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계 (1212)
소소한 것들의 창고
영어: First to Default(FTD) 2002년 미국에서 개발되어서 사용 다수의 기업을 하나로 구성하여 하나의 신용위험을 거래하는 상품으로 1개 이라도 부도 발생할 경우 손실금액을 보상 후 계약을 종결 함 신용부도스와프보다 수익-손실 폭이 크는 만큼 보장매도자가 요구하는 수수료(또는 가산금리)가 높은 편 공식 FTD = 각 기업의 신용위험 대가금액*가산금리 또는 수수료 예) 준거자산 액면가가 2, 준거자산 수는 5개일 경우 이 중 하나가 신용사건이 발생할 경우? → 신용사건이 발생하면 보장매도자의 최대손실은 최초의 신용사건이 발생된 준거자산의 액면금액의 2에 국한(고정)하며 나머지 준거자산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 계약은 추가 부담이 없이 종료됨 가격결정 요소 1. 준거자산 수 2. 준거자산과 보장..
금리결정 복합신용연계채권은 단일신용연계채권과 달리 복잡하고 발행자마다 연계된 채권을 통한 헤지 구조가 상이하게 설계가 나옴 → 이는 발행자 입장에서는 많은 이윤 추구가 가능하지만 한편으로 사악한 목적으로 할 경우 탈세 와 각종 범죄의 원인이 될 수 있음 투자자입장에서..
발행구조 종류 1. 발행자 형태의 신용연계채권 구조 신용부도연계채권 도산(회사 부도)발생할 경우 신탁기관에 예치된 부도난 채권은 그 채권에 대한 권리만 있고 원금 전부와 일부가 손해 볼 수 있다. 발행자가 도산이 발생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발행된 연계채권이 부도가 가지 않는 이..
신용연계채권(Credit Linked Note, CLN)이란 기업이나 단체, 개인에 대한 신용위험을 채권형태로 전가시키는 상품 구조 일반적으로 금융기관, 자산을 보유한 단체, 기업, 개인, 정부 등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특정거래를 위한 특수목적회사(SPV)를 통한 발행이 일반적 참여자들: 금융기관, 펀드, 개인투자자, 정부를 포함한 지방자치단체 또는 (비)영리 단체, 기업 등 효과 준거자산 신용위험을 채권형태로 투자자에게 떠넘기는 효과로 자산이 감소하지만 다른 회계적 위험이 감소 투자자는 자산이 증가하고 회계적 위험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부가적인 회계적 추구(이자수익이나 만기증권이익 등)가 가능 신용위험연계채권은 자산을 보유여부를 떠나 자국통화, 외국통화 등으로 만기, 금리구조로 바탕으로 신용위험들을 창..
시가평가 대부분 감독규정은 지급보증계약에 준하여 일반충당금에 일정률을 적립금을 쌓도록 권장
결제방식과 만기 결제방식 1. 현금결제방식: 블로그에서 설명한 것으로 차액만 결정하여 현금으로 지급 2. 실물인도방식: 액면가를 지급이후에 보장매도자는 준거자산을 실물인도를 함 구체적으로 계약서 명시화해야 함 만기(Maturity) : 일반적으로 자산의 만기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나 ..
장점 1. 보유자산 매각이 필요 없음 → 유동성이 없거나 취약, 매각이 용이하지 않은 자산 보유한 경우에 사용 2. 도산위험을 인수조건으로 상당금액을 수수료로 받으면서 과정 없이 수익을 얻음 3. 부외거래(Off Balance Transaction)로 자산증감이 없음 단점 1.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는 것에 세..
신용부도발생 할 때의 스왑처리 단계 1. 신용발생 전: 보장매수자가 매도자에게 일정금액을 일정기간에 수수료를 신용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 지금 신용사건 발생 후 1. 매수자: 준거자산를 매도자에게 인도 2. 매도자: 매수자에게 약정 금액을 지급하며 보장 손익은 지급액면금액에서 인..
가격결정원리 등식 스프레드 = 예상손실(또는 부도위험가치 or 확정손실)= (1-회수율)*부도확률 부도확률: 1. 자산이나 기업이 부도 될 가능성 2. 확률이 커지면 회수율이 작아짐 확정손실: 부도 후 숫자상으로 확인이 가능한 손실 이에 예상되는 손실 예상손실: 부도 후 예상되거나 예측된 ..
신용부도스왑의 보험과 보증과의 차이점과 공통점 보험 1. 사고위험을 대비, 다수의 보험가입자가 보험사에 보험료를 지불 후에 위험이 발생할 때 보험사를 통해 약정금액을 수취하는 금융상품 2. 사고위험은 신용파생상품의 신용위험에 해당하며 보험료는 신용파생상품의 수수료에 해..
