39세 토드 시즈가 부인에게 자신이 정오에 집으로 돌아오겠다는 약속한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침 ..
한자: 複利 복리(Compound Interest)이란, 원금과 함께 과거에 발생한 미지급이자 대해서 이자를 계산하여 모두 구하는 방식 복리계산법의 종류에 따라 단일금액의 미래가치와 단일금액의 현재가치 그리고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이다. 복리이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곳은 1929년 독일 고고학자 율리우스 조단(Julius Jordan, 1877 ~ 1945)이 수메르 시대에 작성된 점토판의 방대한 도서관을 발굴한 설형서판에서 등장 How the world's first accountants counted on cuneiform The earliest known script was a tool developed to help run the economy. www.bbc.com 복리으로 원금을 상승시킬 때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