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1)
소소한 것들의 창고
기계를 990,600원에 매각, 원가는 1,981,200원이며 감가상각누계액은 875,030원, 이번 감가상각누계액은 115,570원이다. 조건 : 단, 소수점 발생시 반드시 “올림” 감가상각비계산 감가상각비 115,570 / 감가상각누계액 115,570 처분손익계산 원가 : 1,981,200원 감가상각누계액 : 875,030원 처분일 장부가..
유형자산을 처분하면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 처분가액 < 장부가액 유형자산처분손실은 손익계산서 “ 영업외 비용”으로 기재하며 주석으로 유형자산의 종류를 기재 분개 현금 *** / 유형자산 *** 감가상각누계액 *** 유형자산처분손실 ***
유형자산을 처분하면서 이익이 발생되는 경우를 말함 유형자산처분가액 > 장부가액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손익계산서 “영업외 수익”으로 기재하며 주석에 유형자산의 종류를 기재한다. 분개 현금 *** / 처분한 유형자산 *** 감가 상각비 *** 유형자산처분액 ***
매각이란 유형자산을 타인이나 타회사에 판매하는 것을 의미 매각된 자산 장부가액은 매각하고 난 뒤 수령(受領)한 실수금(實受金)과 비교한다. 처분이 기중에 발생 때 처분일까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누계액을 차감하고 그 원가 대해 자산계정을 차감하여 장부가액을 제거한다. 유형자..
외국의 어느 관광회사가 한국의 선박회사에게 선박 수리 및 개조를 위해 350,000 � (1� = 1380.02원) 이 선박은 여객 및 화물 운송에는 절대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350,000 175.000 �는 안전 보안 기기를 설치하고 175.000 �는 바깥 외관을 화려하게 하고 나머지는 운행 보조..
본사 건물 개조와 수리를 실시하고 현금 3,000,000원로 공사비를 지급 이중 2,000,000원은 보안 위해 설치되었고 나머지는 내벽 도장 및 장애자와 어린이, 노약자들 위해 자동안내장치를 설치 분개 건물 2,000,000 / 현금 3,000,000 수선비 1,000,000
현실적으로 중요성 기준 따라 금액이 소액이거니 수선, 유지위한 정상적인 지출이거나 내용 연수 동안 빈번하게 발생하는 소액이 지출되는 경우 수선, 증설, 개량에 원가에 지출 위의 두가지는 수익적 지출으로 판단한다. 수익적 지출의 분개 수선비 *** / 현금 *** 유형자산의 기대 내용연수, 운용 효율성, 생산능력 증대 위해 발생하는 지출은 금액상으로 중요하거나 소유기간 중에 가끔씩 발생 자본적 지출의 분개 유형자산 *** / 현금 ***
자본적 지출(Capital Expenditure)는 지출 효과가 장기간 걸쳐 발생하는 지출 유형 자산 내용연수가 늘거나 가치가 증대하는 효과 지출액은 유형자산 취득원가에 가산하고 잔존 내용연수 기간은 비용으로 인식
① 수익적 지출(Revenue Expenditure)이란 지출 효과가 단기간에 종결되는 지출 ② 유형자산의 원상 회복이나 능률유지 위한 지출 ③ ②처럼 그 목적으로 지출될 때 원가를 비용화가 필요 ④ 부속품 교체, 건물 수리, 건물 증축, 선박 개량 등 ⑤ 현실적으로 금액이 소액이거나 수선, 유지를 위해 경상적인 지..
영어: Direct Method 당해 유형자산을 직접 회계 처리하는 방식 장부가액을 파익이 가능하나, 감가상각누계액 파악이 불가 총액주의(자산, 부채, 자본은 총액에 의거)에도 어긋남 분개 감가상각비 *** / 기재할 유형자산 ***
영어: Indirect Method 같은 말로 평가계정 설정법이라고 한다. 당해 고정자산은 감가상각누계액에 기입하여 간접적 감소시키는 것 유형자산은 취득원가 표시하고, 감가상각누계액은 누적된 금액임 필요에 따라서는 일괄하여 유형자산 합계액에서 차감 형식으로 기재하며, 그 내용은 손익계산서에 주석으로 삽입 분개 감가상각비 *** / 감가상각비누게액의 기재할 유형자산 ***
국제적인 회계처리 방법은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음 한국의 기업회계는 “기준서 제5호”에서 유형자산 감가상각 회계처리는 간접법으로 처리
여러가지 요인들(정치적, 자연적 요인 등)이 있겠지만 몇 가지로 크게 구분 1. 물리적 감가(Physical Derciation) 유형자산이 사용되어 마모되거나 시간 경과에 다라 물리적 소모, 마손되어 가치가 감소되는 필연적이며 계속적인 발생이 된다. 2. 기능적 감가(Functional Dercintion) 같은 말로 경제적 ..