참가자 모든 금융기관, 국가, 지방자치단체, 일반적인 (비)영리 회사, 개인이 신용위험회피 및 신용위험에 대한 투자를 위해 참여 일부 은행, 증권사는 이득을 위해 파생상품의 위험회피, 매매 수단으로 사용
영어: Credit Default Swap(CDS) 개요와 용어 규격화된 기초적인 신용파생상품의 거래형태로 신용위험을 일방이 타 일방에게 위험을 전이시키는 위험한 쌍무적인 장외계약 역사와 비판 CDS의 역사와 CDS에 대한 비판들. History Conception Credit Default Swaps were invented in 1997 by a team working f... blog.naver.com 구조와 종류 용어들 보장매수자: 손실보전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비용을 지불하고 보장받는 자 보장매도자: 손실보상에 대한 보장을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는 자 보장내용: 준거자산의 부도위험 손실을 막아주는 내용 보장: 여기에서는 준거자산이 신용사건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보상 해주는 것 신용사건: 자산의 부..
신용위험이란 채무자에게 빌려준 돈을 제때에 돌려받지 못할 경우 큰 손해를 볼 가능성을 말함 예) “가”은행이 “A”은행에 X%에 대출금리를 수취, 그러나 그 은행은 부도위험이 있을 경우 처리방법? (단, 상대방의 신용상태를 면밀히 조사 후이다.) 조치방법 1. 대출금연장 장점 상대방..
국어사전에서는 “약속을 잘 지키는 것” 믿음에 기초하는 것 “외상거래”등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금융에서 신용은 돈을 제때로 잘 갚을 수 있는 여부로 사용신용은 기업, 개인, 국가, 단체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등급에 따라 대출 또는 이자율이 결정 신용의 역사 http://terms.naver.com/entry...
예시와 회계처리의 예 조건 1. 영국(또는 스코틀랜드) 파운드화시장에서 6개월 리보금리+30bp로 만기3년, 1억 파운드 발행 2. 현재 영국 파운드/한국 원화는 1,700원이지만 나중에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3. 영란은행(BOE)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있음 4. 교환 딜러는 원화 고정금리 3.75%, 적용환율은 1,710원 이라고 제시5. 영국 파운드와 스코틀랜드 파운드는 1:1가격임(스코틀랜드 파운드로 지급해도 무방하다는 의미) 거래일 해석 스왑 체결(締結)일 : 기업은 1억 영국(또는 스코틀랜드)파운드를 교환딜러에 송금, 교환딜러는 170,000,000,000원(1억 영국 파운드 * 1700원)을 기업에게 송금(送金) 6개월마다 이자지급 : 기업은 교환딜러에게 3.75%의 원화금리에 해당하는 이자..
통화스왑 고시해석방법 예) 역내 통화스왑(Deliverable Swap) 자국통화/자국통화 (OTR/A365) 자국통화/외국통화 자국통화/외국통화 IAS 대 CRS (OTRAG SEMI) 9개월 4.48-4.44 4.45-4.41 -0.02/-0.04 1년 4.54-4.52 4.51-4.47 -0.02/-0.04 2년 4.73-4.7 4.57-4.54 0/-0.01 3년 4.9-4.88 4.72-4.69 0.01/-0.01 5년 4.99-4.95 5-4.97 0.01/-0.01 10년 5.21-5...
가격결정과 그 예 A. 금리 스왑가격과 통화 스왑가격의 관계 1. 스왑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은 두 개의 베이시스 스왑의 가격 2. 고정금리 및 변동금리 교환가격, 고정금리 및 고정금리 교환가격은 스왑 베이시스에서 결정 B. 가격결정 1. 만기원금교환을 포함한 수취-지급될 각 통화의 현금..
통화스왑에서 쓰이는 용어들 1. 통화 베이시스 스왑: 통화스왑의 거래기초가 되는 거래, 신문 상이나 은행 고시에 제시된 통화 스왑은 이것을 말하고 다른 의미로 은행 간 스왑거래이라고 함 2. 베이시스: 시장의 특수상황에 기인하여 리보금리나 기타 금리의 스프레드(가산금리)가 적용되어 거래되는 것 3. 무이표스왑: 표면이자율(금리)이 없는 스왑 4. 고정금리: 협의한 금리, 또는 자금(자본)시장에서 결정, 형성된 금리이며 t+1에 지급되는 이자는 Ft+1= A * RF * 이자지급베이시스( Day Count Fraction)(t+1 – t) 5. 변동금리: 일정기간 또는 일정연도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형태, t+1에 지급되는 이자는 Lt+1= A * (RL + Libor Margin or Spread) * ..
영어: CCIRS: Cross Currency Interest Rate Swap 서로 다른 통화의 금리와 원금을 교환하는 스왑 거래자가 현재 현금흐름을 타 통화의 현금흐름으로 전환이 필요할 때 쓰이는 스왑만기까지 원금에 기초하여 통화 간 금리교환, 만기일에 금리교환과 같은 방향으로 계약시점에 미리 약정한 환율에 원금 교환하는 계약 (계약) 환율은 일반적은 현재 현물환율(Spot Rate) 사용사용 특징 1. 거래를 할 때에 만기교환은 필수 2. 만기에 양 통화에 표시된 원금으로 교환 ☞ 금리차, 환율 차 감안해도 양자의 가치는 동일하다. 3. 다양한 형태로 금리 교환이 됨 A. 변동금리-변동금리(☞ 신문상 표기에서는 기초 스왑[Basis Swap]이라고 함) B. 고정금리-변동금리 ☞ 4개의 금리교환이 ..