회계연도에 유형자산을 취득 때 사용기간에 맞추어 감가상각비를 인식을 해야한다. 종류 가. 일단위계산법 사용기간을 일 단위(Daily Basis)로 계산 만약 6월 11일에 구입하여 금년 12월 31일에 감가상각을 한다면 204일/365일로 나누고 첫 회계연도에 기제 나. 월 단위계산법 사용기간 월 단위(M..
영어: Unit of Production Method 19세기 서유럽에서 세금 절약 목적으로 제조업부터 시작되어 전 분야에서 시행된 방법 유형자산은 사용량(생산량)에 비례하여 가치가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는 방식 시간당 또는 생산 단위당 감가상각비를 계산 후 당해 연도의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을 곱하여 계산 등식 (취득원가-잔존가액)/ 예상 수명 사용량 또는 같은 등식이므로 같은 값이 나올 것이다. 연간 감가상각비 = 단위당 감가상각비 * 연간 사용량 예) 모 회사가 굴리는 기계를 ¥350,000(100¥ = ₩ 850)에 구입 조건 4,000번 사용이 가능 잔존가치는 ¥ 100,000(100¥ = ₩870) 100원 = ¥12.345 다만 환차손익은 고려하지 않는다. 풀이 구입 환산가액 : 350,..
영어: Sum of the Year’s digit Method(SYDM) 가속상각법이 속하는 감가상각법 중 하나 정률법과 동일하여 초기 연도의 상각률이 높고 후기 연도로 갈수록 상각률이 점점 낮아진다. 내용연수는 초기 연도와 후기 연도를 합하여 연간상각비와 나누어야 한다 . 등식 전에 다루었던 것을 연수합계법으로 계산을 한다면 연도 연간 감가상가비 감가상각누계액 연말 장부가액 취득시점 2,000,000 1차 연도 (2,000,000-200,000)*(4/10) 720,000 720,000 1,280,000 2차 연도 (2,000,000-200,000)*(3/10) 540,000 1,260,000 740,000 3차 연도 (2,000,000-200,000)*(2/10) 360,000 1,620,000 38..
어느 회사의 유형자산의 상각대한 것이다.상각률은 이미 계산이 나와서 0.483(43.8%)이다. 4년간 감가상각 할 것이다. 연도 연간 감가상가비 감가상각누계액 연말 장부가액 취득시점 2,000,000 1차 연도 2,000,000*0.438 876,000 876,000 1,124,000 2차 연도 1,124,000*0.438 492,312 1,368,312 631,688 3차 연도 631,668*0.438 276,670 1,645,283 354,998 4차 연도 1) 354,998-200,000 154,998 1,800,281 200,000 1) 는 후기연도 감가상각비를 적게 계산하므로 반올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액과 잔존가액이 다를 것이다. 그래서 “취득가액 – 잔존가액”으로 계산 하는 것이 옳을 것이..
영어: Fixed Percentage Method(FPM) 정률법과 관련된 감가상각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대 수메르시대이며 함무라비 법전은 이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 법전엔 이자율이 은의 20%, 보리의 33⅓%으로 명시돼 있다. 채무계약엔 3년이라는 유효기간을 부여한 것이다. → 현재의 자산은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떨어지고, 반대로 미래의 부는 현재에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다는 개념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 정률법 정의 협의적(狹義的)으로는 기초 장부가액에 상각률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구하는 방법 광의적(廣義的)으로는 내용연수의 초기 연도를 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고 후기 연도로 갈수록 감가상각비를 적게 인식하는 것 등식 연간 감가상각비 = 연초 장부가액 * 상각률=(취득원가..
유형자산 취득원가를 매 기간에 균등하게 상각하는 방법 비용 발생이므로 감가상각비는 차변에 기제하고 자산 가치감소분은 대변에 기재한다. 감가상각이 다 끝난 시점에 장부가액과 잔존가액이 서로 동일 등식 1.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액) ÷ 내용연수 분개 감가상각비 *** / ..
회계에서는 유형자산을 감가상각 시키는 방법을 세 가지 방법으로 이용 1. 정액법(Straight Line Method) ↑ 정액법 가치 감소가 시간적으로 균등하게 일어난다고 가정하여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방법비용 발생으로 감가상각비는 자변에 기재하고 자산 감소 쪽은 대변에 기재감가상각비 계산 ..
감가상각은 유형자산 가치감소를 인식하기 때문에 취득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하는 회계절차 감가상각비는 현금 유출을 동반하지 않지만 기록하지 아니하면 각 연도의 이익이 잘못 측정 된다. 2번처럼 분식회계 할 때 감가상각비를 빼먹는 방법이 존재 토지와 건설 중인 ..
1. 잔존 가액 : 자산 처분시 예상되는 처분 금액 2. 내용연수(耐用年數) 광의적(廣義的)으로는 유형자산이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효익이 제공할 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 협의적(狹義的)으로는 수익을 창출되는 과정에서 기대되는 기간 3. 감가상각비대상금액(Depreciabele Cost) : 감가상각의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상각 할 수 있는 최고한도액
영어: Deeper Citation Expense(DCE) 가치 감소분을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 감가상각비는 현금 유출을 동반하지 않고 매년 감가상각비를 인식하여 감소분을 손익 –비용 대응 원칙에 따라 유형 자산 효익이 제공기간 걸쳐 감가상각비로 비용화 가치변동이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내용 연수에 걸쳐 비용으로 배분하는 형태로 취함(내용연수에 걸친 취득원가에 배분)
영어: Deeper Citation 유형자산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지만 수명이 짧기 때문에 시간 흐름에 따라 가치가 감소 감가상각은 사용된 기간에 걸쳐 그 가치(價値)분(分)을 비용으로 인식 토지와 건설 중인 자산 및 감가상각이 불가능한 자산을 제외하고는 감가상각 대상이 아니다. 감가상각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대 수메르 시대이며 함무라비 법전은 이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 법전엔 이자율이 은의 20%, 보리의 33⅓%으로 명시돼 있다. 채무계약엔 3년이라는 유효기간을 부여한 것이다. → 현재의 자산은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떨어지고, 반대로 미래의 부는 현재에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다는 개념 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
유형자산 취득원가란 광의적으로 당해 자산을 그 의도된 목적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까지 직접 소요된 모든 지출을 포함 협의적 의미 취득 하기 위해 지출된 총 비용 취득 원가는 매입 가액 또는 제조원가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취득 부대 이용을 합한 금액 등식 유형 자산 취득 원가 = 매입가액(제조원가) + 취득부대비용 취득 부대 비용 토지 및 건물 구입시 취득 부대 비용 : 취득세, 등록세, 등기수수료 등 금융수수료, 관련 채권이나 외환 매입(만기 보유/차익 매매 요망) 기계장치 구입시 취득 비용 : 운송비, 보험료, 하역비, 설치비, 시운전비용 등 예) 홍콩의 모 외국계 투자 부동산회사는 한국 제주도의 한 호텔과 부속설비를 7,000,000 HKD(은행 환전 수수료를 포함한 가격이 1 HKD = 116...
철도차량, 자동차 및 기타의 육상운반구 전체를 의미 차량 운반구(차량, 손수레 등), 선박, 비품, 공기구 등
유형자산 완성 때 유형자산 발생원가를 집계하였다가 완성 때 영업에 사용될 때 해당 유형자산으로 대체하는 것 미완성 유형자산은 감가상각비 적용을 하지 않음 유형자산 자체 제작이나 건설을 위한 재료비, 노무비 및 제조간접비(경비) 뿐만 아니라 건설을 위한 지출한 도급금액이나 취득기계 취득 금액을 포함 발생 원가 중 직접 비용(재료비, 노무비 등)과 이자비용을 처리 문제 중에서 제조간접비를 취득원가에 포함하는 4가지 가. 건설 중인 자산(자가건설) 원가 중 제조간접비 배분 근거 : 제조간접비는 고정비이므로 발생하지 아니한다. 문제점 : 영향받는 변동분은 당기에 비용화하여 자본지출을 인식을 못하므로 기간 순이익은 왜곡 나. 건설 중인 자산 원가 중 증분 제조간접비 배분 근거 : 건설 중인 자산에서 발생하므로 원..
영업용이나 재조용으로 사용되는 기계, 부속 설비를 처리하는 계정 기계 장치에 대한 회계 처리가 처음 등장한 것은 유럽에서 19세기부터이지만 비슷한 유형은 12세기 고려시대부터이다. 제조업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설비로서 직간접으로 제조목적에 사용되는 기계장치나 부속하는 제 생산/운송 설비를 의미 일반적인 기계(器械)의 정의는 동력을 써서 움직이거나 일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건물 이외의 토목 설비, 공작물 및 이들에 속하는 부속 설비 교량, 갱도, 안벽, 부교, 저수지, 궤도, 정원설비 등 기타 부속설비 교량 교량 - 나무위키 어떠한 것을 넘어가기 위한 고가 구조물. 순우리말로는 '다리'다. 여기서 어떠한 것에는 냇가, 골짜기, 계곡, 강, 바다와 같은 자연지형부터 도로, 철로, 건물 등 위로 건너갈 수 있을 법한 것들이 namu.wiki 갱도(坑道)) 갱도 광산 ·탄광 또는 토목공사를 위하여 지하에 뚫어놓은 길인데 지하에 부존하는 광상 ·탄층에 이르러 그것을 채취하기 위해서나, 지하발전소(한국은 1980년 완공된 청평 양수발전소 등)의 건설을 terms.naver.com 안벽 안벽 선박을 대기 위하여 항만의 수제선에 설치하는 계선안으로 그 앞면이 거의 연직인 벽을 가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