회계처리 금리스왑에서 사용되는 회계 계정: (단기 또는 장기) 차입금현금이자비용, 이자수익, 지급이자금리(또는 이자율(금리))스왑 자산, 금리 (또는 이자율(금리))스왑평가이익, 금리 (또는 이자율(금리))스왑자산, 차입금평가손실, 차입금평가이익 중 다수개가 사용 사용되는 대손상각법: 지급이자율(금리)의 차이로 회수되는 현급유입액은 유효이자율(금리) 법에 의한 대출채권의 회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 예 구 분고정금리 이자율(금리)(금리)스왑평가이익 경우차입금이자율(금리)스왑2***.*.*. 현금*** 분개 없음 차입금 *** 이자율(금리)스왑의 공정가치는 ‘0’이므로 스왑계약에 따른 프리미엄수수는 없는 것이며 별도의 회계처리 없음2***. **.** 이자비용 주1)*** 분..
조건 고정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7% 변동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7%+ 연1% 가산금리 단, 은행에서 제시하는 대출조건 만기: 2년 대출금액: 300억 금리: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 연1.2% 가산금리 가 기업: 이자율(금리) 6%에 은행에 이자지급 은행: 3개월..
금리스왑을 이용, 차입비용 절감의 예 조건 가 회사: 고정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7% 변동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7%+ 연1% 가산금리 나 회사: 고정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8% 변동금리 차입: 3개월 양도성 예금증서 수익률 연8%+ 연1..
금융스왑(정해진 기일 또는 일정기간 동안에 각자가 보유한 서로 다른 현금흐름 교환)에 속함 198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 금리를 교환하는 스왑이며 동일 통화에 대한 고정/변동 금리가 교환대상 특성 연(年) 단위로 1~10년 미국에서는 달러화 금리스왑은 30년까지 고시 당사자간의 계약 거래한 상대방은 거래가 주기적으로 명목원금에 기초한 동일 통화 표시 이자지급 타 상대방은 계약기간 매 기간 재책정되는 변동 금리이자 지급원금교환이 없지만 세금을 공제(=원천징수)한 이자만 지급 변동금리에 쓰이는 기준금리는 양도성 예금증서 금리, 은행의 대출우대금리, 리보(Libor)가 사용 금리는 시장에 형성된 이자율(금리) 또는 상대방끼리 합의된 이자율(금리)로 사용 금리스왑 목적 은행 : 시장조성자의 이익추구와 거래 중..
스왑(교환)거래란 상대방이 서로 상품(商品)이나 증권(證券)을 교환해주는 의미 교환대상은 교환상대방이 동의하면 뭐든지 가능 미래의 거래를 현 시점에서 계약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만기 까지 중도에 이자의 교환이 이루어짐 역사 스왑거래 등장한 것은 1980년대, 하지만 그 원형이 상호융자나 상호직접융자에서 나온 거라 상호융자나 상호직접융자 자체가 고대(古代)에서도 있었다고 설이 있다. 기록상으로는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와 서유럽 각국의 중앙은행 간에 이루어졌는데, 외환시장(外換市場)에서 환율(換率)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공동개입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목적 1. 서로 다른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사용, 차입비용 절감(節減) 2. 부족한 부분(部分)은 상대방끼리 보완(補完) 3. 거래 당사자들..
1. 외환시장에서의 대표적 파생상품: 선물환 거래, 통화옵션 거래, 통화선물거래 2. 단기금융상품시장의 대표적 파생상품: 선도금리계약, 금리옵션계약, 유로통화예금선물거래(유로달러[미국밖에 있는 미합중국 달러화 예금], 유로엔[일본밖에 있는 엔화 예금] 등) 3. 장기자본시장의 대표..
- 기초가 되는 상품에 각종 신용(信用)위험을 수학적으로 고쳐서 그 위험(危險) 자체를 사고파는 파생상품 - 2007년 말부터 시작된 공황의 원인이 되기도 함 - 종류에 따라 기초상품+신용첨가형 파생상품, 순수 신용파생상품 등 있음
l 여기에서는 파생상품 종류 중에서 파생상품에 대한 일반적인 제외한 다른 종류가 있다고 하므로 개시 l 여기에서 사용되는 계정 또한 넣을 생각(틀릴 가능성이 높지만) - 복합 파생상품(Hybrid Derivatives)이란 어려가지 형태로 만든 복합된 파생상품을 말함 - 20세기 말에 처음 등장했고 저금..
개별재무제표가 지분법회계처리 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함 자산 2조원 미만의 회사 경우 분기/반기 보고서의 연결 재무제표 작성을 유예 받기 때문에 주석을 통해 지분법 정보를 파악이 필요 공시기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비용이 증가될 가능성이 좀 있다. 투자자는 경쟁력이 있는 기..
1. 국제 신뢰도 제고와 회계정보 신뢰도 제고 2. 투명성 확보로 개별회사의 주가 및 주가지수 상승동력 작용 3. 국제적 기업의 회계장부 이중작성 비용 절감 4. 중소-중견-대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 5. 투자자이든 세무사이든 읽기가 편해진다.